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다산의 '윤집궐중(允執厥中)'론 / 백민정 1

국문요약 1

1. 들어가는 말 3

2. 다산과 인심도심설 사이의 관계 5

3. 인심도심·유정유일·윤집궐중에 대한 다산과 주자 입장의 비교 12

4. 다산의 윤집궐중(允執厥中) 혹은 집중(執中) 공부의 의미 19

5. 나가는 말 29

〈참고문헌〉 33

Abstract 35

초록보기

이 글은 ?고문상서? ?대우모? 16자 심법(心法)에 대한 다산의 입장을 밝힌 것이다. 다산은 ?대우모?의 심법이 매색의 위작이란 점을 비판하면서도, 매색이 인용한 인심도심설과 유정유일, 윤집궐중의 철학적 가치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했다. 특히 인심도심설은 주자학에 대한 비판자로서의 다산의 면모에 어울리지 않게 그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심성론이었다. 그는 주자의 인심도심설을 공자의 극기복례, 맹자의 대체소체론과 연속적으로 이해했다. 그리고 이 계보를 통해 주자를 유학의 중흥조라고까지 칭송한다. 그러나 유정유일과 윤집궐중의 공부법에 대해서 그는 주자와 분명히 입장을 달리한다. 특히 윤집궐중을 시중설(時中說)로 풀이하는 주자를 비판하면서, 다산은 요순의 윤집궐중을 중(中)을 잡아 지키는 집중(執中)의 공부론으로 풀이한다. 바로 이 집중공부를 통해 다산은 주자의 평상시 미발 함양공부를 대체할 만한 자신의 독특한 공부법을 제안하게 된다. 더 나아가 다산은 집중공부를 병덕(秉德)의 공부로, 인심도심공부를 성심찰성(省心察性)의 공부로 요약하면서, 두 공부 간의 관련성 역시 강조하고 있다. 필자는 이것을 중(中)과 용(庸) 개념을 통해서 해명하려고 한다. 이처럼 주자학의 심성론에 속하는 인심도심설 그리고 특히 윤집궐중론에 대해서 다산이 어떻게 생각했는지 살펴봄으로써, 주자학에 대한 다산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기술해보고자 했다. 그러나 이런 시도는 다산의 입장을 주자학과의 관계 속에서 해명하려 한 것이라기보다, 다양한 사상들을 비판적으로 종합한 다산철학의 체계성을 살펴보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었을 뿐이다.

The purpor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Simbeob written by 16 letters(16字心法) in ‘Daewumo(大禹謨)’ chapter, Gomunsangseo(古文尙書). Ch?ng Yagyong criticised this text for being forged, but made great account of the philosophical insight of this text. Especially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theory of Insim·Dosim(人心·道心), Yuj?ngyuil(惟精惟一) and Yunjibgweoljung(允執厥中). Interestingly Ch?ng Yagyong agreed with Zhu xi(朱熹)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Insim·Dosim, and disagreed with him on the interpretation of Yunjibgweoljung and Yuj?ngyuil. For he regarded Yunjibgweoljung as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Jibjung(執中), which he wanted to substitute for the self-cultivation theory of Mibal(未發). Much more, he interpreted the theory of Jibjung as Byongdeok(秉德) and the theory of Insim·Dosim as S?ngsimchals?ng(省心察性), paid attention to the intimate relation between two theories of self-cultivation. Therefore my study purported to examine two theories of self-cultivation according to two concepts of Jung(中) and Yong(庸), which helps to illuminate the philosophical relation between Ch?ng Yagyong and Zhu xi and the synthetical character of Ch?ng Yagyong’s philosophical syste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목민심서(牧民心書)』의 이해 :다산 정치학과 관련하여 임형택 pp.7-38

보기
다산 예론(禮論)의 실천적 함의 박종천 pp.39-76

보기
고례(古禮) 중심의 예교(禮敎) 사상과 그 경학적 토대에 대한 고찰 :다산의 『상의절요(喪儀節要)』와 『주자가례(朱子家禮)』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동우 pp.77-131

보기
다산의 '윤집궐중(允執厥中)'론 백민정 pp.133-168

보기
다산 정약용(丁若鏞)의 세계관 :인륜세계 실현의 이론적 기초에 대한 탐구 한정길 pp.169-209

보기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본 탈성리학적 정치론 :황종희(黃宗羲), 오규 소라이(荻生조徠), 정약용 김대중 pp.211-265

보기
권근(權近)의 경전 이해와 후대의 반향 이봉규 pp.267-301

보기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대학사변록(大學思辨錄)」에 대한 재검토 :『대학장구대전(大學章句大全)』의 주자주(朱子註)에 대한 비판적 고찰의 의미를 중심으로 강지은 pp.303-331

보기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문인화관 연구 :남종문인화의 수용을 중심으로 정혜린 pp.333-364

보기
조선후기 지성사와 제자백가 :특히 『관자(管子)』와 『노자(老子)』의 독법과 관련하여 심경호 pp.365-405

보기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의 실심적(實心的) 실학관 장병한 pp.407-429

보기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금장태, (2002) 다산의 심(心) 개념과 마테오 릿치의 영혼론, 서울대종교문제연구소 미소장
2 김문식, (1996) 조선후기경학사상연구, 일조각 미소장
3 백민정, (2006) 심성론을 중심으로 본 정약용과 마테오 리치 사이의 관계, 연대국학연구원 미소장
4 성태용, (2001) 다산학에 있어서 몸 기름과 마음 기름, 미소장
5 송영배, (2004) 다산철학과 천주실의의 패러다임 비교연구, 서강대인문과학연구원 미소장
6 The Future of Silhak Research of East Asia - Connected with Silhak Research in Korea 소장
7 유권종, (2003) 후기실학과 성리학의 관계, 한국보학연구회 미소장
8 동서 융합의 측면에서 본 정약용의 사상 소장
9 The Influence of Toegye Lee Hwang's Shimhak juk Lihak(心學卽理學) upon Dasan Jung Yak-yong's Formation in a Moral Theory 소장
10 이동환, (2005a) 다산 사상에서의 ‘상제’ 도입경로에 대한 서설적 고찰, 예문서원 미소장
11 (2005b) 다산 사상에서의 ‘상제’ 도입의 경로와 성격, 예문서원 미소장
12 이봉규, (2005a) 다산학연구의 최근동향과 전망, 다산학술문화재단 미소장
13 (2005b) 사서(四書) 해석을 통해본 정약용의 정치론, 다산학술문화재단 미소장
14 이상익, (2003) 정약용의 윤리사상에 대한 주자학적 반론, 연대국학구원 미소장
15 서학과 정다산의 성기호설 소장
16 장병한, (2001) 황종희의 상서고문소증서(序)에 대한 정약용의 변석: 금 고문상서에 대한 변석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회 미소장
17 (2004) 정약용의 상서 대우모 16자에 대한 경학논변: 18~19세기 한중 학자들과의 논변을 중심으로, 심산 미소장
18 한자경, (2005) 유교와 천주교 사이의 다산: 인간본성의 이해를 중심으로 논함, 이대한국문화연구원 미소장
19 한형조, (2001) 다산과 서학: 조선 주자학의 연속과 단절, 미소장
20 (2004) 주자 신학(神學)의 현대적 옹호, 한국실학학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