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체계 분석 / 김재욱 1

【요약】 1

I. 서론 3

II. 문법의 정의와 분류 체계 4

III. 학교 문법에서의 체계 문제 9

1. 문법 교육인가 국어지식 교육인가 9

2. '국어지식'이란 무엇인가 10

3. 학교 문법 내용 체계의 문제 12

IV. 한국어 문법에서의 체계 문제 15

1. 문법 관련 용어를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 16

2. 문법 기술(記述)을 어떻게 할 것인가 18

3. 한국어 문법 내용 체계를 어떻게 세울 것인가 20

V. 결론 23

참고문헌 24

[요약] 27

초록보기

최근 한국어교육에 관한 관심이 많아지고 문법 교육의 대상이 한국어 모어 화자로부터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 학습자까지 넓어지면서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 문법과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문법을 구분할 것인가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문법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살펴보면서 문법에 대한 정의에서 시작하여 문법의 하위부류인 표준 문법, 규범 문법, 학교 문법, 한국어 문법에 대한 정의를 규명하였다.이를 바탕으로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에서 ‘모범으로 따를 만한 문법’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표준 문법을 설정하고 그 하위에 실용 문법이며 공적인 강제력을 가진 문법으로서의 교육 문법과 규범 문법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고, 교육 문법의 하위 부류로 그 교육 목적과 대상에서 차이를 보이는 내국인을 위한 학교 문법과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으로 구분할 것을 제시하였다.그리고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 학교 문법은 그 체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용어상의 차이에서 시작하여 교과과정에서도 그 체계상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비하여 한국어 문법의 체계는 학교 문법을 그대로 제시한 내용과 새로운 체계를 모색한 것으로 나뉨을 보았고 이를 다시 문법 용어, 문법 기술, 문법 체계 부분으로 구분하여 학교 문법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한국어문법은 한국어 기본구조의 체계를 제시한 후 한국어 문법 형태를 중심으로 전문적인 문법 용어가 아닌 학습자의 배경지식 안에서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하여 문법 형태를 중심으로 기술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다만 한국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문법 용어 및 문법 형태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문법 그 자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An analysis of systems between School Grammar and

Korean Grammar

Kim, Jae-Wook

This study examined how to establish a system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To this end, the study defined grammar first, arranged the existing discussions on subset of grammar such as standard grammar, prescriptive grammar, school grammar, and Korean grammar, and investigated any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this, ‘standard grammar,’ which means ‘grammar to follow as a norm’, was defined, with subsets such as ‘educational grammar’ and ‘prescriptive grammar.’ In addition, ‘educational grammar’ was further classified into school grammar for Koreans and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 As for Korean grammar, Korean grammar books were analyzed to compare what came directly from school grammar and newly adopted details. Also, terms and systems used for Korean grammar were compared with those of school grammar, to analyze any difference; and the reasons that cause such differences in Korean grammar were presented.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ramework of ‘standard grammar’ integrating school grammar and Korean grammar in the range of grammar education for the future should be prepared first and thereby the system of school grammar and Korean grammar should be built in an educational perspectiv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남북한 주민의 의사소통 장애 요인과 그 해소 방안에 대하여 박종갑 pp.1-42

보기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체계 분석 김재욱 pp.43-70

보기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그 위상과 전망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양진오 pp.71-96

보기
문학의 분단해소와 이북문학의 수용 :통일문학의 형성과정을 위하여 노귀남 pp.97-128

보기
고려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의 구결 연구 :개인 소장본 <권1~권5>를 중심으로 남경란 pp.129-156

보기
표준국어대사전의 동사 정보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구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이은령 ;윤애선 pp.157-194

보기
서울 토박이말의 {어 가지고} 관련 어형별 실현 양상 범금희 pp.195-228

보기
한국어 표준 말하기 시험 측정 도구를 위한 기초 연구 :모의 인터뷰 평가와 학습자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김정숙 ;이동은 ;이유경 ;최은지 pp.229-258

보기
연변지역어의 인칭접미사에 대하여 鄭香蘭 pp.259-280

보기
退溪의 六友詩 類型에 따른 詩的形象과 그 의미 金榮淑 pp.281-314

보기
辨別要素를 통해 본 時調와 歌辭의 境界 박규홍 pp.315-346

보기
욕망의 변증법적 전개양상을 통해 살펴본 <최고운전>의 특징과 그 소설사적 의미 안창수 pp.347-394

보기
『최척전』에 나타난 공간의 형상 신태수 pp.395-428

보기
濯纓 金馹孫의 <續頭流錄> 攷 :記述方式과 作家意識을 中心으로 문범두 pp.429-466

보기
북한 고전산문관의 변모와 현대적 수용양상 김문태 pp.467-496

보기
정지용 후기 자연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자연관 금동철 pp.497-524

보기
조명암의 모더니즘 시 연구 서영희 pp.525-546

보기
『무정』에 나타난 근대 여성 공간의 성격 곽영미 ;노상래 pp.547-582

보기
주체성 기반의 문학논리 구성과 비평적 실천 :정태용론 강소연 pp.583-612

보기
황석영 희곡의 탈식민성 임기현 pp.613-652

보기
함세덕 <고목>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형상화 백승숙 pp.653-686

보기
대학생을 위한 올바른 글쓰기 전략 심영덕 pp.687-720

보기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000) 한국어회화1~6,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미소장
2 김중섭, (2000) 한국어1~6, 경희대 출 미소장
3 서울대 어학연구소, (1993) 한국어1~4, 한림출판사 미소장
4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2002)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5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2002) 교사용 지도서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6 연세대 언어교육연구원, (1992) 한국어1~6, 연세대 출판부 미소장
7 고영근, (2000) 우리나라 학교 문법의 역사,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8 국립국어원, (2005a)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1,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9 국립국어원, (2005b)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10 권재일, (2000) 한국어 교육을 위한 표준 문법의 개발 방향,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11 김광해, (1996) 함께 여는 국어교육-1996 겨울호, 전국국어교사모임 미소장
12 김광해, (2000) 21세기의 문법,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13 김광해, (2001) 국어과 교육의 성격과 목표,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14 (2003) 국어 지식 교육의 동향,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15 (199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16 (200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이중언어학회 미소장
17 (2002) 한국어 문법 교육의 체계와 방법론 토론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18 (2001)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19 (2007) 고급한국어 문법 교수요목의 개발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20 (2006)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문법 지식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미소장
21 (1993) 「국어의 공시적 기술과 형태소의 분석」, 태학사 미소장
22 (2003)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과제,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23 (2003)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상관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24 (2002) 한국어 교육용 문법 용어의 표준화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25 (2004) 한국어 문법화 형태의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26 (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7 (2000) 고등학교 <국어>를 통해 본 학교문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28 On the Description of Korean Grammar in Introductory Textbooks 소장
29 (2002) 한국어 문법 교육의 체계와 방법론’ 토론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30 (2000) 학교문법교육의현황,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31 (2002) 국어지식 영역의 연구 경향과 과제, 한국문화사 미소장
32 (2002) 한국어문법교육에서의‘표현항목’ 설정에대한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33 (2004) 한국어 교재의 문법 기술 방식, 이중언어학회 미소장
34 (2003)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 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미소장
35 (1987)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 연대 출판부 미소장
36 (2000) 학교 문법, 표준 문법, 규범 문법의 개념과 정의,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37 (2005) 한국어교수법, 태학사 미소장
38 (2006) 메타언어(Meta-language)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론 연구, 이중언어학회 미소장
39 (198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second edition, Prentice- Hall Inc 미소장
40 (1987) Language and Thinking in School, Owen Publishers 미소장
41 (1988) Techniques and Resources in Teaching Grammar,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42 (1993) A Reference Grammar of Korean, Tuttle Publishing Press 미소장
43 (2005) Practical English Language Teachng : Grammar, McGraw Hill 미소장
44 (1999) How to Teach Grammar, Longma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