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국 후기구석기 문화 유형론 / 성춘택 1

| 요약 1

I. 머리말 2

II. 후기구석기로 넘어가기 3

III. 후기구석기 유물군 연구의 몇 가지 문제 7

1. 유적의 성격과 석재 7

2. 유물군 편년의 문제 9

IV. 유물군 유형 설정의 방법 11

V. 한국 후기구석기 유물군의 유형 14

1. 소형 석영암 석기군 14

2. 고례리 유형 15

3. 수양개 유형 19

4. 하화계리 유형 21

VI. 후기구석기 유물군 유형의 편년적 위치 22

VII. 맺음말 28

| 참고문헌 30

[요약] 34

초록보기

이 글은 한국 후기구석기시대 유물군의 구성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돌날이나 잔석기 중심의 유물군이 압도하던 후기구석기시대까지도 소형 석영암을 위주로 하는 석기군이 존속하였음을 지적하고, 돌날 및 슴베찌르개와 잔석기에 초점을 맞추어 유물군을 비교하고 검토하여 몇 가지 유물군의 유형을 설정하였다. 고례리 유형은 큼직하거나 중형의 돌날을 중심으로 하는 유물군들을 일컬으며, 돌날과 돌날몸돌, 슴베찌르개를 표지 유물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슴베찌르개와 함께 잔석기 등이 공반되는 유물군들은 수양개 유형이라 이름을 붙이고, 이 유형의 유물군 구성이 다양함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하화계리 유형은 잔석기(돌날과 몸돌) 및 이와 공반되는 밀개나 새기개 등의 유물들이 압도하고 있는 유물군들을 지칭하는 것인데, 구석기시대 최말기의 석기군을 대표하고 있다. 토양쐐기 형성 시기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토대로 각 유물군 유형의 층서적 위치를 상정하고, 이와 더불어 최근 축적된 절대연대값들이 가지는 편년적인 의미도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돌날이나 슴베찌르개로 대표되는 후기구석기적인 유물군은 지표 아래 나타나는 첫 번째 토양쐐기를 포함하는 층, 곧 시간적으로는 40,000-30,000 B.P. 정도에 확립되었으며, 현재의 자료로는 30,000 B.P.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잔석기는 25,000 B.P.에 근접하여 나타났지만, OIS 2 동안 장기간 슴베찌르개와 공존하였음도 논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lithic assemblage composition and change for the Korean Late Paleolithic. The persistence of small quartzite and vein quartz assemblages until OIS (Oxygen Isotope Stage) 2 is first noted, after which, the blade and microblade assemblages of the Late Paleolithic is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Goryeri assemblage type, represented by the lithic assemblages from Hwadae-ri, the lower horizon at Hopyeong-dong, Yongsan-dong, Yongho-dong and Gorye-ri, is characterized by large/normal sized blades and, in particular, tanged points. The Suyanggae type, which contains both tanged points and microblades, hasbeen identified at the sites of Jangheung-ri, Suyanggae, Jingeuneul, Wolpyeong and Sinbuk. Finally, lithic assemblages characterized by microblades, microcores and associated ends crapers and burins are grouped into the Hahwagye-ri type. The duration of each assemblage type is considered using absolute dates and recent work done on the chronostratigraphy of Paleolithic deposits. It is thus suggested that the Late Paleolithic tradition of blade and tanged point assemblages was established at around 40,000-30,000 B.P. The possibility that tanged blades may have co-existed with microblades during OIS 2 is also presented, both of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been mounted to the tip of hunting weap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후기구석기 문화 유형론 성춘택 pp.4-37

보기
火焰形透窓土器 硏究 曺秀鉉 pp.38-73

보기
太王陵의 墓主는 누구인가? 李熙濬 pp.74-117

보기
우리나라 古代 짚신의 재료 김경희 ;박원규 pp.118-134

보기
청동기시대의 지역문화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 「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농경사회」, 김권구 저 <書評> 이청규 [평] pp.135-144

보기

참고문헌 (7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타, (2002) 거창 정장리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미소장
2 김상태, (1998) 상무룡리 II 유적의 좀돌날석기 , 미소장
3 김은정, (2002) 전남지역의 좀돌날몸돌 연구: 1990년대 이후의 유물을 중심으로, 미소장
4 김주용, (2001) 우리나라 제4기 육상층서와 환경: 한국의 제4기 환경, 서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5 김환일, (2004) 대전 용산동 구석기유적: 1차 조사를 중심으로, 미소장
6 박영철, (2002) 진주 집현 도로건설구간 월평유적 ‘A’구역 출토유물의 검토: 한국구석기학회 3차 학술대회 발표요지, 미소장
7 서영남, (1999) 경남 밀양시 고례리유적 후기구석기문화: 영남지방의 구석기문화, 미소장
8 성춘택, (1998) 세석인 제작기술과 세석기, 미소장
9 (2000) 세석기 전통의 성립 시론 , 미소장
10 (2004) 한국 후기구석기 유적의 시간층위 재고, 미소장
11 (2006) 한국 구석기시대 석기군 구성의 양상과 변화 시론, 미소장
12 (1973) 석장리의 후기 구석기시대 집자리 한국사연구, 미소장
13 null, (1993) 석장리 선사유적, 동아출판사 미소장
14 안성효, (2005) 전주 송천동 구석기유적의 성격, 한국구석기학회 미소장
15 윤내현, (1992) 양평 병산리 유적,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미소장
16 이기길, (2001) 진안 진그늘 선사유적 조사 개요: 한국 농경문화의 형성, 한국고고학회 미소장
17 (2002) 순천 월평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18 (2004) 장흥 진북유적의 발굴성과와 앞날의 과제: 동북아시아의 후기구석기문화와 장흥 신북유적 , 조선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19 이기길, (2000) 순천 죽내리 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20 이동영, (1994) 양평 병산리 구석기유적의 층위,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미소장
21 이선복, (1988) 고고학 개론, 이론과 실천 미소장
22 (2000) 구석기 고고학의 편년과 시간층위 확립을 위한 가설, 미소장
23 (2002) 한국 구석기 연구의 발전을 위한 모색: 우리나라의 구석기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4 (1990) 주암댐 수몰지역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전남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25 이선복, (1990) 옥과 구석기유적, 서울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26 이선복, (2000) 용인 평창리 구석기유적, 경기도박물관ㆍ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미소장
27 이융조, (19851985년도) 단양 수양개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보고 충주댐수몰지구 문화유적연장 발굴조사보고서, 충북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28 우산리 곡천 선사유적, (1987) 주암댐 수몰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 전남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29 이융조, (2002) 청원 노산리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 박물관ㆍ한국문화재보호재단 미소장
30 이융조, (2006) 수양개 구석기유적의 연대측정에 대하여: 중원지역의 구석기문화,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미소장
31 이융조, (1997) 수양개 유적의 발굴과 그 의미: 수양개와 그 이웃들 , 충북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32 이융조, (2000) 청원 소로리 유적, 충북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33 이융조, (1990) 주암댐수몰지구문화유적발굴보고서, 전남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34 (1992) 배모양석기와 집터를 중심으로 선사와 고대, 미소장
35 이융조, (2006) 진천 송두리 구석기유적 I, 중원문화재연구원 미소장
36 이융조, (1999) 청주 봉명동유적 I지구 발굴조사 개보 , 미소장
37 이해용, (2005) 동해시 망상동 기곡 구석기유적, 강원문화재연구소 미소장
38 A Study of the Consernative Charater and Persistence of the Pebble tool trdition in Korea 소장
39 (2004)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편년과 석기의 기술형태적 특성의 상관성 연구, 미소장
40 이홍종, (2002) 대정동 유적, 고려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미소장
41 임병태, (1988) 주암댐수몰지역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전남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42 장용준, (2001) 후기구석기기 중엽의 박리기법 연구, 미소장
43 (2002) 한반도 세석핵 편년, 미소장
44 중앙문화재연구원, (2004) 대전 용산동유적 현장설명회 자료, 중앙문화재연구원 미소장
45 최몽룡, (1996) 의정부 민락동유적: 시굴 및 발굴조사 보고서, 서울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46 최복규, (1989) 강원대학교 조사, 강원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47 최복규, (1992) 홍천 하화계리 중석기시대 유적 발굴조사보고 중앙고속도록 건설구간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미소장
48 최복규, (2005) 포천 화대리 쉼터 구석기유적, 강원대학교 조사단 미소장
49 최복규, (2004) 홍천 하화계리 III 작은솔밭구 중석기유적, 강원고고학연구소 미소장
50 최복규, (2003) 노봉 구석기유적, 강원고고학연구소 미소장
51 최복규, (2001) 장흥리 구석기유적, 강원고고학연구소 미소장
52 최성락, (2001) 함평 장년리 당하산 유적, 목포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53 최승엽, (2003) 우리나라 중부동해안 구석기유적의 연대설정 문제, 미소장
54 충청문화재연구원, (2004a) 아산 실옥동유적 현장설명회자료, 미소장
55 (2004b) 천안 청당동유적 현장설명회자료, 미소장
56 하인수, (1999) 해운대 중동 좌동 구석기문화: 영남지방의 구석기문화, 영남고고학회 미소장
57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2001) 대전 석봉정수장 건설사업 지역의 구석기유적 (용호동) 3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미소장
58 한창균, (2002a) 용호동 유적과 구석기문화, 미소장
59 배기동, (2002b) 대전 용호동 구석기유적: 동북아세아 구석기연구, 연천군ㆍ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미소장
60 (2003) 한국 구석기유적의 연대 문제에 대한 고찰: 절대연대 측정결과와 퇴적층의 형성시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미소장
61 한창균, (2003) 대전 노은동 유적,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미소장
62 한창균, (2003) 광주 삼리 구석기 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미소장
63 호남문화재연구원, (2002) 익산 신막유적, 호남문화재연구원 미소장
64 홍미영, (2002) 남양주시 호평동 구석기유적 발굴조사 개보: 해양 교류의 고고학, 미소장
65 홍미영, (2005) 남양주 호평동 유적의 흑요석제 석기와 사용, 미소장
66 황용훈, (1989) 경희대학교 조사 파로호 퇴수지역 유적발굴조사보고, 강원대학교 박물관 미소장
67 松藤和人, (1998) 海を渡った舊石器 "薄片尖頭器": 西日本後期舊石器文化の硏究, 東京: 學生社 미소장
68 Hedges R.E.M, (2001) Overview Dating in archae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 West Sussex: John Wiley & Sons 미소장
69 Pettitt P. B, (2003) Paleolithic radiocarbon chronology: quantifying our confidence beyond two half lives, 미소장
70 Seong Chuntaek, (2004) Quartzite and vein quartz as lithic raw materials reconsidered: a view from the Korean Paleolithic, 미소장
71 Radiocarbon Dating of Charred Residues on the Earliest Pottery in Japan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