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미술적 지식의 구조와 양식에 대한 탐구 / 김황기 1

〈요약〉 1

I. 서론 1

II. 현대 인식론과 미술적 지식 3

III. 미술적 지식의 구조 5

1. 명제적 지식 5

2. 해석적 지식 6

3. 직관적 지식 7

IV. 미술적 지식의 양식: 앎을 보는 세 개의 눈 10

V. 직관적 지식의 타당성 13

1. 직관적 지식의 성립 13

2. 직관적 지식의 필요성 14

VI. 결론 16

【참고문헌】 18

【Abstract】 21

초록보기

어떤 새로운 과학 패러다임을 통해서도 정신성과 과학이 상호 일치할 수 있는 영역 또는 부분을 발견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주장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지금까지의 과학이 독백적이고 실험적인 배경을 뛰어넘을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 둘째,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독백적인 방식인 육안(肉眼)과 대화적인 방식인 심안(心眼)으로 논리초월적인 방식인 신안(神眼)이 작동하는 정신세계를 이해하려고 한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기에 결론은 명료하다. 신안에 근거한 통찰적 사고가 무시되었을 때 미술은 과학에 의해서 강조되었던 육안이나 심안 같은 일원적 세계에 머무르게 된다. 그리고 만약 미술이 유일하게 제공할 수 있는 지식의 영역이 있다면 그것은 통찰이다. 게다가 통찰은 제대로만 활용된다면 모든 지식의 근거가 된다. 미술의 본질적이면서 위대하고 유일한 강점은 정신적 경험의 과학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요구되는 것은 정신성을 독백적 패러다임으로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육안, 심안, 신안을 포괄할 수 있는 고대의 지혜를 미술교육에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미술적 활동을 통하여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It is not through any sort of ‘new paradigm’ in science that spirituality and modern science will finally find mutual accord. Because, first, most science does not go beyond its monological/empirical ground. Second, worst of all, it is based on a category error, the attempt by the monological eye of flesh and the dialogical eye of mind to see what can be seen only by translogical eye of spirit. As such, it can profoundly detract from the awakening of a genuine spiritual awareness.

The conclusion seems obvious: When the eye of contemplation is abandoned, art is left only with the eye of flesh and mind where it is crucified by modern science. If art possesses something that is uniquely its own, it is contemplation. Moreover, it is the eye of contemplation, adequately employed, that follows all strands of valid knowing. Thus art's great, enduring, and unique strength is that, at its core, it is a science of spiritual experience. What is required for an integration of science and spirit is not an attempt to reduce translogical spirit to a new monological paradigm. Rather, we need to take the core of the wisdom traditions, namely, the Great Chain of Being, which includes molological and dialogical and translogical and expose them to the differentiation of modernity. If the three modes of science, philosophy/art, contemplation were properly utilized, new science which is comprehensive, integrative, and balanced which can deal with all of bi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dimension of human come to appear.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술적 지식의 구조와 양식에 대한 탐구 김황기 pp.1-21

보기
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미술교육 서인숙 pp.23-53

보기
독일 현대 미술교수학에 대한 고찰 김경순 pp.55-83

보기
미술비평교육의 필요성과 의의에 대한 연구 고은실 pp.85-107

보기
하우젠(Housen)의 미적 발달 단계가 미술 비평 교육에 주는 시사점 정수기 pp.109-128

보기
중학교 미술교사의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실태 박소연 ;노 용 pp.129-171

보기
미술작품 감상에서 은유와 환유에 의한 의미 형성 박용혁 pp.173-210

보기
초등미술교육의 현황과 미술영재의 육성방안 백중열 pp.211-227

보기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강화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김선현 ;김희정 ;최순주 pp.229-246

보기
통일신라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이성도 pp.247-296

보기
전통화조화의 개념과 상징 해석에 대한 고찰 장지성 pp.297-327

보기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존재론적 해석학에 대한 역사철학적 고찰 소장
2 학문 이해의 역사와 존재해석학적 학문론 소장
3 Inquiry into an Alternative Epistemological Perspective for School Curriculum in the Knowledge - based Society / The Case of Polanyi`s Theory of Knowing 소장
4 이홍우(2000). 「교과의 내면화」. 아시아교육 1(1). 249-271. 미소장
5 Explanation of the internalization of the subjects 소장
6 장파-張法. (1999) 中西美學與文化情神 유중하 역 (2002).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 서울: 푸른숲 미소장
7 Alexander, N., & Langer, J.(1990). (Eds.). Higher stage of human development: Perspective on adult growt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8 Bergson, H.(1993). La pensee at le mouvant. Paris :Quadrige. 이광래 역(1998). 사유와 운동 . 서울: 문예출판사 미소장
9 Bollnow, O. F.(1981) Philosophie der Erkenntnis: Das Vorverstandnis und die erfahrung des neuen. 백승균 역 (1993). 인식의 해석학: 인식의 철학 I . 서울: 서광사. 미소장
10 Buber, M.(1970). I and thou. (Trans.). W. Kaufmann.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미소장
11 Capra, F.(1982). The turning point. 이성범․구윤서 역 (1996).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 서울: (주) 범양사출판부. 미소장
12 Capra, F.(1983). Toa of physics. 이성범․김용정 역 (1989).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 . 서울: (주) 범양사출판부. 미소장
13 Capra, F.(1988). Uncommon wisdom. 홍동선 역 (1993). 탁월한 지혜: 비범한 인물들과의 대화 . 서울: (주) 범양사출판부. 미소장
14 Coleman, E. J.(1998). Creativity and spirituality: bonds between art and religion.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Fromm E. (1970). Psychoanalysis and Zen buddhism. In E. Fromm, D. T. Commons, M., Richards, F., & Armon, C. (1984). Beyond formal operations. New York: Praeger. 미소장
15 Critique of Intuition According to Scientific Empiricism 네이버 미소장
16 Fineberg, J.(1995). The innocent eye. ARTnews, 94(4). 118-127. 미소장
17 Gadamer, H. G.(2000). Erziehung ist sicherziehen. 손승남 역 (2004). 교육은 자기 교육이다 . 서울: 동문선. 미소장
18 Heidegger, M.(1959). Introduction to metaphysics. New Haven: Yale Univ. Press. 미소장
19 Jung, C.(1954). Archetyp und Unbewusstes.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2002). 원형과 무의식 . 서울: 솔. 미소장
20 Kant, I.(1951). Critique of judgement. (Trans.). J. H. Bernard. New York: Hafner Publishing Co. 미소장
21 Merleau-Ponty.(1996). Phenomenology of perception. New Jersey: Humanities. 미소장
22 Miller, E., & Cook-Greuter, R.(1994). (Eds.). Transcendence and nature thought in adulthood. Lanham, MD: Ro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미소장
23 Murphy, M.(1992). The future of body. LA: Tarcher. 미소장
24 Northrop.(1944) Philosophy-East and West. (Ed.) by A. M. Char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25 Ouspensky, D.(1920/1980). Tertium Organum: A key to the enigmas of the world. New York: Vintage Books. 미소장
26 Passmore, J.(1991). Serious art. La Salle, Ⅲ: Open Court. 미소장
27 Polanyi, M.(1958). Personal knowled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28 Read, H.(1943). Education through art. 황향숙, 김성숙, 김지균, 김향미, 김황기 역(2006). 예술을 통한 교육 . 서울: 학지사. 미소장
29 Knowledge, Knowing and Becoming Educated 네이버 미소장
30 Ryle, G.(1949). The concept of mind. New York: Barns & nobles, Inc. 미소장
31 Steiner, R.(1919). Allgemeine menschenkunde als grundlage der padagogik. 高橋巖: 다카하시 이와오 역 (1991). 김성숙 재역 (2005). 교육의 기초로서의 일반인간학 . 서울: 물병자리. 미소장
32 Susuki and R. De Martino(Eds.). Zen buddhism and psychoanalysis. 김용정 역(1987). 선과 정신 분석 . 서울: 정음사. 미소장
33 Wilber, K.(1997). The eye of spirit: an integral vision for a world gone slightly mad. Boston: Shambhala. 미소장
34 Wilber, K.(1998). The marriage of sense and soul. New York: Random Hous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