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고려 초·중기 자기 상감기법의 연원과 발전 / 장남원 1

I. 머리말 1

II. 고려 자기 상감기법의 연원 4

1. 연구사와 연구관점 4

2. '상감'의 개념과 용어에 대한 재고 7

3. 중국 도자 상감기법과의 비교 10

III. 고려초·중기 상감자기의 소비 11

IV. 상감자기의 생산특징과 제작시기 15

1. 요지조사로 본 출토현황 15

2. 상감의 제작유형과 편년 17

V. 맺음말 21

[그림] 25

참고문헌 29

1. 사료 29

2. 단행본 29

3. 도록 30

4. 보고서 30

5. 학술논문 31

6. 중문 32

제요 33

초록보기

制作?使用象嵌技法的高??瓷?白瓷的?代已??始受到中?和日本等周??家的?注,而在???究陶瓷的?界?,?然?高??期的“干支??瓷”?注度?高,最近10年??于象嵌?瓷的?立?文却未?表?。我?已?始??到,代表12-13世?瓷器造型的象嵌技法大?源自制作初期?瓷的10世?。??高?主要是?中?南方?系??制作瓷器的技?,然而,高?却出?了中?南方?系?未出??的象嵌技法。 ?些情?要?10世?末以后?北?所形成的?外?系上??行了解。根据?契丹交往而形成的契丹工匠?入高?、在南京(今,京畿道?州及首?附近)附近存在契丹村的情?,以及《高???》??的?据,我???到中?北方文化?入高?的?期?象嵌技法的?生是?于同一?期。??期?用的象嵌技法是在胎土表面??土,然后再?出留白,以及在胎土上面用黑土或白土?象嵌??方法?存。所以到?些技?是?中?河北省或山西省?入的。而?入12世?以后,金?器的嵌?技法?木工?的螺鈿漆技法等技?的造型?展已被中???。?些工?通??家的官??制才可制作。所以到10世?以后,?在的瓷器的象嵌技法是?其他工?的?似技?同?出?而?展的。 ?且高?中期以后出?的工?技??中,固定象嵌技法是相????度?高而程序???的技?,可以了解到?在制作?段上已?用高?的手段?制作。同?,通?了解陶瓷?量方面的?柱的??和??技法?比?,?于高?象嵌技法制作的陶瓷?中使用‘硅石支?’的例子相??多。器重???技法之??有一定的相?性。但是??刻、?刻等的??上的比??看,使用象嵌技法的瓷器在??和消?型?址上出?的比例最低。 象嵌技法是高?中期以后以康津?扶安?中心的最高?的??工?之一。通?分析康津地?的188??瓷??出土?品,可知象嵌技法在12世?中??到?量的鼎盛期,13至14世???品的?量??大增加了。而?有把握?些技?的?瓷??就比??制作象嵌瓷器。

참고문헌 (7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宋史》 미소장
2 《宣和奉使高麗圖經》 미소장
3 《陶說》 미소장
4 《高麗史》 미소장
5 《高麗史節要》 미소장
6 《高麗圖經》 미소장
7 《東國李相國集》 미소장
8 《東文選》 미소장
9 《格古要論》 미소장
10 姜敬淑,『韓國陶磁史』, 一志社, 1990. 미소장
11 姜敬淑, 한국 도자사의 연구 , 시공사, 2000. 미소장
12 高裕燮, 高麗靑瓷 乙酉文化史, 1954. 미소장
13 金乾坤 編,『金克己遺稿』,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7. 미소장
14 金在滿, 契丹․高麗關係史硏究 , 國學資料院, 1999. 미소장
15 龍仁文化院, 龍仁 西里 高麗白磁 窯址의 再照明 , 2001. 미소장
16 尹龍二,『韓國陶磁史硏究』, 文藝出版社, 1993. 미소장
17 張東翼,『宋代麗史資料集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미소장
18 鄭良謨, 韓國의 陶磁器 , 文藝出版社, 1991. 미소장
19 大阪市學藝員等共同硏究實行委員會,『海を渡つた翡色のやきもの-日本出土の高麗靑磁』, 2001. 미소장
20 野守健,『高麗靑磁の硏究』, 淸閑舍, 1944. 미소장
21 康津靑磁資料博物館,『고려청자, 그 숨겨진 혼을 찾아』, 1999. 미소장
22 康津靑磁資料博物館,『高麗靑磁 康津으로의 歸鄕 -銘文․符號특별전』, 2000. 미소장
23 국립해양유물전시관,『무안 도리포 해저유물』, 1995. 미소장
24 국립해양유물전시관,『도자길·바닷길』, 2004. 미소장
25 梨花女子大學校博物館,『扶安柳川里窯 高麗陶瓷』, 1983. 미소장
26 海剛陶磁美術館,『海剛陶磁美術館』, 1990. 미소장
27 海剛陶磁美術館,『高麗時代 後期 干支銘 象嵌靑磁』, 1991. 미소장
28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高麗の金屬器と陶磁器』, 朝鮮陶磁シリズ --16, 1991. 미소장
29 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高麗靑磁への誘い』, 開館10週年記念展, 1992. 미소장
30 『大石原遺跡』, 上縣町文化財調査報告書 第1集. 미소장
31 東京國立博物館,『日本出土の 舶載陶磁』, 1993. 미소장
32 東京國立博物館·朝日新聞社,『新安海底引揚げ文物』, 1983. 미소장
33 日本國立歷史民俗博物館,『東シア中世海道--海商․港․침몰선』, 每日新聞社, 2005. 미소장
34 建國大學校博物館,『忠州 丹月洞 古墳群』, 1995. 미소장
35 京畿道博物館,『奉業寺』, 2002. 미소장
36 國立光州博物館,『全南地方陶窯址 調査報告(Ⅰ)』, 1986. 미소장
37 國立光州博物館,『康津 三興里窯址 Ⅱ』, 2004. 미소장
38 國立文化財硏究所,『江華碩陵』, 2003. 미소장
39 國立文化財硏究所,『江華 高麗王陵--坤陵․嘉陵․陵內里石室墳』, 2007. 미소장
40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彌勒寺』, 1996. 미소장
41 국립해양유물전시관,『群山 飛雁島 海底遺物』, 2004. 미소장
42 南海郡․慶南文化財硏究院,『南海郡 陶窯址 精密地表調査』學術調査硏究叢書 第40輯, 2005. 미소장
43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파주시,「파주 혜음원지 발굴조사보고서--1차~4차」, 2006. 미소장
44 三星美術文化財團·湖巖美術館,『龍仁西里 高麗白磁窯 發掘調査報告書 Ⅰ』, 1987. 미소장
45 서울시립대박물관,「단양현곡리 고려분묘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회의자료」, 1998. 미소장
46 安山市․漢陽大學校博物館, 『安山 大阜島 六谷 高麗古墳郡 發掘調査 報告書』, 2002. 미소장
47 圓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扶安 柳川里 7區域 靑磁窯址群 發掘調査報告書』, 2001. 미소장
48 原州市․翰林大學校博物館, 『居頓寺址發掘調査報告書』, 2000. 미소장
49 海剛陶磁美術館,『康津의 靑磁窯址』, 1992. 미소장
50 海剛陶磁美術館,『芳山大窯』, 2001. 미소장
51 (財)湖南文化財硏究院·農業基盤公社 康津莞島支社,『康津 三興里窯址 Ⅱ』, 2004. 미소장
52 湖巖美術館,『龍仁西里高麗白磁窯 Ⅱ』, 2003. 미소장
53 坡州 惠陰院址 出土 高麗靑磁 硏究 : 편년과 성격을 중심으로 소장
54 강경숙,「고려전기 도자의 대중교섭」,『高麗 美術의 對外交涉』, 藝耕, 2004. 미소장
55 具一會,「高麗時代 象嵌靑磁大楪의 編年硏究-干支銘이 있는 대접들을 中心으로」,『美術資料』54, 國立中央博物館, 1994. 미소장
56 金載悅,「高麗陶磁의 象嵌技法 發生에 관한 一考察-‘原(proto)象嵌文’의 존재를 중심으로」,『湖巖美術館 硏究論文集』2, 湖巖美術館, 1997. 미소장
57 始興 芳山洞 初期靑磁 窯址 出土品을 통해 본 中部地域 塼築窯의 運營時期 소장
58 高麗後期 己巳銘의 象嵌靑磁의 製作年代問題에 대한 새로운 접근 소장
59 高麗時代 鐵畵瓷器의 成立과 展開 소장
60 The Characteristics of Mid-Goryeo Celadons with Molded Design 소장
61 Go Yuseop's Conception of Korean Ceramics: With Special Emphasis on Goryeo Dynasty Celadon 소장
62 田勝昌,「龍仁 西里窯址 出土遺物 檢討」,『용인 서리 고려백자요지의 재조명』, 용인시·용인문화원·용인시사편찬위원회, 2001. 미소장
63 田勝昌,「靑磁彫刻 裝飾香爐考察」,『고려청자와 종교』, 강진청자자료박물관, 2002. 미소장
64 鄭良謨,「高麗靑磁와 靑磁象嵌發生의 側面的 考察」,『澗松文華』6, 韓國民族美術硏究所, 1974. 미소장
65 韓國 靑磁 硏究의 새로운 動向 소장
66 Changes in the Shape of Celadon Ware during the Late Kory? Dynasty 소장
67 韓盛旭,「석릉출토 청자의 성격」,『江華碩陵』, 國立文化財硏究所, 2003. 미소장
68 陝西省考古硏究所,『唐代黃堡窯址』, 北京 文物出版社, 1992. 미소장
69 陝西省考古硏究所,『五代黃堡窯址』, 北京, 文物出版社, 1997. 미소장
70 陸明华,「略谈上海博物馆所藏高丽瓷」,『文物』,1988年 6期, 文物出版社. 미소장
71 丁 丽,「辽阳出土的高丽青瓷」,『辽海文物学刊』,1994年 2期, 辽阳省博物馆. 미소장
72 秦大树,「宋․金代북방지역 瓷器의 象嵌工艺와 高丽 象嵌青瓷의 관계」,『美術史論坛』7, 한국미술연구소, 1998. 미소장
73 冯先铭,「山西浑源古窑址调查」,『中国古陶瓷論文集』, 香港, 紫禁城出版社․兩木出版社, 1987. 미소장
74 任志綠,「中國早期鑲嵌瓷的考察」,『文物』2007年 11期, 文物出版社. 미소장
75 孟耀虎,「渾源窯鑲嵌靑瓷」,『中國古陶瓷硏究』第12輯, 中國古陶瓷學會, 紫禁城出版社, 20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