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정신분석 비평과 분열분석 비평의 비교 고찰 / 오형엽 1
1. 문제 제기 1
2. 정신분석 비평과 분열분석 비평에 대한 예비적 고찰 2
3. 정신분석의 수사학적 고찰-라캉의 경우 6
4. 분열분석의 수사학적 고찰-들뢰즈·가타리의 경우 11
5. 정신분석 비평과 분열분석 비평의 비교 15
6. 맺음말 17
참고문헌 19
〈Abstract〉 22
This writing tries to attain critical theorization, investigating ‘psychoanalysis’ and ‘schizoanalysis’ on the viewpoint of ‘rhetoric’ to establish its footing that can progress literature study and criticism deeply, and wishes to investigate things i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by mutual comparison. For this, we try to propose the standard of literature criticism by investigating psychoanalysis laying stress on Jacques Lacan's theory on viewpoint of rhetoric, and investigating schizoanalysis laying stress on Gilles DeleuzeㆍFlis Guattari's theory on viewpoint of rhetoric. And try to inspect possibility of literature criticism comparing psychoanalysis-criticism and schizoanalysis-criticism mutually on the basis of this.
Main target of psychoanalysis is neurosis and fantasy. Fantasy counts as symptoms of neurosis that psychoanalysis makes by main object. Lacan emphasizes function of defense mechanism receiving visual characteristic that is a scenario that play desire about fantasy. Neurotic fantasy can be defined a scenario that accomplish desire by contorted form by the mechanism that defend oneself about the Other's deficiency while detected subject's unconscious desire. Human's desire is formed the unconscious fantasy that is subject's response about the other's desire. Subject is estranged from own genuine desire in process that respond to the other's desire in unconscious fantasy. Subject should reach in own unconscious and desire across fantasy to be released from this estrangement. To resuscitate subject that do desire sincerely and subject of jouissance from subject that is estranged through this crossing fantasy is target of psychoanalysis.
Main target of schizoanalysis is schizophrenia and hallucination. Hallucination counts as symptoms of schizophrenia that schizoanalysis makes by main object. Gilles DeleuzeㆍFlis Guattari explain hallucination regarding simulacre. Hallucination is imaginary scenario that is described the unconscious desire's realization. Hallucinationㆍincidentㆍimage etc. are surface effect of material movement on the one side, but it is including meaning on the other hand. Immanent unfolding of hallucination is expressed in play of grammatical modifications. This is a hint that schizoanalysis is gone by grammatical reductions of expressed language also. Actually, Gilles DeleuzeㆍFlis Guattari emphasize the fact that a meaning is happened under relation between sequences, analyzing that all other assertions are derived from assertion of infinity going back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박용래 시의 상징 이미지와 공간 지각 현상 | 강희안 | pp.7-32 |
|
보기 |
김훈의 「칼의 노래」와 정신분석학의 윤리 | 고강일 | pp.33-52 |
|
보기 |
생활세계와 미시적 폭력의 양상 : 이동하론 | 김병덕 | pp.53-73 |
|
보기 |
강용흘과 임화의 문학 | 김욱동 | pp.75-100 |
|
보기 |
난민의 정체성과 근대 민족국가 비판 : 손창섭 장편소설 「유맹」을 중심으로 | 류동규 | pp.101-122 |
|
보기 |
육사와 청마 시에 나타난 아나키즘 연구 | 민명자 | pp.123-155 |
|
보기 |
김남주 시의 여성이미지 연구 | 박종덕 | pp.157-188 |
|
보기 |
근대적 이성과 훼손된 지성 : 전형기비평의 두 초상 | 신철하 | pp.189-213 |
|
보기 |
정신분석 비평과 분열분석 비평의 비교 고찰 | 오형엽 | pp.215-237 |
|
보기 |
순정과 의지의 친화와 결속 | 유성호 | pp.239-261 |
|
보기 |
TV드라마의 플래시백(flashback) 기법 고찰 : <프라하의 연인>과 <굿바이 솔로>를 중심으로 | 윤석진 | pp.263-295 |
|
보기 |
「딕테」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언어 고찰 | 윤향기 ; 이경영 | pp.297-321 |
|
보기 |
「베니스의 상인」(The Merchant of Venice)에 나타난 이원론의 해체 | 이행수 | pp.323-344 |
|
보기 |
저항과 전유의 문학 담론 : 한국 문학과 탈식민주의의 상관성 | 이형권 | pp.345-368 |
|
보기 |
이흡(李康洽)의 시 연구 | 정종진 | pp.369-388 |
|
보기 |
한국 현대소설의 서술 기법 및 전략 연구 : 김동인의 소설론을 중심으로 | 조동길 | pp.389-414 |
|
보기 |
박경리의 '소설가 주인공 소설' 연구 : <내 마음은 호수>, <영원한 반려>, <겨울비>을 중심으로 | 조윤아 | pp.415-44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상환, (1996)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2 | 김상환, (2002) 라캉의 재탄생, 창작과비평사 | 미소장 |
3 | 김석, (2006)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하는 기계 -라캉과 들뢰즈의 욕망이론-, 철학과 현상학 연구 | 미소장 |
4 | 김인환, (1994) 언어와 욕망, 나남 | 미소장 |
5 | 김인환, (1996) 문학과 정신분석,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6 | 김인환, (2008) 실재계와 대타자의 몇 가지 오해에 대하여, 세계의 문학 | 미소장 |
7 | 라캉과 현대정신분석학회, (1999) 우리시대의 욕망 읽기, 문예출판사 | 미소장 |
8 | 맥락과 비평 현대문학연구회, (1998) 라캉과 문학, 예림기획 | 미소장 |
9 | 맹정현, (2004) 라캉 대 안티-오이디푸스, 현대비평과이론 | 미소장 |
10 | 박찬부, (1996) 현대 정신분석 비평, 민음사 | 미소장 |
11 | 박찬부, (2006) 라캉:재현과 그 불만,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12 | 박찬부, (2007) 기호,주체,욕망, 창비 | 미소장 |
13 | 서동욱, (2002) 들뢰즈의 철학, 민음사 | 미소장 |
14 | 신명아, (2000) 라캉의 주체 개념과 정신분석의 윤리학, 라캉과 현대정신분석 | 미소장 |
15 | 김한식, (2004) 시학과 수사학, 어문논집 | 미소장 |
16 | 오형엽, (2006) 정신분석적 시학과 수사학, 어문논집 | 미소장 |
17 | 이진경, (2002) 들뢰즈와 문학-기계, 소명출판 | 미소장 |
18 | 정정호, (2003) 들뢰즈 철학과 영미문학 읽기, 동인 | 미소장 |
19 | 홍준기, (1999) 라캉과 현대철학,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20 | 홍준기, (1999) 라캉의 성적 주체 개념, 라캉과 현대정신분석 | 미소장 |
21 | 허창운 외, (1997) 프로이트의 문학예술이론, 민음사 | 미소장 |
22 | Badiou, Alain, (2001) 들뢰즈-존재의 함성, 이학사 | 미소장 |
23 | Badiou,Alain, (2006) 조건들, 새물결 | 미소장 |
24 | Bellemin-Noe"l, Jean, (2001) 문학텍스트의 정신분석, 동문선 | 미소장 |
25 | Claire,Colebrook, (2004) 질 들뢰즈, 태학사 | 미소장 |
26 | Deleuze,Gilles, (1999) 의미의 논리, 한길사 | 미소장 |
27 | Deleuze,Gilles, (2004) 차이와 반복, 민음사 | 미소장 |
28 | Deleuze,Gilles, (1997) 프루스트와 기호들, 민음사 | 미소장 |
29 | Deleuze, Gilles, (2001) 천개의 고원, 새물결 | 미소장 |
30 | Deleuze, Gilles, (1994) 앙티-오이디푸스, | 미소장 |
31 | Deleuze, Gilles, (1995)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 미소장 |
32 | Deleuze, Gilles, (2001) 카프카, 동문선 | 미소장 |
33 | Deleuze, Gilles, (2005) 디알로그, 동문선 | 미소장 |
34 | Evans,Dylan, (1999) 라캉 정신분석 사전, 인간사랑 | 미소장 |
35 | Fink,Bruce, (2002) 라캉과 정신의학, 민음사 | 미소장 |
36 | Fink,Bruce, (2007) 에크리 읽기, 도서출판 b | 미소장 |
37 | Fink,Bruce, (1995) The Lacanian Subjrct:Between Language and Jouissa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8 | Foucault,Michel, (1992)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 미소장 |
39 | Foucault,Michel, (1980) 말과 사물, 민음사 | 미소장 |
40 | Freud,Sigmund, (1997) 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 미소장 |
41 | Freud,Sigmund, (2003) 정신분석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 미소장 |
42 | Freud, Sigmund, (2005) 과학적 심리학 초고, 열린책들 | 미소장 |
43 | Homer,Sean, (2006) 라캉 읽기, 은행나무 | 미소장 |
44 | Jakobson,Roman, (1989)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 미소장 |
45 | Lacan, Jacques, Ecrits, (2006) Bruce Fink, Norton | 미소장 |
46 | Lacan, Jacques, (1997) Dennis Porter, Norton | 미소장 |
47 | Lacan, Jacques, (1978) Alan Sheridan, Norton | 미소장 |
48 | Laplanche,J., (2005) 정신분석 사전, 열린책들 | 미소장 |
49 | Lemaire,Anika, (1994) 자크 라캉, 문예출판사 | 미소장 |
50 | Scho"pf,Alfred, (2001) 프로이트와 현대철학, 열린책들 | 미소장 |
51 | Stavrakakis,Yannis, (2006) 라캉과 정치, 은행나무 | 미소장 |
52 | Widmer,Peter, (1998) 욕망의 전복, 한울 아카데미 | 미소장 |
53 | Wright,Elizabeth, (1989) 정신분석 비평, 문예출판사 | 미소장 |
54 | Wright,Elizabeth, (2002) 무의식의 시학, 인간사랑 | 미소장 |
55 | Z~iz~ek,Slavoj, (2006) 신체 없는 기관, 도서출판 b | 미소장 |
56 | Z~iz~ek,Slavoj, (2004)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인간사랑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