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일반학생과 학부모의 장애학생 수용태도 : 일반학생의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박옥임 ; 김현숙 ; 문희 ; 김진희 1

ABSTRACT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1. 통합교육 3

2.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3

3. 일반학생 학부모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4

III. 연구방법 5

1. 연구대상 5

2. 연구도구 5

3. 자료분석 5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

IV. 연구 결과 6

1. 성별에 따른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6

2. 학년에 따른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6

3. 일반학생-학부모 간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 8

V. 결론 및 제언 9

참고문헌 9

초록보기

This study aims at determining attitu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getting inclusive education and their parent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rable inclusive education.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3 elementary schools and 2 middle schools and the participants were 117 elementary students, 288 middle students, 98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156 par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ee areas of attitude were observed the cognitive area, the affective-behavioral area, and the area of perceived effect on learning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The results indica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by gender.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their parent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en the affective-behavioral area was analyzed,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when the area of perceived effect on learning area was analyz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백련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임명희 ;박용서 ;조자용 ;허북구 pp.3-10

보기
강원지역 초등학생의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식이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원향례 pp.11-19

보기
부산·경남지역 표준여성과 비만여성의 기성복 치수 만족도 비교 오영순 ;이정란 pp.21-30

보기
부산지역 빈곤층의 빈곤 구성 요소의 성차 허미영 pp.31-44

보기
보육경험 및 보육의 질과 5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남궁수진 ;최영희 pp.45-54

보기
장흥지역 청태전과 녹차의 성분분석 박용서 ;이미경 ;유현희 ;허북구 pp.55-61

보기
경기 일부지역 중학생과 학부모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식 김정현 ;이지은 ;윤정현 ;임윤숙 ;유지연 ;정인경 pp.63-74

보기
카드뮴 투여 흰쥐에서 키토산 섭취가 무기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연숙 ;김윤아 ;장수정 ;박미나 pp.75-85

보기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 영향분석 장영애 pp.87-99

보기
다양한 기준으로 평가한 초중고 학생의 아침결식률 최정숙 ;김양숙 ;박영희 ;김행란 ;권성옥 pp.101-111

보기
수원지역 성인 남성들의 혈청지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현주 ;조강옥 pp.113-123

보기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일반학생과 학부모의 장애학생 수용태도 :일반학생의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박옥임 ;김현숙 ;문희 ;김진희 pp.125-134

보기
충북 일부지역 대학생의 음주정도에 따른 식생활비교 정은희 pp.135-144

보기
폐경기 여성을 위한 슬랙스 패턴에 관한 연구 박현숙 ;김여숙 pp.145-155

보기
인천지역 일부 여중생의 비만도에 따른 섭식장애경향과 식습관의 비교 이효정 ;이승교 ;원향례 pp.157-169

보기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영원(2005) 통합학교운영에서의 비장애아의 장애아 수용태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곽지영(1996) 장애학생에 대한 또래집단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28(1). 미소장
3 김광웅(1990) 정신지체 유아의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김미숙(2000)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따른 일반학습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선태(1998) 사회성측정 지위로 본 특수 학급 아동의 또래 관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김성애ㆍ정대영ㆍ박희찬(1996)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국립특수교육원. 미소장
7 김용주(1988) 장애아 통합교육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태도 조사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정연(2002) 장애아동통합에 대한 일반초등학생의 태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김종삼(2000) 통합교육 경험, 학년, 성별에 따른 일반학생의 장애 학생 및 장애인에 대한 태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미소장
10 김진경(1996)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지각차이 비교연구,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남윤석(1996) 통합교육관련 교사변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박병진(2001) 초등학교 교사의 특수아동에 대한 태도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박영옥(2005) 통합교육경험에 따른 중학생의 장애수용태도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박찬명(2001)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아, 일반아 부모간의 인식비교.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송말순(2003)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수용태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오지현(2003) 초등학교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초등학교 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 부모태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유경희(2001) 통합교육효과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윤현희(2005) 유아특성 및 통합교육상황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특수아동교육연구학회. 7(1), 71-290. 미소장
19 윤혜경(1991. 장애아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가 일반아동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이규태(1981) 장애자 복지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구조,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미소장
21 이미옥(2000)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장애와 심리적 구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이양섭(1995) 정신지체아동에 대한 일반학급 아동의 태동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이은주(1995) 정신지체 또래에 대한 일반아동의 수용태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전영숙(2000) 장애우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비교.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5 정남연(2006) 통합교육 환경에서 분리교육 환경으로 전환된 장애학생의 실태 및 원인 배경에 관한 조사연구,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26 정선화(1992) 정신지체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개선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최국희(2003)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에 대한 중학생의 태도 연구, 단국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최숙자(2004) 통합학급의 장애학생에 대한 중학교 일반학생의 수용태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미소장
29 최은자(2002)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아동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최성규(2004) 설문방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학급 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차이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38(4), 413-431. 미소장
31 한국통합교육학회(2005) 통합교육: 교사를 위한 특수교육입문. 학지사. 미소장
32 Siperstein GN, Budoff M(1980) Effects of the labels mentally retarded and retard on social acceptability of MRchildren,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4. 미소장
33 Exceptional Children Begins its 50th Anniversary Year 네이버 미소장
34 Kaufman JM, Agard JA, Semmel MI (1985) Mainstreaming, and the Remaking of American Society, 66, 762-796. 미소장
35 Madden N, Slavin R(1983) Mainstrearming students with mild academic handicaps: Academic and social outcom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3, 519-569. 미소장
36 Odom SL, McEvoy MA(1990) Mainstreaming at the preschool level: Potential barriers and tasks for the field.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0, 48-61. 미소장
37 Peltier GL(1997) The effect of effect of inclusion on non-disabled children: a review of the research. Contemporary Education. 68. 미소장
38 Shea, Thomas M.(1994) Learners with disabilities :a social systems perspective of special education, Madison, Wis. : Brown & Benchmark, c1. 미소장
39 Truesdell LA,Abramson T(1992) Academic behavior and grade of mainstreamed student with mild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58, 392-398. 미소장
40 Yanito, Trenly(1987) Teacher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A Literature Review. Utah.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