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색-음악 일치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사례 연구 : 컴퓨터 등장 이전까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유영재 1

[Title] 1

ABSTRACT 3

요약 3

1. 서론 4

1.1. 문제제기 4

1.2. 연구목적 4

1.3. 연구범위 4

2. 색-음악 일치 시스템 4

3. 색-음악의 일치를 위한 장치들 6

3.1. 카스텔의 시각 하프시코드(Ocular Harpsichord) 6

3.2. 토마스 윌프렛의 클래비럭스(Clavilux) 7

3.3. 오스카 휘싱거의 루미그래프(Lumigraph) 8

3.4. 찰스 더쿰의 모빌칼라 프로젝터(MobilColor Projector) 8

3.5. 컴퓨터 등장 이후 9

4. 결론 9

참고문헌 10

초록보기

유사 이래, 인간은 음악과 색의 관계에 매혹되어왔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아타나시우스 키르케르, 아이작 뉴턴,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바실리 칸딘스키 등은 색과 음악의 나름의 상관관계를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그들의 다양한 색채와 음의 스케일간의 일치의 시스템들을 조사했다. 색과 음과의 대응은 사실 과학적인 근거는 미약하지만, 그 당시의 음악적인 스타일, 유행하는 문화적 경향들, 개인적인 취향 등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과거 수세기 동안 철학자들, 화가들, 과학자들, 음악가들은 많은 노력들을 기울여 음악을 시각화하거나 시각적 해석을 통해 그 미를 포착하고자 하였다. 지난 두 세기 동안, 이러한 노력들은 결실을 맺기 시작하였고, 시각음악, 색채음악, 모빌칼라, 루미나 등의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예술계에 모습을 드러냈다. 최초의 비주얼 음악을 위한 기구는 1743년 루이 베르트랑 카스텔에 의해서 만들어진 시각 하프시코드(Ocular Harpsichord)였다. 그 후 전기 기술과 광학의 진보와 영화의 발명, 현대 인지심리학의 태동, 추상화의 발생 등으로 인해 비주얼 음악의 발전에 놀랄만한 붐이 일어난다. 그 중 미적 기술적 정교함에 있어 괄목할 만한 세 장치가 있는데, 토마스 윌프렛의 클래비럭스(Clavilux), 오스카 휘싱거의 루미그래프(Lumigraph), 찰스 더쿰의 모빌칼라(MobilColor Projector)이다.

Since the beginning of history, people have been fascin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color, Aristotle, Athanasius Kircher, Sir Isaac Newton, Nikolai Rimsky-Korsakov, and Wassily Kandinsky studied the systems of musical scales and colors. These correspondences between colors and musical scales has little scientific basis but are founded upon a significant piece of clue to the period's musical style, prevailing cultural biases, and personal feelings. Over centuries, philosophers, painters, scientists, and musicians have been made to visualize music or capture its beauty into a visual interpretation. Over the past two centuries these efforts beginning to bear fruit and emerge in the art world with variety of names such as color music, visual music, mobile color, and lumina. The earliest known device for performing visual music is Ocular Harpsichord built in 1734 by Louis-Bertrand Castel. Three Twentieth-century instruments deserve special attention for their exceptionally high degree of aesthetic and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Thomas Wilfred's Clavilux, Oscar Fischinger's Lumigraph, and Charles Dockum's MobilColor Projecto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반복 표현과 이미지 분석 :로베르마쌩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유경 pp.1-11

보기
수용자 해석 공간으로서 '여백'(餘白)에 대한 연구 :현대 한국화에서 나타나는 '여백' 표현을 중심으로 오세권 pp.13-24

보기
레오나르도 다빈치 비행기구의 디자인 요소 연구 주대원 pp.25-38

보기
고려 나전칠기의 조형적 해석과 기법의 특징 연구 정영환 ;이광웅 pp.39-49

보기
러시아 독립 애니메이션 작가 유리 놀스테인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이야기 속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박민주 pp.51-59

보기
디지털 타일패턴 생성에 관한 연구 김이평 pp.61-72

보기
우치다 시게루의 작품에 나타나는 일본 전통공간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주 pp.73-82

보기
에듀테인먼트 타이틀의 인터페이스와 조형의 색채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김은정 ;최인규 pp.83-93

보기
디자인조형 창출을 위한 시각적 사고의 구성요소와 응용 프로세스 연구 김원경 pp.95-105

보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기업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제품 디자인 속성에 관한 연구 김 억 pp.107-119

보기
시각적 은유 광고의 유형에 관한 연구 김수진 pp.121-131

보기
패키지디자인과 상점환경의 상관성 연구 김미자 ;최진식 pp.133-143

보기
공공교통환경에서 대합실 내 벤치의 기능적 접근에 관한 연구 김명진 ;장찬범 pp.145-156

보기
Using the female portraits as political propaganda in the Roman empire Seoyoung Kim pp.157-165

보기
레이아웃 형식화 :효과적인 레이아웃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 최인영 pp.167-177

보기
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색채의식 :30대 사무직 남성을 중심으로 조현신 pp.179-191

보기
이야기의 시각적 서술 방법 연구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 교육을 중심으로 정대영 pp.193-204

보기
광고표현의 '의미역(意味易)디자인' :기(氣)를 해석체(interpretant)로 이용한 미적감수(美的感受)의 코드가능성에 관하여 전기순 pp.205-218

보기
밀레니엄 트렌드에 있어서 조형성과 발생배경에 관한 연구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박영주 pp.219-228

보기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규옥 pp.229-239

보기
색-음악 일치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사례 연구 :컴퓨터 등장 이전까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영재 pp.241-250

보기
영상에서 반복기법에 의한 의미생성에 관한 연구 :TV CF를 중심으로 손인수 pp.251-259

보기
인터렉션 측면에서의 네비게이션에 관한 연구 서동근 pp.261-273

보기
건축가와 디자이너의 의자디자인에 관한 연구 :모더니즘 스타일을 중심으로 김동하 pp.275-285

보기
애니메이션의 시간대별, 날씨별 장면에 나타난 캐릭터의 색채분석 연구 :2D 애니메이션 '마리이야기'를 중심으로 김남훈 pp.287-298

보기
뉴 패러다임 관점에서 본 전략적인 디자인교육 정계문 pp.299-313

보기
도심주거지역 보행로환경개선체계에 관한 연구 :서울 구도심주거지역 보행로의 환경구조물을 중심으로 장찬범 ;김명진 pp.315-325

보기
다수개로 구성된 LED모듈의 색상표본 추출에 관한 연구 윤봉식 ;이승용 pp.327-335

보기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산업디자인의 패러다임 다양화에 관한 연구 :미래 주도 신기술을 중심으로 염명수 ;최명식 pp.337-347

보기
백화점 신문광고 크리에이티브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국내 3사 백화점을 중심으로 양초산 ;김상학 pp.349-360

보기
지역 민영방송에서의 컴퓨터그래픽의 현황과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 신현우 ;이규옥 pp.361-371

보기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웹 캐릭터 산업의 활성화 방안 박수옥 ;전성복 pp.373-383

보기
테크놀로지 아트의 구조와 표현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적 성격에 관한 고찰 김윤경 pp.385-395

보기
1950년대 Dior 드레스의 재해석과 드레이핑을 통한 패턴설계 김순분 pp.397-405

보기
60년 대 Jean-Luc Godard의 영화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의 영향 :영화 <안달루시아의 개>의 영향 조광석 pp.407-416

보기
덕수궁의 천장 조형에 관한 연구 정유나 pp.417-431

보기
기호분석을 통해서 본 광고 연구 :프랑스 광고를 중심으로 호윤정 pp.433-442

보기
발상과 전개를 위한 디자인 소스 연구 ,1 조태형 pp.443-453

보기
브랜드자산을 통한 지역공동브랜드 및 패키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완도군 지역공동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임채형 pp.455-467

보기
창의적이고 선호도가 높은 아동완구의 시스템화를 위한 기초연구 이승용 ;정지현 pp.469-481

보기
도시 이지미 홍보를 위한 도시브랜드에 관한 연구 :울산 도시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이민정 ;박노석 pp.483-493

보기
디지털정보환경에 의한 영상공간의 확장 이규옥 pp.495-504

보기
텍스타일 관점에서 분석한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 속에 보여 지는 문양들 유현아 pp.505-515

보기
업무공간 업무자의 행태특성을 기반으로 한 공간모델연구 신동준 ;김정식 pp.517-527

보기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 동작성에 대한 연구 박성완 pp.529-539

보기
1980년대 의자 디자인의 미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김현성 ;이재용 pp.541-553

보기
디자인 마케팅이 브랜드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호 pp.555-565

보기
조형적 관점에서의 메타볼 알고리즘 분석 김영일 pp.567-578

보기
독립적 표현 매체로서의 애니메이션의 위상 김근한 pp.579-589

보기
사이잘삼을 이용한 조각보 이미지의 입체적 표현 연구 권유현 ;나지영 pp.591-603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임영방, (1999) 현대미술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 Adrien Bernard Klein, (1927) The Art of Light, 미소장
3 Curtis Roads, (1996) The Computer Music Tutorial, The MIT Press 미소장
4 Daniel Stolzenberg, (2001) The Great Art of Knowing: The Baroque Encyclopedia of Athanasius Kircher, Small Pr Distribution 미소장
5 John Whitney, (1980) Digital Harmony: on the Complementarity of Music and Visual Art, 미소장
6 Kevin T. Dann, (1998) Bright Colors Falsely Seen: Synaesthesia and the Search for Transcendental Knowledge,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7 Michel Chion, (1994) Audio-Vision Sound on Screen,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8 Sir Isaac Newton, (19521952) Or a Treatise of the Reflections Inflections & Colours of Light-Based on the Fourth Edition London, 미소장
9 (1994) Complete Writings on Art, Da Capo Press 미소장
10 한지선, (1986) 바실리 칸딘스키 추상회화를 통한 색채와 음악성에 관한 연구, 미소장
11 Don Ritter, (1993) ‘Interactive Video as a Way of Life’, 미소장
12 William Moritz, (1997) The Dream of Color Music And Machines That Made if Possible, 미소장
13 Elfriede Fischinger, (1998) Writing Light, 미소장
14 (1991) The Ocular Harpsichord of Louis-Bertrand Casel, Maarten Franssen nl/webstaf/maartenf/files/OcuHarpsCastel 미소장
15 A Site about the Pioneering Work of Thomas Wilfred,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