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동해 울릉분지에서 취득된 다중채널 탄성파자료 해석에 의하면 이 지역에는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가능성을 지시하는 해저모방반사면, 탄성파침니/칼럼, 음향공백대, 증폭반사면, 가스분출 구조 등을 포함하는 5가지 탄성파 지시자가 존재한다. 가장 대표적인 지시자인 해저모방반사면은 연구지역의 남쪽사면의 경우 연속성이 양호하고 강한 진폭을 갖는 반면, 북쪽 중앙분지에서는 상대적으로 진폭이 약하고 연속성이 불량하다. 반사도 감소 및 속도 풀업 특징을 갖는 탄성파 침니/칼럼구조는 중앙분지와 북동쪽해역에 주로 분포하며 가스하이드레이트 혹은 가스유체의 부존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반사강도가 약화되어 나타나는 음향공백대는 저탁류/원양성 퇴적물이 분포하는 중앙분지에 부분적으로 발달하며, 칼럼과 연계된 음향공백대는 북동쪽 사면저부에 주로 분포한다. 해저모방반사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폭반사면은 연구지역의 서쪽 사면에 분포하며 강한 음의 진폭특성으로 보아 자유가스를 함유한 층으로 해석된다. 가스분출구조는 주로 쇄설성 퇴적물이 우세한 조사지역의 남쪽 대륙사면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돔구조 혹은 폭마크 등을 수반한다.

Analysis of multi-channel seismic reflection data collected from the Ulleung Basin, East Sea reveals five types of seismic indicators that imply the existence of gas hydrate including the bottom simulating reflector (BSR), seismic chimney/column, acoustic blanking, enhanced reflections, and gas seepage. The BSR, the most common seismic indicator in the Ulleung Basin, is of high amplitude and good continuity in the southern slope, whereas it is of low amplitude and poor continuity in the northern basin. Seismic chimney/column of reduced reflectivity and velocity pull-up is commonly seen in the central basin and northeastern part of the study area suggesting the existence of gas hydrate or gas fluids. Acoustic blanking of reduced reflectivity partly occurs on the central basin consisting of turbidite/pelagic sediment. Acoustic blanking related to column structures is common in the southeastern slope of the study area. Enhanced reflection with strong negative amplitude below the BSR occurs in the western slope of the area and suggests the existence of free gas. Gas seepages combined with dome structures and pockmarks are widely distributed on the southern slope consisting dominantly of debris flow deposi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울릉분지 가스하이드레이트 시추 지점의 해저면 해수메탄 분포 강년건 ;황인걸 ;권영인 pp.603-614

제주도 구좌읍 김녕 일대에 분포하는 해안사구 퇴적물의 기원과 형성시기 지효선 ;우경식 ;김 련 ;최돈원 ;양동윤 ;박병권 pp.615-628

한반도 남동부 지각의 1차원 Q구조 이현미 ;김성균 pp.629-643

동해 울릉분지의 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 지구물리증거 유동근 ;강동효 ;구남형 ;김원식 ;김길영 ;김병엽 ;정순홍 ;김영준 ;이호영 ; pp.645-655

정밀측량을 통한 만장굴 용암동굴의 형성과 성장과정에 대한 해석 안웅산 ;황상구 pp.657-672

화분분석에 의한 경기도 하남지역의 최후 빙기 최성기 이후 고환경 변화 연구 이상헌 ;김주용 ;양동윤 ;김정찬 ;남욱현 ;윤현수 pp.673-684

IYPE OneGeology 포털 한국노드구축 한종규 ;김복철 ;유병혁 pp.685-691

A British geologist in Korea in the 1970s :memories of a vanishing world Antony J Reedman pp.693-703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최동림, 홍종국, 유해수, 주형태, 한상준, 2001. 동해 울릉분지 남서 사면지역에서 탄성파 특징으로부터 유추한 가스수화물의 존재 가능성. 한국해양학회지, 6(4), 242-248. 미소장
2 한국자원연구소, 1999. 21세기 신에너지자원 가스하이드레이트 연구, 한국자원연구소 보고서 KR-99(B)-09, 179 p. 미소장
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7. 가스하이드레이트 지구물리탐사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 보고서 NP2007- 020-2007(1), 649 p. 미소장
4 허식, 유해수, 김한준, 한상준, 이용국, 2004. 동해 울릉분지 남부해역에 분포하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의 특성 연구. 석유지질학회지, 10, 18-22. 미소장
5 Distribution of methane hydrate BSRs and its implication for the prism growth in the Nankai Trough 네이버 미소장
6 BSRs and Associated Reflections as an Indicator of Gas Hydrate and Free Gas Accumulation: An Example of Accretionary Prism and Forearc Basin System along the Nankai Trough, off Central Japan 네이버 미소장
7 Geological controls on the Storegga gas-hydrate system of the mid-Norwegian continental margin 네이버 미소장
8 Chirp (2–7 kHz) echo characters in the Ulleung Basin 네이버 미소장
9 Geophysical evidence for gas hydrates in the deep water of the South Caspian Basin, Azerbaijan 네이버 미소장
10 Acoustic imagery evidence for methane hydrates in the Ulleung Basin 네이버 미소장
11 Harrison, W.E. and Curiale, J.A., 1982. Gas hydrates in sediments of Holes 497 and 498A, Deep Sea Drilling Leg 67. In: Aubouin, J., von Huene, R., et al.,(eds.) Init. Repts. DSDP, 67: Washington(U.S. Govt. Printing Office), 591-595. 미소장
12 Seismic detection of marine methane hydrate 네이버 미소장
13 Methane Hydrate and Free Gas on the Blake Ridge from Vertical Seismic Profiling 네이버 미소장
14 Kvenvolden, K.A. and Barnard, L.A., 1983. Gas hydrates of the Blake Outer Ridge, Site 533. Deep Sea Drilling Project Leg 76, Initial Reports, 76, 353-365. 미소장
15 Seismic stratigraphy of the deep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Japan Sea) back-arc basin 네이버 미소장
16 A seismic survey to detect natural gas hydrate in the East Sea of Korea 네이버 미소장
17 Max, M.D., Johnson, A.H. and Dillon, W. P., 2006. Economic geology of natural gas hydrate, Springer, Dordrecht, 341 p. 미소장
18 Economic geology of offshore gas hydrate accumulations and provinces 네이버 미소장
19 Mitchum, R.M., JR. Vail, P.R. and Sangree, J.B., 1977.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of seismic reflection patterns in depositional sequence. In: C.E. Payton, (ed.), Seismic Stratigraphy Application to Hydracarbon Exploration. AAPG Memoir, 26, 117-133. 미소장
20 Geophysical and geochemical signatures associated with gas hydrate-related venting in the northern Cascadia margin 네이버 미소장
21 Shipley, T.H., Houston, M.H., Buffler, R.T., Shaub, F.J., McMillen, K.J., Ladd, J.W. and Worzel, J.L., 1979. Seismic reflection evidence for widespread occurrence of possible gas-hydrate horizons on continental slopes and rises. American Association Petroleum Geologists Bulletin, 63, 2204-2213. 미소장
22 Sloan, E.D., 1990. Clathrate hydrate of natural gases, Marcel Dekker, New York, 641 p. 미소장
23 Vanneste, M., De Batist, M., Golmshtok, A., Kremlev, A. and Versteeg, W., 2001. Multi-frequency seismic study of gas hydrate-bearing sediments in Lake Baikal, Siberia. Marine Geology, 172, 1-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