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느라고, -느라면, -느라니까'의 통사·의미적 특징 / 이금희 1

〈국문초록〉 1

1. 서론 2

2. 형성 과정 2

3. 통사적 특징 7

3.1. 주어의 제약 7

3.2. 선행 용언과 후행절의 제약 9

3.3. 선어말어미의 제약 12

4. 의미 특성 13

4.1. '-느라고'의 의미 13

4.2. '-느라면'의 의미 18

4.3. '-느라니까'의 의미 21

5. 결론 25

참고문헌 26

Abstract 27

초록보기

본고의 목적은 ‘-느라고, -느라면, -느라니까’의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살피는 것이다. 이들은 통사적으로 선행 용언과 후행절의 제약이나 선어말어미의 제약 등을 갖고, 의미적으로 ‘진행성’이나 ‘과정성’의 의미 특성을 갖는다. 형용사가 선행되지 않거나 ‘-느라고, -느라니면, -느라니까’ 앞에 ‘-었-, -겠-’ 등의 선어말어미가 선행되지 않는 것이나, 의미 특성에 ‘진행성’이나 ‘과정성’을 갖는 것은 이들이 ‘-느라 하-’ 구성에서 ‘ㅎ’이 탈락하고 축약의 과정을 거쳐 문법화된 연결어미이기 때문인 듯하다. 현재나 진행을 나타내던 ‘--’의 의미 특성이 남아 선어말어미의 제약이나 의미 특성에까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syntactical and seman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junctive endings ‘-neurago(느라고), -neuramyeon(느라면), and -neuranikka(느라니까)’. These conjunctive endings characteristics was caused by these formation courses. These conjunctive endings have deleted ‘-h(ㅎ)-’ and then contracted in the form of ‘-neura ha-’. After that, there is a fusion occurred to be set into the single conjunctive endions.

But these conjunctive endings have still syntactical and semantical characteristics of ‘-na(?>느)-’ that indicated the present tense in middle Korean. The first is that these conjunctive endings are not combined with ‘-eoss(었)-’, ‘-gess(겠)-’, and ‘-deo(더)-’. The second is that these are not precedes a imperative sentense and a proposal sentense. Third is these conjunctive endings which show the situation which is connected to verbs' continuous and progressive aspect.

According to my research, the syntactical and semant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conjunctive endings was formed from through the grammaticaliza -tion proce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諺解臘藥症治方』의 희귀어휘 연구 장영길 pp.5-32

보기
『대명률직해』와 현대국어 간의 조사 '果'의 쓰임 차이에 대한 연구 박철주 pp.33-58

보기
'-느라고, -느라면, -느라니까'의 통사·의미적 특징 이금희 pp.59-85

보기
국어 단모음 /에/와 /애/의 세대와 성별 차이에 대한 음성학적 연구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최상홍 pp.87-106

보기
준말의 단어 형성 문제 정희창 pp.107-118

보기
어간말 자음군의 변화 요인에 대하여 임보선 pp.119-158

보기
말뭉치에 기반한 공간 명사의 의미 변화 연구 김한샘 pp.159-186

보기
孤山 윤선도 시가의 歌集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성무경 pp.187-221

보기
<방한림전>의 두 여성이 선택한 삶과 작품의 지향 김정녀 pp.223-252

보기
시집살이 노래의 가출 공간과 미학 :<가출형 며느리노래>를 대상으로 박선애 pp.253-297

보기
전봉건 시의 생명 인식 연구 서동인 pp.299-329

보기
도종환 시의 서정성과 대중성 :『접시꽃 당신』을 중심으로 정우택 pp.331-360

보기
이야기 구성 능력 발달을 주제로 한 선행 연구의 통합 분석 김기호 pp.361-394

보기
중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지향과 방법 :'환상성'과 '상호소통성'을 중심으로 권순긍 pp.395-418

보기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71) 인용문의 구조와 성격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미소장
2 (1973) 국어 완형 보문법 연구 국어학연구총서1 계명대학 한국학연구소., 계명대학 한국한연구소 미소장
3 (1980) 연결어미 ‘-느라고-느라면’의 의미와 기능,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미소장
4 (1986) 부동사의 연결과 정동사의 종결, 성심여대 미소장
5 (1987) 국어 활용 어미의 형태와 의미, 미소장
6 (2003) 인용문과 인용표지의 문법화에 대한 연구 , 미소장
7 (2005) 보문과 보문자, 태학사. 미소장
8 (1997) -다고’와 ‘-답시고’에 대하여 , 한국외국어대학교 사범대학 한국어문학연구회 미소장
9 (2005) 인용문 형식에서 문법화된 어미ㆍ조사 연구, 미소장
10 (1985) 연결어미 ‘-느라고’의 의미ㆍ통사적 분석, 연세어학당 미소장
11 (1981) 연결어미 ‘-아서-므로’에 대하여, 배달말학회 미소장
12 (1993) 국어의 융합 현상과 융합 형식, 미소장
13 (1995) 통사적 구성에서의 축약에 대하여, 미소장
14 (1995) 국어의 인용구문 연구, 탑출판사. 미소장
15 (1996) 중세국어문법, 국어의 시대별 변천ㆍ실태연구1,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16 (2005) 연결어미의 상적 의미 표시 기능-‘-느라고, -(으)면서, -자마자, -다 보니, -고 보니’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미소장
17 (1993) Grammaticalization, Cambridge University 한신문화사. 미소장
18 (1985) Morphorlogy, J. Benjamins 미소장
19 (1994) The evolution of grammar, Chicago University. 미소장
20 (1995) Subjectification in Grammaticalization, In:Stein, D. and Wri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