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온라인과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공중 세분화 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정호 ; 박노일 ; 정진호 1
[요약] 1
1. 연구배경과 목적 2
2. 이론적 배경 4
1) 온라인 공중 (Online Public) 4
2)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과 공중세분화 5
3) 온라인상의 공중 세분화 8
3. 연구문제 및 가설설정 13
4. 연구방법 15
1) 개념 정의 15
2) 실험처치 16
3) 측정변인 신뢰도 18
4) 피실험자 표집과 분석 18
5. 연구결과 19
1) 연구문제 1 19
2) 연구문제 2 20
3) 연구문제 3 22
6. 결론 23
■ 참고문헌 ■ 26
[요약] 31
인터넷 이용의 보편화는 조직체를 둘러싼 공중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의 인터넷 PR 연구들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공중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단순히 홈페이지를 분석하거나, 웹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인터뷰 연구 등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루닉이 제시한 상황이론을 바탕으로 동일한 이슈에 대해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공중 세분화 변인과 관련 정보추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혼전동거’ 이슈를 중심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따라서 공중 세분화의 변인인 제약인식, 문제인식, 관여도, 그리고 정보처리행동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험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오프라인에 비해 온라인 상황에서 공중들의 제약인식은 약해지는 반면 문제의식과 관여도가 높아졌다. 또한 온라인 상황에서 더욱 더 적극적인 정보추구행동을 보이며, 관여도가 높고, 제약인식은 낮은 동시에 문제를 중요시 인식하는 경향 보이는 활동 공중의 비율이 오프라인에 비해 크게 차이가 남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상황에서 특정 쟁점을 중심으로 공중이 보다 쉽게 활동 공중으로 변질될 수 있으며, 이들이 현실 공간의 활동 공중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Since the rising of internet, it influences the public relations of organization. Previous internet PR researchers simply analyzed web pages or characteristics of their users through interview, without any specific definition of internet users and onlin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ituational variances in real space and cyber space, how the public in these different spaces are segmented and changed when the public face and communicate with the same issue (premarital cohabitation) based on situational theory which was proposed by James Grunig (1983). Through an experimental research, the groups of experiment were divided into two; off-line public and online public, then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ir perceptions on the same issue and communication behaviors. The result shows that the online public is highly engaged with “recognition of problem” and level of involvement and lower 'constraint recognition than the off-line public. Moreover, online public show more active communication and behavior to seeking information. Furthermore, the result unveils that the online public group has more ‘active public’ that is a combinational variances of situational theory than off-line public group. Development of internet has divided the world into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hese two spaces are different, but exist at the same time. The borderline of cyber space and real space are getting ambiguous. Thus, ratio of the active public is higher in cyber space than real space and online active public has more possibility to become the active public in real world.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남명 조식의 경(敬)·의(義)사상과 언론활동에 관한 연구 | 김세철 | pp.5-46 |
|
보기 |
공론권(公論圈)으로서의 첨성대(瞻星臺) 연구 | 김영주 | pp.47-77 |
|
보기 |
장르의 속성에 대한 고찰 | 박승현 ;이윤진 | pp.78-107 |
|
보기 |
가차 저널리즘(gotcha journalism)의 뉴스담론 구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해찬 골프사건'과 '이명박 테니스사건'을 중심으로 | 박주현 | pp.108-143 |
|
보기 |
인터넷 광고 측정기준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 이시훈 | pp.144-184 |
|
보기 |
국가 간 영화흥행요인 비교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과 미국 영화시장에서 미국 영화의 흥행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 이양환 ;장병희 ;박경우 | pp.185-222 |
|
보기 |
일간지 과학지면의 특성과 보도 경향 비교 연구 :1994년과 2004년의 조선, 중앙,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 이화행 | pp.223-261 |
|
보기 |
영국 방송의 디지털전환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바이드의 관점에서 | 정군기 | pp.262-291 |
|
보기 |
한국의 여성 몸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MBC 100분 토론>의 "몸의 시대, 살빼기와 성형 열풍"을 중심으로 | 정재철 | pp.292-318 |
|
보기 |
온라인과 오프라인 커뮤니케이션 상황이 공중 세분화 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정호 ;박노일 ;정진호 | pp.319-35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2) 웹사이트 캠페인이 기존 뉴스미디어 의제와 공중의제에 미치는 영향 의제설정기능을 중심으로, | 미소장 |
2 | (2001) 가상공간에서의 정치적 숙의 가상공간내 정치토론이 의견의 질과 여론과정에 대한 지각 그리고 정치적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 미소장 |
3 | (2004) 인터넷상에서의 자아인식과 집단인식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미소장 |
4 | (1997) 환경문제에 대한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상황적 이론, | 미소장 |
5 | (2000) 숙의 민주주의와 시민성의 의미, | 미소장 |
6 | (2003) 공중의 분류와 이슈 활동성 예측, | 미소장 |
7 | (2003) 온라인 공중 : 개념, 특성, 공중세분화에 관한 논의, | 미소장 |
8 | (200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세계사 | 미소장 |
9 | (1995) 개발사례 및 Demonstration, 한국산업정보연구원 | 미소장 |
10 | (2003) 인터넷 웹사이트의 의제설정 효과, | 미소장 |
11 | (1998) 서베이 중심의 2차적 공중의 관여도와 정보행동 및 매체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일차적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2차적 연구, | 미소장 |
12 | (2003) 공중의 정보추구 정도에 따른 인터넷 언론 이용 특성, | 미소장 |
13 | (1995) 멀티미디어 시대와 국가홍보 , | 미소장 |
14 | (1997) 대학 PR 수단으로서의 인터넷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15 | (2002) 쟁점유형별 공중의 문제인식 및 정보추구 행동에 미치는 매스미디어의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6 | (1998) Grunig의 상황적 이론에 관한 연구, | 미소장 |
17 | (2001) PR의 새로운 패러다임,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18 | (2002) 인터넷으로 PR 하기,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19 | (2000) 한국과 미국의 인터넷 홈페이지 비교분석을 통한 국가홍보 개선방안 연구 , | 미소장 |
20 | (2003189~229) 인터넷 이용자의 여론지각과 의견표현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의 비교, | 미소장 |
21 | (1991200~210) Applying situational communication theory to an international political problem, | 미소장 |
22 | (1996) Advertising on the World Wide Web, | 미소장 |
23 | (1995) The emergence of community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미소장 |
24 | (1966)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Free press | 미소장 |
25 | (2000) Effective Public Relation, | 미소장 |
26 | (2001) Online Journalism , Pluto Press | 미소장 |
27 | (1992)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 미소장 |
28 | (1999) Public Relation on the net, | 미소장 |
29 | (1978) Defining publics in public relations The case of a suburban hospital, | 미소장 |
30 | (1983a) Communication behaviors and attitudes of environmental publics, | 미소장 |
31 | (1983b) Washington reporter publics of corporate public affairs programs, | 미소장 |
32 | (1989b199~201) Segmentation Principles for Campaigns, in C | 미소장 |
33 | (19841989) 현대PR의 이론과 실제, | 미소장 |
34 | (1992) in Excellence in Public Relations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미소장 |
35 | (1972) The agenda-setting function of mass media, | 미소장 |
36 | (1983) The Spiral of Silenc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37 | (2002) Collective action in the age of internet: mass communication and online mobilization, | 미소장 |
38 | (1996) Creating a democratic public sphere through political discussion : A case study of abortion conversation on the Internet, | 미소장 |
39 | (1991189~203)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 미소장 |
40 | (1996) Advertising on the Interne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estminster | 미소장 |
41 | (1999) The world wide web as a public relations medium : The use of research, planning, and the evaluation in web site development, | 미소장 |
42 | (1985)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