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토끼전의 인물 형상과 개방성 / 김동건 1
〈국문초록〉 1
1. 서론 2
2. 토끼와 별주부의 성격 6
(1) 지략 6
(2) 어리숙함 12
(3) 욕망 15
(4) 허위의식 18
3. 별주부 속의 토끼, 토끼 속의 별주부 22
4. 결론 25
《참고문헌》 27
〈Abstract〉 29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동리 신재효의 「광대가」와 한국 공연이론 | 김익두 | pp.7-40 |
|
보기 |
고창의 판소리 문화적 기반 | 정병헌 | pp.41-60 |
|
보기 |
신재효의 판소리사적 위상 | 서종문 | pp.61-78 |
|
보기 |
고창과 여성명창 | 성기련 | pp.79-112 |
|
보기 |
<수궁가>의 재창조를 위한 수행적 연구 | 김광욱 | pp.113-136 |
|
보기 |
토끼전의 인물 형상과 개방성 | 김동건 | pp.137-166 |
|
보기 |
김연수와 임방울의 선택과 지향 :수궁가를 중심으로 | 김혜정 | pp.167-215 |
|
보기 |
<토끼전> 言辯 대결의 양상과 의미 | 정충권 | pp.217-239 |
|
보기 |
판소리 名昌 金昌煥의 藝術活動 | 김석배 | pp.241-269 |
|
보기 |
신자료 한문본 <兎公傳>의 성립 시기와 이본적 특성 | 김정녀 | pp.271-297 |
|
보기 |
판소리 사설의 디지털서사화 방안 | 장미영 | pp.299-324 |
|
보기 |
한국현대희곡에 나타난 <춘향전> 변용 양상 연구 :김용락의 <방자놀이>, 이근삼의 <춘향아, 춘향아>, 오태석의 <기생비생 춘향전>을 중심으로 | 최영희 | pp.325-358 |
|
보기 |
정응민 바디 <심청가>의 성립과 전승 실태 연구 | 최혜진 | pp.359-391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2) 토끼전의 인물형상과 풍자, 판소리학회 | 미소장 |
2 | (1976) 수궁가의 구조적 특성, 한국국어교육연구회 | 미소장 |
3 | (1976) 판소리 사설의 희극성과 풍자성-수궁가의 인물을 중심으로, | 미소장 |
4 | (1997) 토끼전 인물고, | 미소장 |
5 | (1998) 수궁가 모족회의 대목의 존재양상과 의미, 국어국문학회 | 미소장 |
6 | (2003) 토끼전 연구, 민속원 | 미소장 |
7 | (1998) 토끼전 전집 1, 박이정 | 미소장 |
8 | (2004) <토끼전수궁가>의 인물형상, 판소리학회 | 미소장 |
9 | (1998) 토끼전의 우의적 성격, 고전작가작품의 이해, 집문당 | 미소장 |
10 | (2002) <토끼전>과 북미원주민 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비교 연구, | 미소장 |
11 | (1995) 조선후기 우화소설 연구, 태학사 | 미소장 |
12 | (1999) 수궁가에 나타난 토끼의 성격과 당대 수용자들의 심리적 성격, | 미소장 |
13 | (1984) 판소리의 개방성, 형설출판사 | 미소장 |
14 | (1992) 별주부전의 인물 관계와 그 의미, | 미소장 |
15 | (1973) 토끼전의 서민의식과 풍자성,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 미소장 |
16 | (2001) 토끼전수궁가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미소장 |
17 | (1984) 판소리사에 있어서 신재효와 토끼전, 창작과비평사 | 미소장 |
18 | (1998) 별주부와 토끼의 인물상, 한국구비문학회 | 미소장 |
19 | (1984) 토끼전 이본에 나타난 작가의식의 거리, | 미소장 |
20 | (1992194-229쪽) 토끼전의 작품 구조와 인물 형상-가람본 별토가를 중심으로, | 미소장 |
21 | (1999) 봉건국가의 해체와 토끼전의 결말구조,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소명출판 | 미소장 |
22 | (1990) 김경수 옮김, 민음사 | 미소장 |
23 | (1972) 우화소설 연구,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