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뉴미디어 우연성에 대한 연구 -잭슨 폴록과 조슈아 데이비스를 중심으로-(A Study on Randomness in New Media -Focus on Works of Jackson Pollock & Joshua Davis-) / 유영재(Youngjae You) 1

ABSTRACT 2

요약 2

1. 서론 3

1.1. 연구배경과 목적 3

1.2. 연구범위와 방법 3

2. 우연의 정의 3

3. 잭슨 폴록의 우연성 4

3.1. 조형예술에서의 우연성 사례 4

3.2. 잭슨 폴록의 성장과정 및 사상적 배경 4

3.3. 잭슨 폴록의 우연성의 특징 5

4. 조슈아 데이비스의 우연성 7

4.1. 뉴미디어의 우연성 사례 7

4.2. 조슈아 데이비스의 배경과 작품 활동 8

4.3. 조슈아 데이비스의 우연성의 특징 9

5. 결론 11

참고문헌 11

초록보기

뉴미디어의 현 시대, 컴퓨터의 사용으로 인해 새롭고 다양한 시각 실험들이 일어나고 있으며, 더 다이내믹하고 살아있는 효과를 위해서 무작위성은 더욱 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우연성을 전면에 내세우며 새로운 전통을 세운 잭슨 폴록의 작업은 오늘날의 많은 뉴미디어 디자이너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조슈아 데이비스는 잭슨 폴록에게서 큰 영감을 받아서 컴퓨터의 랜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예기치 않은 우연의 작품들을 선보였는데, 잭슨 폴록의 아이디어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특성까지 많이 닮아있어 조슈아 데이비스를 뉴미디어의 폴록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시대와 기법과 구성 요소는 서로 다르지만, 그들의 작품 속의 자기 유사성의 구조라든지, 숙련과 직관으로 통제된 우연은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잭슨 폴록은 올오버 페인팅과 액션 페인팅으로써 공간과 시간을 도입했고, 조슈아 데이비스는 이를 다양한 매체에 적용하고 유저의 인터랙션 과정으로 우연을 확장한다. 근본적으로 아트와 디자인은 맨 마지막의 완성된 결과물이 중요한 스태딕 과정인 것에 반해, 조슈아 데이비스는 잭슨 폴록의 액션 페인팅처럼 새롭고 다른 방법으로 전통적인 룰을 바꾸고 있다. 이 연구가 앞으로의 새로운 매체의 작업에 있어서 예술가의 작품 적용과 해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 the new media age, new and diverse visual experiments have sprung up lately because of use of computer. In order to more dynamic and fluent result, randomness is an indispensible method. The works of Jackson Pollock who made new tradition by relying on randomness have affected many new media designers deeply. In particular Joshua Davis inspired by Jackson Pollock has created beautiful accident works through random algorism of computer. Joshua Davis could be called Jackson Pollock of new media in that his not only idea but also visual image of works is similar to Jackson Pollock's. Their days, techniques, and composition elements are different each other, but their structure of self-similarity and controled randomness with endeavor and intuition are very same. Jackson Pollock introduced time and space in paintings by all over painting and action painting, and Joshua Davis is appling Jackson Pollock's idea to various media and extending randomness to interaction with user. Fundamentally, art and design have been taught as very static process to arrive at an end result. On the other hand, Joshua Davis is rewriting the rules by using new and different ways just like Jackson Pollock's action painting. This paper is expected new media creators to make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art works easie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속가능한 재료의 활용을 위한 제품디자인 연구 :골판지 제품을 중심으로 고경욱 ;예민주 pp.1-9

보기
韓, 中, 日에서 적색(red)의 의미와 상징에 관한 연구 ,2 :한국 적색(Korea red)의 정립과 활용 권영걸 ;이지영 pp.11-22

보기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에서의 인터렉션디자인 방향에 관한 고찰 김경배 ;김성희 ;이해묵 pp.23-35

보기
U-북 디자인 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편성에 관한 연구 김남형 pp.37-45

보기
현대에 있어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형성과 알레고리와의 관계 연구 김민정 ;최인영 pp.47-56

보기
장식성을 갖는 접시홀더 디자인연구 김석호 pp.57-67

보기
브랜드 샵 디자인으로 본 디스플레이 구성요소로서의 LED 조명 효과 김선영 pp.69-80

보기
한국형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전문가 육성에 관한 연구 김성곤 pp.81-92

보기
상업공간 실내디자인에 표현된 오브제적 요소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성규 pp.93-103

보기
차량용 텔레매틱스 콘텐츠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성희 ;김건우 pp.105-119

보기
시각기호 3차원을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에 나타난 상징표현 방법 및 특징에 관한 연구 김연희 pp.121-132

보기
디자인 능력 평가요소의 타당성과 적용 연구 김원경 pp.133-146

보기
창의적 메카닉 프로토타이핑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원섭 ;최민영 pp.147-159

보기
영상디자인 교과과정에 있어서 실무분석데이터의 실질적 활용에 관한 연구 :순환형 산학연계과정을 통한 기초자료 분석을 토대로 김종환 pp.161-173

보기
디지털 TV 설정기능의 메뉴명 및 구조 분석 김현석 ;서경자 ;문현정 ;서현석 pp.175-192

보기
영상이미지의 다시점구조에 의한 미메시스 연구 김효일 pp.193-203

보기
서울 지하철환승역 실내공간의 랜드마크에 관한 연구 남성진 ;박혜경 pp.205-216

보기
전통적 공간구성에 나타나는 심적 가치(心的 價値)의 적용에 관한 연구 :아동을 위한 자람 공간의 형태화(形態化)를 중심으로 문대성 ;김유림 pp.217-227

보기
주차건물의 조형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문은미 pp.229-239

보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있어서 식스시그마 방법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 :사용성 개선을 중심으로 박남춘 pp.241-251

보기
무성영화 코메디와 초기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보드빌 슬랩스틱 코메디의 영향 박세혁 pp.253-266

보기
여성 소비자를 위한 국내외 화장품 TV광고에서의 페미니즘 마케팅 전략 사례 연구 박은지 ;백재훈 pp.267-276

보기
A study on the illusion effect through the optical art in fashion design Hyesook Park ;Jaejung Lee pp.277-285

보기
제품 디자인과 에로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변상태 ;노진영 pp.287-296

보기
산업전시부스의 공간 구성 경향에 관한 연구 서준호 pp.297-307

보기
게임의 반복성을 통한 이러닝 콘텐츠의 스토리텔링구조에 관한 연구 성정환 pp.309-318

보기
디지털 환경에서의 예술 재료 개념에 관한 연구 손영실 ;윤준성 pp.319-327

보기
디지털시대에 있어 과학적 디자인방법의 가능성과 한계성에 대한 연구 신완식 pp.329-345

보기
다변영역에 기초한 디자인 학습체계에 관한 연구 신택균 pp.347-358

보기
트레이드마크로써의 문장의 재조명과 과거 한국문장의 현대적 활용에 관한 연구 안준환 pp.359-369

보기
벨소리 모바일 컨텐츠의 GUI디자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양근영 pp.371-381

보기
문화상품의 유사성 판단에 대한 두 가지 관점 양초산 pp.383-393

보기
민화에서 나타나는 '중층구조'에 대한 연구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를 중심으로 오세권 pp.395-407

보기
뉴미디어의 우연성에 대한 연구 :잭슨 폴록과 조슈아 데이비스를 중심으로 유영재 pp.409-420

보기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김진평의 로고타입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유정숙 pp.421-432

보기
기초디자인 교육용 사이버 강좌 개발에 관한 연구 :프리핸드 드로잉과 스케칭을 중심으로 윤여항 ;이영춘 pp.433-446

보기
전시 쇼 케이스 제품 개발 연구 :光放射에너지 손상 중심의 기능성 및 정서성 증대 중심으로 이경아 pp.447-456

보기
루트 페터스(Ruudt Peters)의 장신구관과 그의 작품에 관한 연구 이광선 pp.457-468

보기
문화 이벤트를 통한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APEC 2005 Korea 정상만찬 문화공연 사례를 중심으로 이도훈 pp.469-481

보기
자치도시 홍보관 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주요 시립홍보관을 중심으로 이소영 ;박찬호 pp.483-493

보기
사무작업환경 극대화를 위한 파티션가구의 역할과 응용에 관한 연구 이승용 pp.495-508

보기
뉴미디어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디자인 고찰 이원섭 ;윤준성 pp.509-519

보기
TUI로서 기존 일상 도구의 가능성과 적용 :인터랙티브 아트를 중심으로 이희린 ;장선희 pp.521-531

보기
고대 귀금속 장신구 및 공예 제작기법의 변천과[실은 에] 따른 조형 형태에 관한 연구 임철민 ;이동주 ;김 진 pp.533-542

보기
'디지털 사운드 디자인'의 조형개념으로서 '배치'에 대한 연구 :일렉트릭 기타 사운드와 컴퓨터 그래픽스의 조형적 결합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장우린 pp.543-551

보기
디지털 기반의 영상디자인 작품 제작에 따른 스토리보드에 관한 연구 전나현 pp.553-563

보기
디자인 차별화 성공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연구 :유러피언 스타일 기업의 디자인 특징을 중심으로 전진용 pp.565-575

보기
모바일 DMB 영상에서의 글자표현에 관한 연구 정재우 pp.577-586

보기
대학 심벌마크의 시각 기호학적 유형에 관한 연구 :4년제 국·사립대학의 심벌마크를 중심으로 조각현 pp.587-598

보기
뉴미디어 현실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조현경 ;윤준성 pp.599-608

보기
친환경 신소재에 의한 제품디자인 컨셉 및 아이디어 개발 주대원 pp.609-621

보기
Space identity를 이용한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통합에 관한 연구 채민규 pp.623-635

보기
초등학생 미술교육을 위한 한국교육방송의 프로그램 고찰 천진희 pp.637-649

보기
제품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위한 프로토타이핑 도구에 대한 연구 최민영 ;김원섭 pp.651-661

보기
솔 바스(Saul Bass)와 카일 쿠퍼(Kyle Cooper) 작품에서의 화면구도 비교 연구 홍미희 pp.663-674

보기
CNC 절삭가공(machining)에서 cusp의 형태 변용 연구 황승욱 ;이병훈 pp.675-687

보기
인식론적 망 개념 형성과 공간 네트워크화에 관한 연구 황용섭 ;김주연 pp.689-699

보기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 논문은 2006학년도 서울여자대학교 조형연구소 교내학술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미소장
2 유영재, College of Fine Arts Division of Design, 미소장
3 김현화, (1999) 20세기 미술사, 한길아트 미소장
4 아니엘라 야페, (1979) 미술과 상징, 미소장
5 진중권, (2005)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휴머니스트 미소장
6 쿠키슈우조우, (2000) 우연이란 무엇인가, 이회 미소장
7 (1985) 후지에다 데루오, 미소장
8 (1967) The Hidden Order of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9 Christiane Paul, (2003) Digital Art, Thames & Hudson 미소장
10 Francis V, (1967) The Museum of Modern Art, 미소장
11 Golan Levin, (2005) In Situ Speech Visualization in Real, 미소장
12 John Maeda, (2004) Creative Code, Thames & Hudson 미소장
13 John Maeda, (2001) Design by Numbers , 미소장
14 Joshua Davis, (2002) Flash to the Core, New Riders Publishing 미소장
15 Joshua Davis, (2000) New Masters of Flash, Peer Information Inc 미소장
16 Lev Manovich, (2001) The Language of New Media , 미소장
17 Michael Rush, (1999) New Media in Late 20th Century Art, Thames & Hudson 미소장
18 Rachel Greene, (2004) Internet Art, Thames & Hudson 미소장
19 Richard Taylor, (1999) Fractal Analysis of Pollocks Drop Painting, 미소장
20 www aec at, 미소장
21 www amaztype tha jp, 미소장
22 http artport whitney org gatepages december02 shtml, 미소장
23 www flong com, 미소장
24 www fundacion telefonica com at rlh eimagenes html, 미소장
25 www joshuadavis com, 미소장
26 www levitated net, 미소장
27 www natzke com, 미소장
28 www nga gov feature pollock, 미소장
29 www once upon a forest com, 미소장
30 www pitaru com, 미소장
31 www plus maths org issue9 news pollock, 미소장
32 www potatoland org, 미소장
33 www thesystemis com, 미소장
34 www uncontrol com, 미소장
35 www yugop com, 미소장
36 www z4byjd com, 미소장
37 www afsnitp dk onoff Projects napierinterview html, 미소장
38 www ciac ca magazine archives no 19 en entrevue htm, 미소장
39 www coolhunting com archives 2005 08 joshua davis fi php, 미소장
40 www designmuseum org design joshua davis, 미소장
41 www designmuseum org design yugo nakamura, 미소장
42 www eruditiononline com 03 04 joshua davis interview htm, 미소장
43 www idonline com features feature asp id 1507, 미소장
44 www since1968 com article 18 joshua davis interview, 미소장
45 www switch sjsu edu nextswitch switch engine front front php artc 8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