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평균체중 96 ± 3.6 g (평균전장 43 cm)의 극동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 대한 포르말린의 급성독성 실험 (수온 27~28℃, pH 7.4, 용존산소량 5.6 ppm)을 실시하였다. 특히 이 시험은 뱀장어에서 Pseudodactylogyrus 구제를 위해 포르말린을 사용할 때 치료농도에서 뱀장어가 안전한가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포르말린 농도별 (0~500 ppm) 침지 후, 500 ppm에서는 10시간째, 400 ppm에서는 24시간째 전 실험어가 사망하였다. 24시간 경과한 후 300 ppm에서는 96.6% 그리고 200 ppm에서는 13.3%의 누적사망률을 각각 나타내었다. 그러나, 100 ppm에서는 24시간 동안 실험어가 모두 생존하였다. 뱀장어에 대한 포르말린의 24시간-LC50은 269 ppm으로 나타났다.

Acute toxicity of formalin (37% formaldehyd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edian lethal concentration (LC50) on eel (avarage weight 96 ± 3.6 g, average total length 43 cm), Anguilla japonica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 to 500 ppm.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safety concentrations of formalin in testing eels to eradicate Pseudodactylogyrus. All fish died after 10 hours and 24 hours at 500 ppm and 400 ppm, respectively. After 24 hours, cumulative mortality was 96.6% and 13.3% at 300 ppm and 200 ppm formalin, respectively. However, all experimental fish were alive after 24 hours at 100 ppm. The lethal concentration values were computed by using non-linear least square method. At the start of the test, water temperature, pH and dissolved oxygen level were 27~28℃, 7.4 and 5.55 ppm, respectively. The 24 hr-LC50 were 269 pp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피볼락에 대한 Vibrio harveyi의 병원성 최정현 ;원경미 ;손새봄 ;박효진 ;변순규 ;이배익 ;이종하 ;김이청 ;박수일 pp.99-108

제주도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한 비 용혈성 연쇄구균의 동정 강철영 ;강봉조 ;문영건 ;김기영 ;허문수 pp.109-117

Regulation properties of phospholipase Cδ cloned from Misgurnus mizolepis Na Young Kim ;Sang Jung Ahn ;Soo Jin Jeon ;Jung Soo Seo ;Moo Sang Kim ;Sang Hwan Lee ;Ju Eun Je ;Ji pp.119-127

인공종묘 생산 황복 (Takifugu obscurus)치어의 척추 변형에 관하여 박성우 ;강국희 pp.129-137

HPLC에 의한 뱀장어 (Anguilla japonica) 혈장중의 acethylsalicylic acid (aspirin)과 salicylic acid의 측정 김동완 ;구재근 ;박성우 pp.139-145

3종의 연어과 어류와 수정난으로부터 분리한 물곰팡이병 원인 진균의 분류와 약물 효과 지보영 ;이덕찬 ;김나영 ;정승희 ;박수일 pp.147-160

뱀장어에 대한 포르말린의 24시간 반수치사농도(LC_50_) 정승희 ;이주석 ;지보영 ;서정수 ;김진우 ;김응오 pp.161-167

우리 나라 천해양식장 주변의 테트라사이클린 내성균에서 나타나는 tet genes의 분포 전려진 ;정준범 ;김재훈 ;이창훈 ;김은희 ;정현도 pp.169-178

손바닥선인장 줄기 가수분해 분획물 (MBT-01108)의 넙치 세균성질병 예방효과 지보영 ;이남실 ;김주완 ;박미선 ;정승희 pp.179-187

항바이러스 활성 유도 물질에 대한 잉어의 선천성 면역 반응 조미영 ;김수미 ;김은전 ;손상규 ;김진우 ;박수일 pp.189-200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87) Heamatological effects of sublethal concentration of formalin on Sarotherodon mossambicus, 미소장
2 Bodensteiner, (1993) Effects of repetitive formalin treatments on channel catfish juveniles, 미소장
3 Clemens, (1958) The chemical control of some diseases and parasites of channel catfish, 미소장
4 Cruz, (1989) Tolerance level and histopathological response of milkfish fingerlings to formalin, 미소장
5 Hall, J.A, (1998) Standard methods for whole effluent toxicity testing: deveolopment and application, 미소장
6 Hinton, (1978) Toxicity of ten commonly used chemicals to american eels, 미소장
7 (1979) Toxicity of ten chemicals commonly used in aquaculture to the black eel stage of the american eel, 미소장
8 (2003) Effects of formalin on haematological and blood chemistry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미소장
9 (1972) Mixtures of malachite green and formalin for controlling ichthyophthirius and other protozoan parasites of fish, 미소장
10 (1993) The safety concentration of chemotherapeutic agents on Penaeus japonicus, 미소장
11 (1977) Toxicity of formalin and patassium permanganate to the glass eel stage of American eel Proceeding of the 8th Annual Meeting, 미소장
12 (2000) Treatment of trichodiniasis in eel (Anguilla anguilla) reared in recirculation systems in Denmark: alternatives to formaldehyde, 미소장
13 (1987) Disease problems in Danish eel farms, Mellergaard and Dalsgaard 미소장
14 (1973) Factors influencing formalin toxicity in trout, 미소장
15 (1963) Formalin in the hatchery, 미소장
16 (1998) Effects of acute toxicity of chemicals treatments on the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미소장
17 (1984) Study of quality in fish and sheefish as food-Ⅰ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in various tissues of cultured eel by formalin bath, Mie Univ 미소장
18 (1974) Stress of formalin treatment in juvenile spring chinook salmon, 미소장
19 (1981) Some effects of the rapeutic levels of formalin and copper sulphate on blood parametens in rainbow trout, 미소장
20 (1991) Effects of formalin on gas exchange in the gills of carp Cyprinus carpio, 미소장
21 (1998) アコヤガイに對するホルマリンの急性毒性, 미소장
22 (2002) 나일틸라피아 치어에 미치는 염화나트륨, 포르말린 및 과망간산칼륨의 급성독성, 미소장
23 (2000) 유럽산 및 북미산 뱀장어 양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해양수산부 미소장
24 (1996) 담수산 양식어류의 질병, 한국수산신보사 미소장
25 (2000) 해산양식어류의 질병, 한국수산신보사 미소장
26 (2006) 미승인 수산용 의약품의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용역, 해양수산부 미소장
27 (1998) 넙치 치어에 대한 포르말린의 반수치사농도 (LC50) 및 반수치사시간 (LT50), 미소장
28 (2007) 어업생산통계, 해양수산부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