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경북 봉화지역의 선캠브리아기 홍제사 화강암 내에는 견운모 광상이 분포한다. 이 지역의 대현광산과 성황광산에서 산출되는 견운모에 대하여 현미경 관찰, X-선회절분석, 전자현미분석, X-선형광분석, ICP분석 등을 통하여 지화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형성과정을 검토하였다. 이 지역 견운모광상은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화강암을 모암으로 한 견운모화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곳에 나타나는 광물조합과 그 산출상태로부터 4가지의 변질대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변질대는 점이적인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에서 산출하는 견운모는 광물화학적으로 모두 일라이트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구조형도 모두 2M1으로 매우 단순한 형태를 보였다. 거의 순수한 견운모 광석은 여러 색을 나타냈으나, 주화학성분이나, 결정구조에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량성분을 검토한 결과 진한 녹색을 띠는 것은 Cr이 상대적으로 다량 함유되고, 흑색의 것은 Ti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암인 홍제사 화강암내에서 견운모 광상이 발달하는 것은 단층과 같은 단열구조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납석 및 고령석 등의 다른 변질광물은 나타나지 않으며, 열극대를 따라 변질된 단순한 형태의 열수광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sericite ore deposits formed in the Precambrian granitic rock at the Bonghwa area, Kyungsangbuk-do, South Korea. The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sericite occurred in Daehyun and Seonghwang mine were analyzed using petrographic microscope, XRD, EPMA, XRF and ICP. An alteration mechanism was also studied. Sericitization occurred within the granitic rock by hydrothermal alteration. From the careful study on the occurrence and mineral assemblage, four alteration zone were clearly identified. These zones reflect progressive hydrothermal alteration process. All sericites belong to 2M1 polytype and their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are close to illite. The sericite ores show various colors, but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element compositions and crystal structures are not different. The trace element analysis, however, indicates that the difference in color attribute to the abundance of Cr and Ti: bluish green colored sericite are enriched in Cr and blackish green colored sericite enriched in Ti. The formation of sericite ore deposit in the granitic rocks are closely relate to fracture system such as fault and joint. It is considered that the sericite ore deposits in this area were formed by very simple hydrothermal alteration occurred along the fracture zones in granitic rocks with absence of other hydrothermally altered minerals such as kaolin and pyrophyllit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홍천 광화대, 가족 광상의 금·은 광화작용 박상준 ;최선규 pp.1-15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산 석류석에 대한 보석광물학적 연구 김수현 ;장윤득 ;김종랑 ;김정진 ;김종근 pp.17-26

수질개선제 Lumilite^® ^ 원료광물의 광물학적 및 나노결정학적의 특징 이진국 ;박기호 ;추창오 pp.27-35

Na-A형 제올라이트의 합성 및 중금속에 대한 흡착능 채수천 ;장영남 ;배인국 ;이성기 ;류경원 pp.37-44

제올라이트와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중금속 흡착 특성 강 한 ;박성민 ;장윤득 ;김정진 pp.45-56

달천광산 토양 내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오염도 서지원 ;윤혜온 ;정찬호 pp.57-65

경북 봉화지역 홍제사 화강암 내에 배태하는 견운모광상의 산상 및 구성광물 오지호 ;황진연 ;고상모 ;곽규원 ;이효민 ;지세정 pp.67-83

경북 봉화지역의 석회규산염층에서 산출되는 사문석광물의 산상 및 광물학적 특성 배성우 ;황진연 ;이선갑 ;곽규원 ;윤지해 ;조성휘 pp.85-98

페루 북부 천열수 금 및 반암형 동광화대의 지질 및 광상 고상모 ;Luis Humberto Chirif ;Jorge Luis Quispe ;Jorge Acosta Ale pp.99-115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구연, 전용원 (1990) 경상북도 봉화지구에 부존하는 견운모 광상의 지구화학과 광화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27, 256-267. 미소장
2 김동학, 주승환, 이동진 (1978) 홍제사 화강암의 Rb/Sr 연대조사. 자원개발연구소, 연구보고 4, 83-102. 미소장
3 김옥준, 홍만섭, 김기태, 박희인 (1963) 한국지질도, 1:50,000 삼근리도폭. 국립지질조사소. 미소장
4 김종환, 조한익, 박중권, 서효준, 김상엽, 이태섭, 조진동, 서상용, 오천혁, 홍영국, 김통권, 박영수, 구성본, 최종호, 고상모, 채수천 (1989) 분천화강암원 우라늄광상 탐사 모델 개발(I). 한국전력공사 연료처, 249. 미소장
5 대한광업진흥공사 (1987) 비금속광물특성조사보고서 : 고령토, 납석편. 미소장
6 류필조, 양정일 (1998) 현탁중합법을 이용한 견운모의 표면개질 및 물성평가. 한국자원공학회지, 35, 229-236. 미소장
7 손치무, 정창희 (1965) 태백산 지구의 퇴적환경과 지질구조. 서울대학교 논문집 이공계, 15, 1-27. 미소장
8 윤석규 (1967) 한국지질도, 1:50,000 장성도폭. 국립지질조사소 미소장
9 이병임, 김수진 (1998) 대현광산 견운모의 생성과정과 화학조성 및 폴리타잎. 한국광물학회지, 11, 69-84 미소장
10 이상만, 김형식 (1984) 소위 율리층군 및 원남층군의 변성암석학적 연구-태백산일대를 중심으로. 지질학회지, 20(3), 195-214. 미소장
11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1982) 대현광업소 소개.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19, 153-155. 미소장
12 홍영국 (1985) 한국 북동부 분천-석포 지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 화강암질류의 성인. 대한지질학회지, 21, 196-209. 미소장
13 홍영국, 최태윤 (1986) 선캠브리아기 분천 및 홍제사화강암류의 흑운모에 대한 K-Ar연대 측정. 광산지질, 19, 147-151. 미소장
14 Abundances of the elements: Meteoritic and solar 네이버 미소장
15 Summary of recommendations of AIPEA nomenclature committee 네이버 미소장
16 Deer, W.A., Howie, R.A. and Zussman, J. (1962) Rock-forming minerals, Vol.3., Sheet silicates.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1-30. 미소장
17 Gaudette, H.E., Eades, J.L. and Grim, R.E. (1966) The nature of illite, Clays Clay Miner., 13, 33-48. 미소장
18 Studies in the mica group; x-ray data on roscoelite and barium-muscovite 네이버 미소장
19 Kim, J. and Cho, M. (1994) Petrogenesis of the Precambrian Hongjesa Granite (magmatism and metamorphism of the Proterozoic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J. Petrol. Soc. Korea, 3, 76-93. 미소장
20 An index of crystallinity for quartz 네이버 미소장
21 Meyer, C. and Hemly, J.J. (1967) Wall rock alteration. In Barnes, H.L. (ed.) Geochemistry of hydrothermal ore deposites, Holt, Rinehart & Winston, Inc., 166-235. 미소장
22 Newman and Brown (1987) A.C.D. Newman and G. Brown,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clays. In: A.C.D. Newman, Editor, Chemistry of clays and clay minerals, Mineralogical Society Mono- graph No. 6, John Wiley & sons, New York, 1–128. 미소장
23 Srodon, J. (1984) X-ray powder diffraction identification of illitic marerials, Clay and Clay minerals, 32, 337-349. 미소장
24 Tokudo, K. (1986) Application of powders to cosmetics their properties and reform of their function. Frangrance Jour., 80, 60-66. 미소장
25 Ueda, N. (1969) Evolution of the continent in Northeastern Asia (Reconnaissance survey of geochronology of the Korean Penisula. J. Korea Inst. Min. Geol., 2, 96-97. 미소장
26 Utada, M. (1980) Hydrothermal alterations related to igneous activity in Cretaceous and Neogene formations of Japan. Mining Geology Special Issue, 8, 79-92. 미소장
27 Phengite micas; synthesis, stability, and natural occurrence 네이버 미소장
28 Weaver, C.E. and Brockstra, B.R. (1984) Illite-mica : in Weaver, C.E., and associates, Shale Slate Metamorphism in the Southern Appalachians, Elsevier, Amsterdam, 67-199. 미소장
29 Weber, K. (1972) Notes on determination of illite crystallinities. Neues Jahrbuch fur Mineralogie, Monatshefte, 267–27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