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북동태평양에서 형광 기법을 이용한 용존유기물의 기원 및 분포/손주원;손승규;주세종;김경홍;김웅서;박용철 1
Abstract 1
1. 서론 2
2. 재료 및 연구방법 3
총유기탄소(totla organic carbon, TOC) 5
형광유기물(fluorescence organic matter, FOM) 추출 및 3차원 형광 분석 5
형광유기물의 형광 강도 측정 5
3. 결과 및 토의 5
연구해역의 수층 구조 5
유기물 분포 특성 7
형광유기물 분포 결정 요인 10
4. 결론 11
사사 12
참고문헌 12
Appendix 13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북동태평야에서 형광 기법을 이용한 용존유기물의 기원 및 분포 | 손주원 ;손승규 ;주세종 ;김경홍 ;김웅서 ;박용철 | pp.87-99 |
|
보기 |
인천 연안의 초가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기에 식물플랑크톤과 종속영양 원생동물 군집의 단주기 변동 | 양은진 ;최중기 | pp.101-112 |
|
보기 |
황해에서 저주파 음파의 해저손실 변동 | 김봉채 | pp.113-121 |
|
보기 |
동해 후포주변 사질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분포 특성 | 백상규 ;강래선 ;전재옥 ;이재학 ;윤성규 | pp.123-134 |
|
보기 |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ㆍ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 임동일 ;노경찬 ;장풍국 ;강선미 ;정회수 ;정래홍 ;이원찬 | pp.135-153 |
|
보기 |
연안침식방지를 위한 관리체계 개선방안 | 이문숙 ;박성욱 | pp.155-165 |
|
보기 |
국제법상 월경자원의 처리에 관한 고찰 :해저석유 및 가스자원을 중심으로 | 이용희 | pp.167-185 |
|
보기 |
In vitro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Arctic Seaweed Extracts | 서영완, Hee-Jung Lee, You Ah Kim, Jung-Im Lee, Ji Hee Kim, Hosung Chung, Sung-Ho Kang | pp.187-191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and Fluorescent Organic Hatters in the Northeast Pacific Ocean(KODOS) | 소장 |
2 | Characteristics of Organic Carbon and Apparent Oxygen Utilization in the NE Pacific KODOS Area | 소장 |
3 | 해양수산부. 1998. 심해저 광물자원탐사 보고서 제1권, p. 998-1000. | 미소장 |
4 | 해양수산부. 2006. 심해저 광물자원개발 보고서 제1권, p. 100-172. | 미소장 |
5 | 2002. 아데노신 3인산을 이용한 심해저 및 연안퇴적토의 총 미생물 생체량 측정 . Kor. J. Microbiol., 38,119-126. | 미소장 |
6 | A one‐dimensional model of dissolved organic carbon cycling in the water column incorporating combined biological‐photochemical decomposition ![]() |
미소장 |
7 | The fluorescence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eawater ![]() |
미소장 |
8 | Fluorescence contouring analysis of DOC Intercalibration Experiment samples: a comparison of techniques ![]() |
미소장 |
9 | CDOM in the ocean: transformation processes and their effects on optical properties ![]() |
미소장 |
10 | Ultraviolet fluorescence excitation and emission spectroscopy of marine algae and bacteria ![]() |
미소장 |
11 | Concentrations and radiocarbon signatur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Pacific Ocean ![]() |
미소장 |
12 | Radiocarbon in Dissolved Organic and Inorganic Carbon From the Central North Pacific ![]() |
미소장 |
13 | Temperature structure and mixed layer in the Kuroshio Region over the Izu Ridge ![]() |
미소장 |
14 | 2002. Biogeochemistry of Marine Dissolved Organic Matter. Academic Press, San Diego, p. 64-80. | 미소장 |
15 | The structure of marine fulvic and humic acids ![]() |
미소장 |
16 | Vertical distribution of fluorescent organic matter along with AOU and nutrients in the equatorial Central Pacific ![]() |
미소장 |
17 | Organic carbon and nitrogen in the northern California current system: comparison of offshore, river plume, and coastally upwelled waters ![]() |
미소장 |
18 | The Measurement of Adenosine Triphosphate in the Ocean and its Ecological Significance ![]() |
미소장 |
19 | Light-induced alteration of the photophysical properti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eawater: Part II. Estimates of the environmental rates of the natural water fluorescence Part II. Estimates of the environmental rates of the natural water fluorescence ![]() |
미소장 |
20 | 1988. Biochemical application of 3-dimensional fluorescence spectroscopy, p. 134138. In: Time-Resolved laser Spectroscopy in Biochemistry. ed. by J.R. Lakowicz. SPIE Proc., 909. Society for Photo-optical Instrumentation Engineers, Bellingham, Washington. | 미소장 |
21 | Conformational changes in a soil fulvic acid measured by time-dependent fluorescence depolarization ![]() |
미소장 |
22 | The uniqueness of humic substances in each of soil, stream and marine environments ![]() |
미소장 |
23 | 1996. Chemical Oceanography. 2nd ed. CRC Press, p. 220-222, 346-347. | 미소장 |
24 | 1992. Blue and yellow fluorescence of filtered seawater in a frontal zone. Deep Sea Res., 39, 1481-1498. | 미소장 |
25 | Fluorescence as a possible tool for studying the nature and water column distribution of DOC components ![]() |
미소장 |
26 | 1994. Amino acid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dissolved organic compounds in the Yellow Sea. J. Oceanol. Soc. Kor., 29, 171-182. | 미소장 |
27 | 1995.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organic matter and amino acids composition in the East Sea. J. Oceanol. Soc. Kor., 30, 341-354. | 미소장 |
28 |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New York(1984). | 미소장 |
29 | (1982) Descriptive Physical Oceanography. Pergamon Press, Oxford, 45 p | 미소장 |
30 | A comparis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in North Atlantic Ocean nearshore waters by high temperature combustion and wet chemical oxidation ![]() |
미소장 |
31 | Fluorescence spectroscopy of coastal and marine waters ![]() |
미소장 |
32 | In-Process Quality Control for Manufacturing. by W. E. Barkman; ![]() |
미소장 |
33 | 1998.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ocean: comments on a controversy. Oceanography, 1, 14-17. | 미소장 |
34 | 1993. Data report on DOC and DON measurements made at SIO, 1988-1991. Mar. Chem., 41, 271 - 28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