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Allen Guttmann이 제시한 스포츠 근대성의 비판적 고찰 / 송형석 1

요약 1

Abstract 1

서론 2

본론 3

1. Guttmann이 제시한 근대 스포츠의 특징들 3

2. Guttmarm의 근대 스포츠 특징들에 대한 반론 6

결론 9

참고문헌 1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한태껸진흥회의 설립과 그 활동에 관한 연구 이승수 pp.1-12

보기
Allen Guttmann이 제시한 스포츠 근대성의 비판적 고찰 송형석 pp.13-24

보기
장자의 허심과 스포츠 자세 이학준 pp.25-32

보기
안자산의 武藝觀 연구 :<朝鮮武士英雄傳>을 중심으로 김이수 pp.33-42

보기
체육계열 대학생의 공격성이 우울 및 분노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주혁 ;소영호 pp.43-54

보기
생활체육 참가자의 언어폭력 경험과 공격성, 중도탈락 의도 및 운동참가의 관계 강신욱 pp.55-67

보기
학교체육시설 복합화를 위한 BTL 교육시설사업의 개선방안 이근모 ;이남미 pp.69-79

보기
청소년의 이종격투기경기 관심도가 시청정도 및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박소영 ;이근모 pp.81-90

보기
월드베이스볼클래식(world baseball classic) 한·일전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주요 신문보도 비교분석 조성식 ;유재구 ;김혜자 pp.91-100

보기
상담(person-centered) 및 PST를 적용한 불량선수 사례연구 김재원 pp.101-113

보기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자들의 건강위험 발생가능성 및 심각성 요인이 의사결정균형과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김찬원 ;김석일 pp.115-125

보기
과제난이도에 따른 활동관찰의 작용기전 차이 김태호 ;박상범 pp.127-134

보기
학생의 스포츠교육 수업에 대한 체험 최원준 ;김진희 pp.135-148

보기
초등 체육교육에 대한 담임교사들의 신념 박재정 pp.149-161

보기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 박대권 ;김명수 ;조호제 pp.163-174

보기
고등학교 '체육과 건강' 교과서 분석에 따른 교과서 개발의 개선 방향 탐색 유정애 pp.175-185

보기
지역주민의 스포츠이벤트 관심도가 지역경제 변동 및 지역SOC의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민철 pp.187-197

보기
스포츠센터의 리더십 유형과 팀 커뮤니케이션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한정훈 pp.199-209

보기
골프용품 브랜드 개성유형과 소비자·제품 특성요인에 미치는 영향 유광길 ;정경회 ;최형원 pp.211-220

보기
프로축구 스폰서십 활동이 광고효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오준석 pp.221-230

보기
선수 이미지, 선수와 브랜드 이미지 일치성 및 브랜드 자산간의 인과관계 이현정 pp.231-241

보기
지역사회 고령자의 신체활동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미국 NCOA의 best practice 사례고찰 홍승연 pp.243-256

보기
수영장사고에 관한 법적 고찰 손석정 pp.257-268

보기
골프대회 참가자들의 소비특성 및 소비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우정 pp.269-279

보기
조국순례대행진 참가학생의 참여동기와 자아성취감의 관계 김용규 ;김덕진 pp.281-290

보기
한강 국제비치발리볼대회 관람 만족도가 이미지, 구전의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김학신 pp.291-301

보기
골프참가동반자에 따른 골프소비성향의 차이 우종웅 ;이찬형 ;김지은 pp.303-312

보기
국가대표출신 프로골프선수의 프로전향 전후의 갈등과 기량저하 송병주 ;이철원 ;전태준 pp.313-323

보기
여대생의 신체이미지 차이지각에 따른 여가활동유형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윤희 ;이철원 ;한우진 pp.325-337

보기
여가 스포츠 참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최성범 pp.339-350

보기
여대생의 생활체육 참여와 A형 행동유형 및 상태불안의 관계 김덕진 ;김용규 pp.351-359

보기
한국 춤 호흡에 관한 심리학적 탐색 신언경 pp.361-368

보기
직업무용수들의 예술정책 인식도에 따른 관심도 분석 김승일 pp.369-377

보기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lkemeyer, T. (1998). Spektakel-Gesellschaft und Spektakel-Sport: Ökonomie des Geldes und Ökonomie der Blicke. In G. Friedrich(ed.), Zeichen und Anzeichen-Analysen und Prognosen des Sports (61-72), Hamburg: Czwalina. 미소장
2 Bette, K. -H. (1999). Systemtheorie und Sport, Frankfurt a. M.: suhrkamp. 미소장
3 Blake, A. (1996). The body language: The meaning of modern sport, London: Lawrence & Wishart. 미소장
4 From Ritual to Record: Allen Guttmann's Insights Into Modernization and Modernity 네이버 미소장
5 Sport and social class 네이버 미소장
6 The Problems With Ritual and Modernization Theory, and Why We Need Marx: A Commentary on From Ritual to Record 네이버 미소장
7 Camus, A. (1960). The Wager of Our Generation, In J. O' Brien(translated), Resistance, Rebellion, and Death, New York: Vintage Books. 미소장
8 Court, J. (1992). Warum Doping unmoralisch ist - oder die praktische Aufgabe der Sportphilosophie. AGORA, Juli, 14-18. 미소장
9 Diem, C. (1949). Wesen und Lehre des Sports. Berlin. 미소장
10 Finley, M. & Pleket, H. (1976). The Olympic Games, New York. 미소장
11 Grieswelle, D. (1978). Sportsoziologie, Stuttgart. 미소장
12 Guttmann, A. (1978). From Ritual to Record: The Nature of Modern Sport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13 Heinemann, K. & Schubert, M. (1994). Der Sportverein - Ergebnisse einer reprasentativen Untersuchung. Schorndorf: Hofmann. 미소장
14 Heinemann, K. (1986). Zum Problem der Einheit des Sports und des Verlusts seiner Autonomie. In DVS (ed.). Die Zukunft des Sports. Schorndorf: Hofmann. 미소장
15 Higgs, Robert J. (1995). God in the Stadium: Sport and Religion in America.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미소장
16 Hoberman, J. (1995). Mortal Engines: Human engineering and the transformation of sport. Free Press. 미소장
17 Hoberman, J. (1996). Das Dopingkonzept und die Zukunft des Olympischen Sports. In Gebauer, G. (ed.). Olympische Spiele - die andere Utopie der Moderne Olympia zwischen Kult und Droge (197-222). Frankfurt a. M.: suhrkamp. 미소장
18 Hoffman, Shirl J. (1992). Sport and religion. Human Kinetics. 미소장
19 Of Remembering and Forgetting: From Ritual to Record and Beyond 네이버 미소장
20 Huizinga, J. (1950). Homo Ludens: A study of the paly Element in Culture, Boston: Beacon Press. 미소장
21 Hyland (1990). Philosophy of Sport. New York: Paragon House. 미소장
22 Kloeren, M. (1935). Sport und Rekord, Leipzig. 미소장
23 König, E. (1996). Kritik des Dopings: der Nihilismus des technologischen Sports und die Antiquiertheit der Sportethik. In Gebauer, G. (ed.), Olympische Spiele - die andere Utopie der Moderne Olympia zwischen Kult und Droge (223-244). Frankfurt a. M.: suhrkamp. 미소장
24 König, E. (2004) Ethik und die Zweckrationalitaet des technologischen Sports. In Pawlenka, C. (ed.). Sportethik: Regeln-Fairness-Doping (199- 211). Paderborn: mentis. 미소장
25 Lay, N. (1993). Sport and Religion : An Unholy Alliance. Tennessee: [s.n.] 미소장
26 Pawlenka, C. (2004). Doping im Sport Spannungsfeld von Natuerlichkeit und Kuenstlichkeit. In Pawlenka, C. (ed.). Sportethik: Regeln-Fairness- Doping (292-308). Paderborn: mentis. 미소장
27 Plessner, H. (1985). Die Funktion des Sports in der industriellen Gesellschaft. In Ders. Gesammelte Schriften X. Schriften zur Soziologie und Sozialphilosophie, Frankfurt. 미소장
28 Richardson, R. (1896). The New Olympian Games. Scribner`s Magazine, 20, 266-286. 미소장
29 Rittner, V. (1998) Sport in der Erlebnisgesellschaft. In Allmer H. & Schulz N. (ed.). Erlebnissport - Erlebnis Sport (28-45). St. Augustin: Academia. 미소장
30 Schulze, G. (1992). Die Erlebnisgesellschaft. Kultursoziologie der Gegenwart. Frankfurt a.M.: Campus 미소장
31 Thomas, C. (1983). Sport in a Philosophic Context. Philadelphia: Lea & Febiger. 미소장
32 나제만 역 (1985). 합리성의 한계. 서울: 법문사. 미소장
33 Globalization of Mixed Martial Art : Synthesis of Premodern and Postmodern 소장
34 A Religious Study of Sport 소장
35 박홍규 외 공편 (1992). 스포츠사회학. 나남. 미소장
36 Why is the Doping in Sport immoral? -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anti-doping discourse - 소장
37 A Study of Ritualization of Sport through Sport History 소장
38 전성우 역 (2002). ‘탈주술화’ 과정과 근대: 학문, 종교, 정치. 나남출판. 미소장
39 Why Should Social Theory Achieve the Cultural Turn? 소장
40 Decommodification, Resacralization, and Reenchantment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