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아이콘 개발에 관한 연구(A Study on Developing Icons Considering Cultural Background) / 유도현(DoHyun Yoo) 1

ABSTRACT 2

요약 2

1. 서론 3

1.1. 연구목적 3

1.2. 연구대상 및 방법 3

2. 문화적 배경에 따른 사고의 차이 3

3. 그림표지의 이해 4

3.1. 그림표지의 기원 4

3.2. 그림표지의 종류 4

4. 우리나라의 그림표지와 미국 Green Map Icon 4

4.1.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그림표지와 국제표준 4

4.2. 미국의 Green Map Icon 설문조사 5

4.3. Green Map Icon 조형 분석 7

5.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올림픽 픽토그램 8

6.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9

참고문헌 9

초록보기

People get information and make decisions using their five senses. Especially, the sense of sight, which has the best efficiency in understanding information rather than the other four senses. Visual sense takes 87% of the role when people get information because it uses light as a medium. Today, the role of visual images in collecting new information is increasing because people are accustomed to watching something. People who live in the present time are influenced by mass media such as TV, newspapers, and magazines which use visual imag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design of general icons by analyzing the form of current visual images for information.

1. A good image must contain enough information. It might be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forms to communicate an idea or to explain something.

2. Surveys with Green Map Icon show that eastern people prefer figurative icons and western people prefer abstractive icons.

3. Ethnic background importantly influences the Olympic pictogram designs and each one has characteristics from its own unique cultural background.

사람들은 오감(五感)을 이용해 끊임없이 정보를 수집하고 결정을 내린다. 특히, 시각은 빛이라는 매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청각을 비롯한 다른 감각기관을 통한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정보를 수집하는데 있어 87%의 역할을 담당할 정도로 중요하게 사용된다. 실제로 현대인들은 TV, 신문, 잡지 등 시각정보매체에 더욱 친근감을 느끼고, 그들로부터 새로운 정보를 얻는 것에 익숙하다.

본 논문은 국내외에서 개발한 아이콘과 픽토그램 분석을 통해, 최근의 그림표지 디자인의 경향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그것을 올바르게 해석하는데 있어 어떠한 요소들이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고, 각 민족 문화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간직한 시각정보 이미지의 개발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과거에 비해 전달해야 할 메시지가 다양해진 동시에, 설명해야 할 대상 또한 복잡해졌다. 따라서 메시지 전달에 보다 충실하고 충분한 설명을 담기 위해 하나의 그림표지 안에서 주된 이미지 외에 부가 이미지, 기호, 도형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개인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선호하는 아이콘의 형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Green Map Icon 설문조사 결과, 동양계 사람들은 사실적(figurative) 형태를, 반면에 서양인들은 추상적(abstract)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나라의 민족과 문화적 배경이 올림픽 픽토그램 디자인에 중요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었고, 개최국들마다 픽토그램 안에서 고유문화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온라인 인터랙티브 뮤직 비디오 사례 연구 :인터랙티브 구현을 중심으로 김현정 pp.1-11

보기
문화적 다양성과 보편성의 경계에서 정보디자인 연구 모형 류시천 pp.13-22

보기
한국 전통공간에서 타자(他者)로서 심적 가치의 역할에 관한 연구 문대성 pp.23-34

보기
작품 '무표정한', '천당과 이승', '두 유리 사무실 빌딩을 위한 비디오 작업'을 통한 비디오 아트 전시 공간 이용 연구 박영선 pp.35-45

보기
디자인의 여성적 특성 강화현상 분석을 위한 감성어휘 연구 서인경 ;최인환 pp.47-59

보기
'2010 세계디자인수도_서울' 이벤트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신정민 ;김 민 pp.61-71

보기
2000년대 한국의 팝아트 연구 오세권 pp.73-88

보기
시각 발상법을 활용한 창의적인 영상 표현과 학습방법 연구 :원 컷(one-cut) 영상' 프로젝트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원경아 pp.89-99

보기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아이콘 개발에 관한 연구 유도현 pp.101-111

보기
디바이스 모바일 컨버전스 마케팅 특성 연구 유상원 pp.113-128

보기
간섭효과를 이용한 스키마 노드의 객체지향형 분류 :GUI 환경에서의 네비게이션 편의를 위한 인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육호준 pp.129-138

보기
여성들이 선호하는 남성 패션스타일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윤진아 pp.139-149

보기
노인의 접근성 요소분석을 통한 메타포의 조형적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1 이도희 pp.151-161

보기
동시대 디자인 패러다임이 적용된 기초조형 교육안 개발 ,1 :교육의 방향성 및 목표 설정 이정민 ;홍의택 ;안성희 pp.163-175

보기
동시대 디자인 패러다임이 적용된 기초조형 교육안 개발 ,2 :교육안 사례개발을 중심으로 이정민 ;홍의택 ;안성희 pp.177-191

보기
재매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웹 사이트의 '광고'적 시각화에 관하여 이진혁 ;김현석 pp.193-205

보기
공공을 위한 도시의 통합 디자인 전략에 대한 제언 장동련 ;차승희 pp.207-217

보기
KBS 채널 아이덴티티 형성요로로서 직선과 곡선에 관한 논의 전광실 pp.219-230

보기
유비쿼터스 시스템 환경을 위한 휴대용 디지털 다이어리 디자인에 관한 연구 전종찬 ;이상용 pp.231-245

보기
영화 "넘버2(Numero deux)"에서 숫자 2의 의미 정정화 pp.247-257

보기
실내공간과 가구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연구 최경란 ;진경미 pp.259-269

보기
한국 대학의 건축학과 입시 실기평가에 관한 연구 최동혁 pp.271-281

보기
슬로건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사례조사 한수희 ;백진경 pp.283-294

보기
조형요소의 복합적인 인지 특성에 대한 연구 허성철 ;민경택 pp.295-305

보기
창의적 시각발상을 위한 웹 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Morton garchik의 시각발상법을 중심으로 허윤정 ;임창영 pp.307-317

보기
HR.기거의 바이오메카노이드에 나타난 상징성 황지현 pp.319-329

보기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Steve Caplin. 『Icon design』. Watson-Guptill publications. 2001. 미소장
2 Louise Bowen Ballinger & Raymond A. Ballinger. 『Sign, Symbol &Form』.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72. 미소장
3 R. Buckminister Fuller, Henry Dreyfuss. 『Symbol source book. An authoritative guide to international graphic symbols』. McGraw-Hill Book Company. 1972. 미소장
4 Al Cooper. 『World of logotypes』. Art direction book company. 1976. 미소장
5 Carolyn Knight, Jessica Glaser. 『The graphic designer's guide to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Rotovision. 2005. 미소장
6 Peter Wildbur, Michael Burke. 『Information Graphics』. Thames & Hudson. 1999. 미소장
7 Fred Brigham, 『Graphic symbols for consumer product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Internaional Design Journal. John Benjamin Publishing. 2000-2001. 미소장
8 http://www.standard.go.kr 미소장
9 Green Map System : http://www.greenmap.com 미소장
10 http://en.beijing2008.c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