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Objective : Recent studies indicate that the deposition of beta-amyloid (Aβ) is related in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isease (AD), but the underlying mechanism is still not clear.

Method :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cellular functions of APP and LMK02, we use transgenic drosophila as a model was treated with either LMK02, and the effect in APP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climbing assay. LMK02 have been shown to be neuroprotective in fly model systems. We asked whether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LMK02 would influence behavior and AD-like pathology in a transgenic fly model.

Result : LMK02 water extract have attenuated fly death in vivo. LMK02-treated fly increased percentage of flight ability more longly and survival ratio more than controls. APP-GRIM drosophila treated with LMK02 had significantly less accumulation of APP deposition in the eye and brain as compared to control drosophila.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MK02 prevent APP-induced neurotoxicity through attenuating flies death induced by APP, and may be useful as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for A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小兒의 行動樣式과 素症의 關聯性에 관한 探索的 硏究 김명근 ;황의완 ;김종우 pp.1-14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명상훈련이 정상 성인의 기억과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정선용 ;서진우 ;김종우 ;황의완 pp.15-39

紫河車 藥鍼이 βA로 誘導된 Alzheimer's disease 病態 모델에 미치는 影響 이병훈 ;박선영 ;최철홍 ;이은경 ;정대규 pp.41-64

加味補陽還五湯과 八味合聰明湯의 microglia 보호, 항산화 및 acetylcholinesterase 억제 효과 김현주 ;이상룡 pp.65-75

天王補心丹 熱水推出物, 超微細粉末劑刑이 Alzheimer's disease 病態 모델에 미치는 影響 최강욱 ;정인철 pp.77-93

八味合聰明湯 열수추출물, 초미세분말제형이 Alzheimer's disease 병태 모델에 미치는 영향 임정화 ;이상룡 pp.95-110

蓮花香 정유액이 glioma cell에 미치는 효과 김인자 ;이주연 ;최방섭 ;김근우 ;구병수 pp.111-122

한의원 내원 만성 통증환자의 통증대처방식 및 불안에 대한 연구 이계승 ;이승기 pp.123-132

HBDIS를 이용한 강원도 지역주민의 화병 유병률에 대한 연구 이진규 ;이재혁 pp.133-139

틱장애에 대한 한약 대조군 연구의 최근 동향 :2007년 중국 임상 논문에서 강문수 ;조이현 ;김락형 pp.141-149
壯元丸加減方인 LMK02가 아밀로이드 前驅蛋白質으로 形質轉換된 초파리에 미치는 효과 김상태 ;강형원 ;한평림 ;조형권 ;김태헌 ;류영수 ;손형진 pp.151-163

촌관척(寸關尺)부의 검측한 부정맥과 eletrocardiographic 결과의 한의학적 검토 류희영 ;허은정 ;김지현 ;윤정미 ;전성하 pp.165-193

참여학습과 관찰학습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기술 신은주 pp.195-207

Effect of chrysanthermum zawadskii var. latilobum on the release of inflammatory mediators from LPS-stimulated mouse macrophages Jung-ho Lee ;Ee-hwa Kim ;Jae-hyok Lee pp.209-221
Effect of the essential oil from modified SuHeXing Wan(Storax Pill) in mice after inhalation, oral administration, and inunction Seong-soo Kim ;Kwang-rock Park ;Dong-ung Lee ;Byung-soo Koo pp.223-230

안검도동(眼瞼跳動)의 치험예 류희영 ;허은정 ;전성하 pp.231-239

신체증상을 주증상으로 호소하는 우울증 환자에 대한 침치료와 명상의 결합을 응용한 치험 2례 강현선 ;김자영 ;이진환 ;성우용 pp.241-250

광장공포증을 동반한 공황장애 환자의 1례 보고 :발병초기부터 관찰한 내용을 중심으로 김지훈 ;석선희 ;구병수 ;김근우 pp.251-263

상복부 통증을 奔豚으로 진단하고 良枳湯을 투여하여 호전된 1례 석선희 ;박세환 ;김근우 ;구병수 pp.265-278

만성두통을 호소하는 공황장애 환자의 두통 치험 1례 차혜진 ;이지원 ;곡경내 ;김효주 ;서영민 ;박세진 pp.279-288

약물남용으로 유발된 것으로 추정되는 돌발성 운동유발 이상운동증 환자 증례보고 이지원 ;차혜진 ;곡경내 ;김효주 ;서영민 ;박세진 pp.289-297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인한 瘀血頭痛 환자 치험 1예 최금애 ;정종효 ;김경옥 pp.299-312

한방치료와 미술치료를 병행한 공황장애 환자 1例 보고 강영복 ;문선영 ;이승기 pp.313-320

참고문헌 (5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Lee DY, Lee JH, Ju YS, et al :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older people in an urban population of Korea. The Seoul study. J Am Geritar Soc. 2002; 50:1233-1239. 미소장
2 대한신경과학회 : 신경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7:406. 미소장
3 李符永 譯 : ICD-10 정신 및 행동장애 분류. 서울. 一潮閣. 1994:63-66. 미소장
4 김지혁ㆍ황의완 : 동의정신의학. 서울. 현대의학서적사. 1992.:256-271, 327-330, 663-664. 미소장
5 Mechanisms of Neuronal 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6 The structure of the presenilin 1 (S182) gene and identification of six novel mutations in early onset AD families. 네이버 미소장
7 김승업 : 치매. 알츠하이머병. 서울. 삶과 꿈. 1997:54-80. 미소장
8 Biological psychiatry in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9 Amyloid �-protein and the genetics of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10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편찬위원회 편 : 한의신경정신과학. 서울. 집문당. 2007:327-328. 미소장
11 陳貴延, 楊思澍 : 實用中西醫結合診斷治療學. 北京. 中國醫藥科技術出版社 1990:824-826. 미소장
12 Kaufman D : Aphasia and related disorders. In Clinical Neurology for Psychiatrists W. B. Saunders Philadelphia. 1990:146-171. 미소장
13 Summers WK, Majovski LV, Marsh GM, et al : Oral tetrahydroaminoacridine in long term treatment of senile dementia . Alzheimer type. New Engl. J Med 1986;315:1241-1245. 미소장
14 Memantine in Moderate-to-Severe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15 Newer Neuroleptic Treatment i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소장
16 치매의 예방과 관리 소장
17 The Effects of Crataegus pinnatifida BGE. var. major N.E. BR Extract on the Alzheimer’s Disease Model 소장
18 The Effects of Polygala Tenuifolia DM Fraction on CT105-injuried Neuronal Cells 소장
19 최혁, 김상호, 이대용, 안대종, 강형원, 류영수 : CT105로 유도된 痴呆모델에서 石菖蒲 수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2;13(2): 173-194. 미소장
20 Effects of Ramulus et Uncus Uncariae DM fraction on CT105-injuried Neuronal Cells 소장
21 조윤숙,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 荊防地黃湯이 Alzheimer's disease 모델 백서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8;9(1): 1-24. 미소장
22 우주영, 김종우, 황의완, 김현택, 박순권 : 調胃升淸湯이 흰쥐의 방사형 미로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7;8(1): 69-79. 미소장
23 육미지황탕가미방에 의한 흰쥐 기억력 향상과 관련된 Hippocampus 부위의 특이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 소장
24 拱辰丹이 CT105로 유도된 Alzheimer's disease 病態모델에 미치는 영향 소장
25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Bojungikgitanggamibang on Growth, Learning and Memory of Rats 소장
26 聰明湯과 山査聰明湯이 Alzheimer's disease 病態 모델에 미치는 影響 소장
27 이준영, 정인철, 이상용 : 天王補心丹이 痴呆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 경정신과학회지. 2002;13(2): 149-172. 미소장
28 김건진, 정대규, 장원단이 CT105와 Aβ로 유발된 치매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17(2):91-122. 미소장
29 Inhibitory effect of Alzheimer’s in APP-induced Neuro 2A cells by JangWonHwanGagambang(JWHG) water extract 소장
30 許俊. 東醫寶鑑. 서울. 法仁文化社. 1999:189-191. 미소장
31 Brain trace elements in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32 Suppression of an amyloid β-peptidemediated calcium channel response by a secreted β-amyloid precursor protein 네이버 미소장
33 New insights into the structure of An tracts and B'-B' bends in DNA. 네이버 미소장
34 Rates and risk factors for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results from EURODEM pooled analyses. EURODEM Incidence Research Group and Work Groups. European Studies of Dementia. 네이버 미소장
35 Segregation of a missense mutation in the amyloid precursor protein gene with familial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36 Candidate Gene for the Chromosome 1 Familial Alzheimer's Disease Locus 네이버 미소장
37 Katzman R : Apolipoprotein E4 as the genetic susceptibility for Alzheimer's disease. In the Alzheimer's Disease. Terry RD. Katzman R. and Bick KL.(eds), Raven Press. New York. 1994:455-457. 미소장
38 Prevalence of dementia and probable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in the Framingham Study. 네이버 미소장
39 A Prospective Study of Alzheimer Disease in Down Syndrome 네이버 미소장
40 Katzman R and Kawas C : Epidermiology of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In the Alzheimer's Disease. (Terry RD, Katzman R. and Bick KL eds). Raven Press. New York. 1994:105-122. 미소장
41 Increased Cystatin C in Astrocytes of Transgenic Mice Expressing the K670N-M671L Mutation of the Amyloid Precursor Protein and Deposition in Brain Amyloid Plaques 네이버 미소장
42 Pathogenic APP mutations near the gamma-secretase cleavage site differentially affect Abeta secretion and APP C-terminal fragment stability. 네이버 미소장
43 Statistical aspects of quantitative image analysis of β-amyloid in the APP V717F transgenic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44 Cholinesterase Inhibitors Stabilize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45 Subcellular localization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in senile plaques of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46 Cholinesterase Inhibitors Stabilize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47 Amenta F, Parnetti L, Gallai V, Wallin A : Treat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associated with Alzheimer’s disease with cholinergic precursors: Ineffective treatments or inappropriate approaches Mech Ageing Dev. 2001;122:2025-2040. 미소장
48 張介賓 : 景岳全書. 서울. 一中社. 1992:846. 미소장
49 陳士鐸 : 石室秘錄(下). 서울. 書苑堂. 1984:316-317. 미소장
50 錢鏡湖 : 辨證奇文全書. 臺北. 甘地出版社. 1980:222-225, 223-235. 미소장
51 정인철, 이상룡. 도담익기활혈탕이 치매병태모델의 생화학적 변화 및 기억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1;15:260-276. 미소장
52 방재선, 윤현덕, 신오철, 신유정, 박치상 : 加味寧神丹이 CT105로 유도된 Neuro2A 세포주에서의 抗痴呆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3): 603-616. 미소장
53 김보경, 이상룡. 안신청뇌탕이 치매병태모델의 생화학적 변화 및 기억에 미 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16:240-255. 미소장
54 日黃連이 痴매病態모델에 미치는 影響 소장
55 遠志와 石菖蒲 混合抽出液의 pCT105로 유도된 신경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항치매 효과 소장
56 Dissecting the Pathological Effects of Human Aβ40 and Aβ42 in Drosophila: A Potential Model for Alzheimer's Disease 네이버 미소장
57 A model for studying Alzheimer's Abeta42-induced toxicity in Drosophila melanogaster. 네이버 미소장
58 龔廷賢. 增補萬病回春. 서울. 一中社. 1994:229-23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