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가족의 위반에서 장르의 위반으로 : 뤼스 이리가레 Luce Irigaray의 페미니즘 이론을 통하여 본 프랑수아 오종 Francois Ozon의 『스위밍 풀 Swimming Pool』과 『8명의 여인들 8 femmes』 / 이송이 1

〈차례〉 1

1. 서론 2

2. 본론 4

2.1. 가족의 위반 4

2.1.1. 위기의 가족과 "아버지" 4

2.1.2. 역전된 교환 5

2.1.3. 역할의 위반 8

2.2. 장르의 위반 10

2.2.1. 위기의 뮤지컬 11

2.2.2. 전복의 멜로드라마 13

2.2.3. 층위의 위반 15

3. 결론 17

참고 문헌 및 영화 자료 20

● Filmographie 20

● Bibliographie 20

● 참고 인터넷 사이트 21

〈Resume〉(이미지참조) 2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행동하는 지식인의 전통 :프랑스의 누벨바그 김남연 ;윤학로 pp.1-24

보기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어학적 작업에 대한 연구 :사전 편찬을 중심으로 김동섭 pp.25-46

보기
포스트모던 이미지와 성스러움의 문제 김병욱 pp.47-71

보기
한국어 관형사의 통사기능과 범주에 관한 고찰 김선미 pp.73-101

보기
미디어 텍스트의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텔레비전 뉴스 서사를 중심으로 김성호 ;조영권 ;김흥도 pp.103-133

보기
프랑스 BD의 출판 산업에 관한 고찰 김예숙 pp.135-161

보기
20세기 프랑스의 음악 정보학과 전자 음악 연구자 집단들에 대한 연구 김진호 pp.163-193

보기
새로운 감성과 인지의 '포에티시테' :아르튀르 랭보에 내재된 영상시학으로부터 시와 영화의 상호 대화와 결합까지 김혜신 pp.195-227

보기
현대 연극 담론에 있어서 인류학과 탈근대성 김 효 pp.229-250

보기
파리 광장 문화의 평생학습적 성격 선미라 pp.251-274

보기
르네상스 시기의 궁정문화와 정치권력의 상호성 손주경 pp.275-298

보기
루이 푀야드의 <사망자의 살인Le mort qui tue>의 영화기술 연구 송기형 pp.299-320

보기
랭보 시 연구와 '침묵의 신화 mythe du silence' 신옥근 pp.321-347

보기
세계화 시대의 프랑스의 문화경쟁력 :문화지표 분석 및 박물관 문화를 중심으로 오정숙 pp.349-370

보기
글쓰기 주체로서의 내면적 자아 연구 :계몽주의에서 질 들뢰즈까지 유재홍 pp.371-398

보기
가족의 위반에서 장르의 위반으로 :뤼스 이리가레 Luce Irigaray의 페미니즘 이론을 통하여 본 프랑수아 오종 François Ozon의 『스위밍 풀 Swimming Pool』과 『8명의 여인들 8 femmes』 이송이 pp.399-421

보기
디드로와 그뢰즈의 풍속화 이은주 pp.423-445

보기
한국 대학의 프랑스 문화교육에 대한 연구 :불어불문학과의 전공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이정민 pp.447-486

보기
자크 고드부의 『안녕 갈라르노!』에 나타난 퀘벡성(la québécité)과 퀘벡인의 정체성 추구 이지순 pp.487-503

보기
프랑수아 트뤼포의 <400번의 구타>에서 글과 이미지의 기능과 의미 임혜경 pp.505-528

보기
'Le secret' dans l'amour courtois médiéval Chung Kyung-nam pp.529-547

보기
프랑스 '문화'의 관념적 사고 전통과 현대 '문화 정책'의 변화 정광흠 pp.549-582

보기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과 미술 비평 :자코메티의 경우 지영래 pp.583-606

보기
시 번역의 몇 가지 쟁점들 :본느푸아(Yves Bonnefoy)의 번역론을 중심으로 한대균 pp.607-630

보기
상상력의 교육과 교육적 상상력 홍명희 pp.631-651

보기
Etude méthodologique pour la réalisation d'un systéme de traduction Coréen-Français appliquè aux textes injonctifs ,2 :Repri2easentation et traitement des informations si2eamantique Hong Mi-seon pp.653-690

보기
Nature, lieux et paysages dans les films et dramas Coréens Jean-charles Jambon pp.691-715

보기
Evolution de la politesse dans la société Française Raphanel Element pp.717-758

보기
La rêverie de la nature chez Jean Grenier Yves Millet pp.759-775

보기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Franois OZON, (2001) 8 Femmes, 미소장
2 Franois OZON, (2003) Swimming Pool, 미소장
3 AUMONT, Jacques, (2004) L'analyse des films, Armand Colin 미소장
4 CHION, Michel, (2002) La Comdie musicale, 미소장
5 IRIGARAY, Luce, (1977) Ce sexe qui n'en est pas un, 미소장
6 IRIGARAY, Luce, (1999) Entre Orient et Occident, Grasset 미소장
7 IRIGARAY, Luce, (1990) Je, tu, nous, 미소장
8 IRIGARAY, Luce, (1989) Le temps de la diffrence, 미소장
9 IRIGARAY, Luce, (1974) Speculum de l'autre femme, 미소장
10 IRIGARAY, Luce, (1977) Woman's Exile : Interview with Luce Irigaray, 미소장
11 JULIER, Laurent, (2007) Lire les images de cinma, Larousse 미소장
12 LALANNE, Jean-Marc, (2002) Les Actrices: Huit Femmes de Franois Ozon, 미소장
13 MOINE, Raphalle, (2005) Les genres du cinma, 미소장
14 PINEL, Vincent, (2006) Cinma franais, 미소장
15 PRDAL, Ren, (2003) Le Jeune cinma franais, Nathan 미소장
16 OZON, Franois, (Mars2007) Franois Ozon - Angel, 미소장
17 OZON, Franois, (Mars2007) Rencontre avec Franois Ozon, 미소장
18 남다은, (2003) 프랑수아 오종의 <8명의 여인들> : 히스테리 주체와 여성 중심적 교환관계의 발전 in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미소장
19 엘렌 밀라드 저, (1991) 프랑스 페미니즘 in 현대시사상, 미소장
20 토마스 사츠, (1996)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미소장
21 루이스 자네티, (2004) 영화의 이해, 현암사 미소장
22 www.archeediteur.com, 미소장
23 www.francois-ozon.com, 미소장
24 www.futuremovies.co.uk, 미소장
25 www.indielondon.co.uk, 미소장
26 www.sensesofcinema.com,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