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이성적 소구 광고와 감성적 소구 광고의 효과 비교:기존 연구의 문헌적 고찰을 중심으로/오두범 1

국문요약 1

I. 문제 제기 1

II. 연구문제 3

III. 연구문제에 관련된 기존 연구의 업적 고찰 3

1. 독립 변인 측 요인(소구 형태)에 관계된 기존 연구들의 업적 3

2. 중개 변인 측 요인(소비자 반응)에 관계된 기존 연구들의 업적 5

3. 종속 변인 측 요인(소구 효과)에 관계된 기존 연구들의 업적 8

IV. 기존 문헌에 대한 고찰의 결과 종합 14

V. 앞으로의 과제 및 결론 17

참고 문헌 19

[영문요약] 22

초록보기

본 고는 이성적 및 감성적 소구 광고의 효과 비교에 대한 그간의 연구 경과와 현재 위상에 대해 문헌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알아본 결과 이성적 소구 광고와 감성적 소구 광고중 어느 쪽의 효과가 우세한지에 대한 뚜렷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고 있다.

학계에서는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 중 어느 쪽에 우세한 효과가 있는지를 해명하려하기보다 양 소구 광고가 어떤 경로(중개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효과에 이르는지를 알아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중개과정에 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이 인지적 및 정서적 반응으로 지칭되는 "소비자 반응"과정이다. 즉 이러한 "소비자 반응"모형에 따르면 소구 형태는 소비자의 인지적 또는 정서적 반응과 연결되고 이러한 소비자 반응은 최종적인 효과와 연결되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소비자 반응” 분석 모형이 보다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연구의 종속 변인에 대한 개념 규정이나 측정 방법 등에 관한 명확한 해명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 앞으로의 본격적 연구는 경험적 연구의 단계를 거쳐 이론적 단계로까지 진전되야 한다는 점을 논의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성적 소구 광고와 감성적 소구 광고의 효과 비교 :기존 연구의 문헌적 고찰을 중심으로 오두범 pp.1-22

보기
사회복지에 대한 시민단체의 기능과 역할 분석 황청일 pp.23-43

보기
매체의 종류와 내용에 따른 인지적 특성연구 :뇌파(Electroencephalogram EEG)분석을 중심으로 전환성 pp.45-75

보기
로컬거버넌스적 접근을 통한 노인복지 개선방안 신광석 pp.77-95

보기
지역 디지털 콘텐츠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북지역 디지털 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안종묵 pp.97-122

보기
분권교부세 도입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손희준 pp.123-143

보기
국책사업의 정책홍보 사례 분석연구 :부안 위도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사업을 중심으로 이두원 pp.145-167

보기
대학생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에 관한 연구 차동필 pp.169-183

보기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터넷 엽기콘텐츠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박광순 pp.185-204

보기
고령화에 대응한 지역사회복지의 개선방안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정재욱 pp.205-226

보기
Literary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American children in Poverty :Selected Family Characteristic and Family Poverty Hwang Hye Won pp.227-24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