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도덕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향후 전망 : 인지발달론적 접근의 이론 확장과 적용 확대의 과정을 중심으로 / 홍성훈 1

I. 들어가는 말 1

II. 이론의 정립 및 확장 과정 2

1. Piaget : 이론적 토대의 형성 2

2. Kohlberg : 이론 정립 2

3. Rest : 이론적 확장 3

4. Gilligan : 도덕성 발달의 성(性)편향성 문제 6

5. Turiel : 영역이론의 제시 6

6. 신콜버그적 관점 9

III. 실제적 적용의 확대 과정 10

1. 딜레마토론 방식의 활용 10

2. 정의공동체 접근의 도입 12

3. 전문직 윤리 프로그램의 개발 14

IV. 맺음말 15

〈참고문헌〉 16

초록보기

및 평가이러한 영역이론은 과연 타당한가? Turiel에 의하면 도덕 영역은 사회적인 인습의 문제나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와는 개념 자체가 다른 영역이며, 도덕적 판단과 인습적 판단은 질적으로 다른 사회적 상호작용과 경험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발달 경로를 거친다(Lapsley, 1996). 그런데 도덕과 인습이 서로 다른 것이라는 점은 Kohlberg 이론에서도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두 영역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 때문에 양자 간의 상호 관련성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이와 마찬가지 맥락에서, Rest(1983)는 도덕과 사회적 인습이 서로 다르다는 것은 큰 의미가 없고, 오히려 양자는 별개의 영역으로 범주화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한 방식으로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이렇게 볼 때, 영역이론의 타당성은 결국 Kohlberg의 발달단계의 순차성이 정당한가의 문제로 귀결될 수 밖에 없다고 본다. 인습이후 수준은 Kohlberg의 발달 단계에서는 인습 수준보다 상위의 사고 구조임을 전제하고 있는데, 영역이론에서는 바로 이것을 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지금까지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을 넘나들며 수많은 논의와 논쟁을 불러 일으킨, 대단히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논외로 남겨 두고자 한다. 그러나, 도덕발달 단계 또는 수준의 위계성 문제를 접어두고 볼 때, 도덕의 영역과 인습의 영역이 서로 다른 별개의 것임을 밝힌 영역이론의 교육적 시사점은 도덕교육의 실제에 있어서 상당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라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방식 개선을 위한 탐색 허경철 pp.1-22

보기
미래 사회에 대비한 초·중·고등학교 도덕·윤리과 교육의 발전과제 정세구 pp.23-38

보기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차우규 pp.39-60

보기
중학교 도덕과 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양방주 pp.61-82

보기
고등학교 도덕·윤리과 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선택 교육과정의 차별화 박장호 pp.83-108

보기
도덕과 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한 교육과정 전문가의 소견 김재춘 pp.109-121

보기
도덕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도덕 교육에 대한 교육철학적 연구 동향 조난심 pp.122-146

보기
도덕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향후 전망 :인지발달론적 접근의 이론 확장과 적용 확대의 과정을 중심으로 홍성훈 pp.147-166

보기
도덕 교과서에서 강조된 연대성의 의미 강두호 pp.167-179

보기
전체론적 환경윤리와 도덕교육 노희정 pp.180-193

보기
한국 시민윤리교육 실태조사 ,2 :14세 학생의 시민윤리적 참여와 정치적 행동을 중심으로 박효종 ;손경원 ;김항인 ;서은숙 pp.194-211

보기
제 7차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신현우 pp.212-226

보기
인터넷 중독과 히키코모리에 대한 문제 탐색 이진희 pp.227-247

보기
한국의 도덕과 교육에서 구성주의적 관점의 적용을 위한 조건 및 방법 탐색 정창우 pp.248-271

보기
학교 공동체 내의 도덕적 메시지(덕목)에 대한 문화의 영향 :한국 초등학교와 미국 초등학교의 비교연구 정탁준 pp.272-289

보기
중국의 초, 중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차우규 pp.290-305

보기
사이버 공간의 도덕과교육적 함의 추병완 pp.306-320

보기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96). 전문서비스업 종사자의 직업윤리. 새시대의 직업윤리. 사단법인 신사회공동선 운동연합. 235-259. 미소장
2 (1986). 인지발달론의 관점에서 본 도덕성 발달 연구의 문제와 전망. 교육이론, 1(1).서울대학교교육연구회. 55-83. 미소장
3 (1988). 도덕과 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 미소장
4 (1999), 대학에서의 인성교육,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대학인성교육연구팀 발간자료. 미소장
5 (1999), “전문직 도덕성 연구의 동향과 전망”, 교육심리학의 새로운 쟁점과 이론, 운천 이성진 박사정년기념 논문집 p.399~420. 미소장
6 (1996), 『윤리학과 도덕교육』 ,서울:인간사랑. 미소장
7 도덕교육의 이해 , 서울: 백의, 1999. 미소장
8 의료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연구 : 의과대학생의 도덕 판단력·민감성·행동선택을 중심으로 소장
9 (2001). 인지발달론의 관점에서 본 전문직 도덕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학연구 39(2). 한국교육학회. 63-80. 미소장
10 (1969), The effects of classroom moral discussion upon children's level of moral thought.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 of Chicago. 미소장
11 The Effects of Classroom Moral Discussion upon Children's Level of Moral Judgment 네이버 미소장
12 In a Different Voice: Women's Conceptions of Self and of Morality 네이버 미소장
13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 "Educating for Justice and Community: Lawrence Kohlberg's Vision of Moral Education" in Kurtines, W. M. and Gewirtz, J. L. (eds.), Moral Development : An Introduction (Boston: Allyn and Bacon, 1995) 미소장
15 Irreversible, Stepwise Sequence in the Development of Moral Judgment: A Longitudinal Study of Males and Females 네이버 미소장
16 (1958). The development of modes of moral thinking and choice in the years 10 to 16. University of Chicago: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미소장
17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childhood and adult moral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18 (1976). Moral stage and moralization: The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In T. Likona (Ed.), Moral development and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social issues. NY: Holt, Rinehart & Winston. 미소장
19 Moral Psychology, Boulder, Colorado: Westview Press, 1996. 미소장
20 Curricular Effectiveness in Moral/Values Education: A Review of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21 (1991), "Doing justice to morality in contemporary values education". In J. S. Benninga (Ed.), Moral, character, and civic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pp. 21-42). New York :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22 (1991), "The domain approach to values education : From theory to practice". In W. M. Kurtines & J. L. Gewirtz (Eds.),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Vol. 3 : Application (pp. 251-266).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23 (1932/1965), The moral judgment of the child. Glencoe, IL: Free Press. 미소장
24 (1989), Lawrence Kohlberg's Approach to Moral Educ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25 Morality: Religious and Secular: The Dilema of the Traditional Conscience. by Basil Mitchell; 네이버 미소장
26 (1994), Moral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s : Psychology and Applied Ehic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미소장
27 (1999), Postconventional moral thinking: A neo-Kohlbergian approach, Mahwah, NJ: Erlbaum. 미소장
28 A Neo-Kohlbergian Approach to Morality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29 Does Moral Education Improve Moral Judgment?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Using the Defining Issues Test 네이버 미소장
30 (1983). The development of social knowledge: Morality and convention.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1 Sex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A Critical Review 네이버 미소장
32 A Longitudinal Study of Moral Reasoning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