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순수이성비판』 반성개념 장에서 칸트의 라이프니츠 비판에 관한 연구, 1 : 비판의 요점과 현상을 물자체와 구별하지 않았다는 비판에 대하여 / 윤선구 1
【요약문】 1
1. 서론 2
2. 칸트의 라이프니츠 비판에 대한 해석 5
1) 대상의 비교 원리에 대한 칸트의 입장 6
2) 칸트의 라이프니츠 비판 요점 15
3. 라이프니츠가 현상을 지성화했다는 칸트의 비판에 대한 비판적 검토 21
1) 칸트 비판의 의미 21
2) 라이프니츠에서 현상과 물자체의 구별 24
4. 맺음말 32
참고문헌 34
1. 원전 34
2. 2차문헌 35
〈Abstract〉 37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한원진과 이간의 논쟁에서 超形氣性의 성립문제 | 이종우 | pp.1-20 |
|
보기 |
동무 이제마 수양론의 현대적 의미 | 허 훈 | pp.21-45 |
|
보기 |
근대 불교의 대처식육(帶妻食肉) 문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박재현 | pp.47-70 |
|
보기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서 쾌락과 칭찬 | 손병석 | pp.71-93 |
|
보기 |
『순수이성비판』 반성개념 장에서 칸트의 라이프니츠 비판에 관한 연구 ,1 :비판의 요점과 현상을 물자체와 구별하지 않았다는 비판에 대하여 | 윤선구 | pp.95-132 |
|
보기 |
'사변적 정신'과 욕망의문제 | 임홍빈 | pp.133-158 |
|
보기 |
키르케고르의 '죄(성)'의 개념에 대한 인간학적 해석 | 박병준 | pp.159-184 |
|
보기 |
베르그송과 기억의 문제 :『물질과 기억』을 중심으로 | 최미숙 | pp.185-208 |
|
보기 |
제 3의 정신의학 토대로서 메를로-퐁티의 살의 공동체 :신체 현상학의 정신 치료적 함의 | 신인섭 | pp.209-243 |
|
보기 |
상상가능성, 우연성 그리고 동일성 | 신상규 | pp.245-272 |
|
보기 |
마이어와 데이빗슨 :해석에서 '동등성의 원리'와 '자비의 원리' | 최신한 | pp.273-300 |
|
보기 |
『미학대계』의 출간에 즈음하여 : 「미학대계」, 서울대학교출판부 편 <書評> | 이창환 [평] | pp.301-30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Descartes, R, Oeuvre de Descartes, | 미소장 |
2 | Descartes, R, (1960) Discours de la Methode, | 미소장 |
3 | Descartes, R, Meditationen uber die Gundlage der Philosophie mit den samtlichen Einwanden und , | 미소장 |
4 | Erwiderungen, (1972) ubers. u. hrsg. von Arthur Buchenau, | 미소장 |
5 | Kant, I, Kant′s Gesammelte Schriften, | 미소장 |
6 | (1902) der Deut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 zu Berlin, | 미소장 |
7 | Kant, I, (1976) Kritik der reinen Vernunft, | 미소장 |
8 | Kant, I, “Immanuel Kant uber die von der Konigli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 zu Berlin fur das Jahr, | 미소장 |
9 | Konigsberg 1804, die die Metaphysik seit Leibniz und Wolfs Zeiten in Deutschland gemacht hat hrsg. von D. Friedrich Theodor Rink, | 미소장 |
10 | Leibniz, W, (1965) Die philosophischen Schriften von G. W. Leibniz. Bd. I-VII, hrsg, | 미소장 |
11 | Leibniz, W, Vernunftprinzipien der Natur und der Gnade / Monadologie, zweite verbesserte Auflage, | 미소장 |
12 | Leibniz, W, (1968) Die Theodizee, ins Deutsch ubers, | 미소장 |
13 | Leibniz, W, (1991) Metaphysische Abhandlungen, | 미소장 |
14 | Leibniz, W, (1996) Hauptschriften zur Grundlegung der Philosophie, | 미소장 |
15 | Leibniz, W, (1996) Neue Abhandlungen uber den menschlichen Verstand, | 미소장 |
16 | Leibniz, W, (1987) Funf Schriften zur Logik und Metaphysik, ubers ins Deutsch und hrsg, | 미소장 |
17 | Spinoza, B, (1925) Spinoza Opera, hrsg, | 미소장 |
18 | Spinoza, B, Die Ethik nach geometrischer Methode dargestellt, | 미소장 |
19 | 칸트의 라이프니츠 비판 : '구별 불가능한 것의 동일성 원리'를 중심으로 | 소장 |
20 | 박 진, (2000년겨울) 칸트의 라이프니츠 비판, 한국철학회 | 미소장 |
21 | 박 진, (1998년겨울) 칸트의 반성 원리들에 관하여 (1), 한국철학회 | 미소장 |
22 | 윤선구, (1998년겨울) 현상세계의 형이상학적 근거, 한국철학회 | 미소장 |
23 | 이상락, (2004년봄) 역학체계에 따라 살펴 본 시간과 공간의 본질, | 미소장 |
24 | 조현수, (2007) 베르그손 철학에서 시간은 과연 잴 수 없는 것인가, | 미소장 |
25 | Stefan, (2004) Reflexion und Vorurteilskrtik, | 미소장 |
26 | McRae, Robert, (1976) Leibniz : Perception, Apperception and Thought, | 미소장 |
27 | Parkinson, G. H. R, Kant as a Critic of Leibniz. The Amphiboly of Concepts of Reflexion, | 미소장 |
28 | Smith, Norman Kemp, (1923) A Commentary to Kant′s ′Critique of pure Reason, | 미소장 |
29 | Zilsel, Edgar, (1913) Bemerkungen zur Abfassungszeit und Methode der Amphibolie der Reflexionsbegriff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