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국불교의 유식학설 : 불교유심사상의 발달 그, 6 / 金東華 1

차례 1

가. 인도와 중국과 불교연구풍의 상위점[전호에 계속] 2

나. 종파불교의 의의 3

1/I. 지론종의 심식관 5

(가) 지론종의 명의 5

(나) 십지경론의 전역 6

(다) 지론종학자 8

(라) 남북양도의 심식관 9

2. 섭론종의 유식관 22

가. 섭론종의 명의 22

나. 섭론종조로서의 진체의 번역 23

다. 섭론연구의 학풍 25

라. 섭론종의 심식관 29

3. 법상종의 유식론 39

一. 법상종소의경론역자 현장 39

二. 현장문하와 법상종조 43

三. 법상종의 명의 46

四. 성유식론일부의 구성 49

五. 법상종 유식설의 특색 51

[요약] 94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화엄경의 사상체계와 그 전개 ,인도편 張元圭 pp.15-77

보기
중국불교의 유식학설 :불교유심사상의 발달 ,6 金東華 pp.79-174

보기
법화경결집자에 대한 고찰 :특히 자위적 고심에 대하여 洪庭植 pp.175-196

보기
불교의 불성설과 이성설과의 비교 연구 韓相璉 pp.197-216

보기
의식음악으로서의 범패 洪潤植 pp.217-254

보기
승려랑도고 :화랑도와 불교와의 관계 일고찰 金煐泰 pp.255-274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