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Contents
Changes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Korea : 1980-2005 / 권정현 1
[요약] 1
I. Introduction 1
II. Data description and definition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4
III. Trends in married women's labor supply pattern 5
1. Overall pattern 5
2. By education level 6
3. By residential areas 10
IV. A regression model of labor-force participation decisions 11
V. Regression results 14
VI. Conclusion 25
References 26
abstract 28
이 논문은 1980~2005년까지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행동의 변화에 대해 통계청의 인구주택 총 조사 마이크로 샘플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는 꾸준한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고학력 대졸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빠르게 증가해 왔다. 또한 남성 배우자가 고학력인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가가 증가해, 기존의 기혼 여성 경제활동의 주요 특징이었던 "고학력일수록 낮은 수준의 경제활동참가"와 다른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분석에 포함된 기혼 여성 가운데에서도 최근 코호트에게서 강하게 나타난다. 배우자의 특성이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결정에 있어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녀의 존재는 여전히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의 장애 요인으로 나타난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1996~2000년 한국의 가구소득불평등 확대 :임금, 노동공급, 가구구조 변화의 영향 | 이철희 | pp.1-34 |
|
보기 |
노동조합과 고용조정 :순고용변화에 대한 제품수요 충격의 효과를 중심으로 | 윤윤규 | pp.35-72 |
|
보기 |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과 자녀 교육 | 김대일 | pp.73-102 |
|
보기 |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동조합의 임금효과 분석 | 조동훈 | pp.103-128 |
|
보기 |
Changes i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Korea, 1980-2005 | 권정현 | pp.129-15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1980) Population Census Report, 2% Micro Sample | 미소장 |
2 |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1985) Population Census Report, 2% Micro Sample | 미소장 |
3 |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1990) Population Census Report, 2% Micro Sample | 미소장 |
4 |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1995) Population Census Report, 2% Micro Sample | 미소장 |
5 |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0) Population Census Report, 2% Micro Sample | 미소장 |
6 |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5) Population Census Report, 2% Micro Sample | 미소장 |
7 |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1980) Annual Report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 미소장 |
8 |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5) Report on Social Statistics Survey, | 미소장 |
9 | Becker, Gary S., (1973)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Part 2 | 미소장 |
10 | Blau, Francine, D., (2000) in the Labor Supply Behavior of Married Women: 1980-2000, Journal of Labor Economics | 미소장 |
11 | Burniaux, J. M., (2003) Coping with Aging: A dynamic approach to quantify the impact of alternative policy options on future labour supply in OECD countries,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 미소장 |
12 | Chang Jiyoen, (2001) Economic Crisis and Female Labor, KLI Report | 미소장 |
13 | From Mill Town to Board Room: The Rise of Women's Paid Labor ![]() |
미소장 |
14 | Costa Dora L., (1998) The Evolution of Retire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15 | Goldin, Claudia, (1990) Understanding the Gender gap,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6 | Gum, Jaehoe, (2002) Female Labor Market and Policies, KLI Report | 미소장 |
17 | Economic Review 既刊総目次(Vol.8 No.1〜Vol.10 No.1) ![]() |
미소장 |
18 | Hwang, Sookyung, (2002) Labor Supply Pattern of Married Women and Bipolarization in women's labor market, KLI Report | 미소장 |
19 | Hwang, Sookyung, (2003) Women's Occupational Choice and Structure of Female Labor Market, KLI Report | 미소장 |
20 | Hwang, Sookyung, Part-time Work and Utilizing Female Labor Force, KLI Report | 미소장 |
21 | Hwang, Yunjae, (2004) Decision Factors of Married Women's Labor Supply Decision Semiparametric Approach, Journal of Korean Econometric Society | 미소장 |
22 | Jaumotte, F., (2003)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Past Trends and Main Determinants in OECD Countries,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 미소장 |
23 | Wage Inequality and Family Labor Supply ![]() |
미소장 |
24 | Killingworth, Mark R., (1986) Female Labor Supply: A survey, In Handbook of Labor Economics | 미소장 |
25 | Long‐Term Changes in the Economic Activity of Older Males in Korea ![]() |
미소장 |
26 | OECD, (2006) Employment Outlook, | 미소장 |
27 | Pencavel, J., (1986) Labor Supply of Men: A survey.| In Handbook of Labor Economics, Ashenfelter and R. Layard | 미소장 |
28 | The Market Work Behavior and Wages of Women: 1975-94 ![]() |
미소장 |
29 | The Decline in 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 |
미소장 |
30 | Co - residence and Its Effect on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 소장 |
31 | Uh, Soobong, (1991) Female Labor Market in Korea, KLI Report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