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 적 : 신실질내 역류란 소변이 신우에서 신세뇨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의미하며 소아에서 신손상을 초래하여 신반흔, 고혈압, 단백뇨, 만성신부전등을 일으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관 요관 역류가 있으면서 신실질내 역류가 있는 환아군과 신실질내 역류가 없는 환아군을 비교 분석하여 신실질내 역류의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방 법 :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요로감염으로 아주대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환아중 배뇨성 방광요관조영술을 시행하여 3단계 이상의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환아 8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는 신실질내 역류의 유무에 따라 두군으로 분류하여 신실질내 역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비교 조사하였다.
결 과 : 3단계 이상의 방광요관 역류가 있는 환아 80명중 17명이 신실질내 역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신실질내 역류가 있는 군에서 진단 당시 나이, 역류등급, 단백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추적검사에서 호전율, 말초혈액 백혈구 수, C-반응단백, 요중 백혈구 수, 농뇨 지속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신실질내 역류의 위치와 DMSA 스캔의 광자 결손의 위치가 대부분에서(82.35%)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 방광요관역류에 의하여 발생된 요로감염 환자에서 신실질내 역류가 있는 경우 나이가 적었으며, 방광요관역류의 정도가 심하고, 단백뇨가 많이 검출되었다. 또한 신스캔상 신손상의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추적영상검사를 하였을 때, 신실질내 역류에 관계없이 대다수 환아에서 진단당시 보였던 방광요관역류나 신손상 소견이 대부분 호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 Intrarenal reflux(IRR) is backflow of urine from the renal pelvis into the collecting ducts. IRR is the main cause of renal injury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VUR) which leads to renal scars, hypertension, proteinuria, and chronic renal failur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trarenal reflux.
Method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8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grades of III-V VUR from Jan. 2004 to Dec. 2006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Ajou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IRR on voiding cystoureterogram and compared to each other for the possible factors associated with intrarenal reflux.
Results : Among 80 VUR patients, IRR(+) group comprised 17(21.3%) patients and 27 renal units(23.2%) and revealed younger age, higher grade of VUR, and more proteinuria compared to IRR(-)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laboratory findings and the rate of resolution in VUR or defects on renal scan between two groups. Also, intrarenal reflux mostly corresponded to the same site of photon defects on DMSA scan.
Conclusion : We suggest that intrarenal reflux tends to be associated with younger age, higher grade of reflux, more proteinuria with no difference in resolution rate of VUR when compared to the VUR patients without IRR. From this study,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rarenal reflux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신이식 후 면역반응의 이해 ,2 :이식면역검사와 면역억제제 | 강희경 | pp.133-142 |
|
|
Urinary N-acetyl-beta-D-glucosaminidase and beta 2-microglobulin in children with various renal diseases | So Jin Yoon ;Jae Il Shin ;Jae Seung Lee ;Hyon Suk Kim | pp.143-149 |
|
|
소아 단백뇨 검사에 있어서 단회뇨 단백 크레아티닌 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지미 ;권은지 ;정우영 | pp.150-156 |
|
|
소아에서 연쇄상 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의 임상양상의 변화 | 최병호 ;추미애 ;홍은희 ;황현희 ;조민현 ;고철우 | pp.157-163 |
|
|
소아 Henoch-Schönlein 자반증에서의 항호중구 항체 | 최지나 ;신재일 ;이재승 ;김현숙 | pp.164-169 |
|
|
소아 Henoch-Schönlein purpura에서 스테로이드 치료 기간에 따른 임상적 결과의 비교 | 이수진 ;신재일 ;이종국 ;김기혁 | pp.170-177 |
|
|
3개월 미만 요로감염 영아에서 중증 방광 요관 역류의 예측인자 | 이대용 ;김나연 ;조희연 ;김지은 ;심소연 ;손동우 ;전인상 ;차 한 | pp.178-185 |
|
|
요로감염 환아에서 신실질내 역류의 임상적 의의 | 임범택 ;이해상 ;배기수 | pp.186-193 |
|
|
배뇨 방광 요도 조영술 시행 후 발생하는 요로 감염에 대한 고찰 | 류정민 ;안요한 ;이소희 ;최현진 ;이범희 ;강희경 ;하일수 ;정해일 ;최 용 | pp.194-201 |
|
|
Development of a quality of life scale for children on chronic peritoneal dialysis | Min-Sup Shin ;Soo-Churl Cho ;Jae-Yeon Jang ;Hae-Il Cheong ;Yong Choi ;Il-Soo Ha | pp.202-212 |
|
|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경험적 항생제 치료에 관한 연구 | 이상구 ;조중범 ;손영배 ;박성원 ;김수진 ;진동규 ;백경훈 | pp.213-220 |
|
|
급성 신부전을 동반한 발작 야간 혈색소뇨증 2례 | 류정민 ;안요한 ;이소희 ;최현진 ;이범희 ;강희경 ;강형진 ;신희영 ;하일수 ; | pp.221-226 |
|
|
Diagnosis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uring medical follow-up after urinary screening | So Jin Yoon ;Ji Eun Song ;Jae Il Shin ;Il Cheon Jeong ;Jae Seung Lee ;Hyo Sup Shim ;Hyeon Joo Jeong | pp.227-232 |
|
|
거대세포바이러스와 연관된 IgA 신병증을 Deflazacort와 정맥 면역글로불린으로 치료한 1례 | 윤서희 ;안승희 ;남궁미경 | pp.233-238 |
|
|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의 결막과 각막의 석회 침착 1례 | 이연주 ;임진아 ;이주훈 ;박영서 ;김명준 | pp.239-244 |
|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소아에서 리네졸리드로 치료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복막염 1례 | 백승아 ;박성신 ;김성도 ;조병수 | pp.245-249 |
|
|
제 1형 당뇨병 소아환자에서 발생한 당뇨병성 신병증 1례 | 정환희 ;박성신 ;김성도 ;조병수 | pp.250-255 |
|
|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횡문근융해증 2례 | 이정빈 ;박성신 ;김성도 ;조병수 | pp.256-261 |
|
|
다낭 형성 이상을 보이는 융합된 교차성 신전위 1례 | 서은민 ;심은정 ;이관섭 | pp.262-266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Intrarenal reflux and the scarred kidney. ![]() |
미소장 |
2 | The pathogenesis of reflux nephropathy (chronic atrophic pyelonephritis). ![]() |
미소장 |
3 | Risdon RA. The small scarred kidney of childhood. A congenital or an acquired lesion? Pediatric Nephrol 1987;1:632-7. | 미소장 |
4 | Children with urinary infection: a comparison of those with and those without vesicoureteric reflux. ![]() |
미소장 |
5 | Bailey RR. The relationship of vesicoureteral reflux to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ronic pyelonephritis reflux nephropathy. Clin Nephrol 1993;1:32-41. | 미소장 |
6 | Diagnosis of intrarenal reflux and its role in pathogenesis of reflux nephropathy in children. ![]() |
미소장 |
7 | Darge K, Trusen A, Gordjani N, Riedmiller H. Intrarenal reflux: Diagnosis with contrast enhanced harmonic US. Pediatr Radiol 2003; 33:729-31. | 미소장 |
8 | Prevention of scarring in experimental pyelonephritis in the rat by early antibiotic therapy. ![]() |
미소장 |
9 | Intrarenal reflux--papillary morphology and pressure relationships in children's necropsy kidneys. ![]() |
미소장 |
10 | The pathogenesis of reflux nephropathy. ![]() |
미소장 |
11 | The time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sterile renal scarring following high-pressure vesicoureteral reflux. ![]() |
미소장 |
12 | Ransley PG, Risdon RA. The effect of antibiotics on evaluation of the early pyelonephritic scar. Kidney Int 1981;20:733-42. | 미소장 |
13 | Vesicoureteral reflux and reflux nephropathy in children. ![]() |
미소장 |
14 | Microalbuminuria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
미소장 |
15 | Observations on vesico-ureteric reflux and intrarenal reflux: A review and survey of material ![]() |
미소장 |
16 | INTRARENAL REFLUX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
미소장 |
17 | Kim JW, Kwon MJ, Kim PK, Han SW. Clinical study on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review of 207 cases. Korean J Nephrol 1995;14:49-57. | 미소장 |
18 | Avni EF, Gallety E, Rypens F, Hall M, Dedeire S, Schulman CC. A hypothesis for the higher incidence of vesicoureteral reflux and primary megaureters in male babies. Pediatr Radiol 1992;22:1-4. | 미소장 |
19 | Matsuo Y, Ogawa O, Hadano T, Sakuma T, Shishido S, Nakai H, et al. Reflux nephropathy within first year of life. Studies of its clinical features and kidney scar-formation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ies Nippon Hinyokika Gakkai Zasshi 1994;85:738-46. | 미소장 |
20 | Distribution of Renal Scars and Intrarenal Reflux in Children with a past History of Urinary Tract Infection ![]() |
미소장 |
21 | Silva JM, Santos Diniz JS, Marino VS, Lima EM, Cardoso LS, Vasconcelos MA, et al. Clinical course of 735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rimary vesocoureteral reflux. Pediatr Nephrol 2006;21:981-8. | 미소장 |
22 |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fantile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and Its Spontaneous Resolution Rate | 소장 |
23 | Urinary Excretion of Various Urinary Proteins in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 소장 |
24 | Tomlinson PA. Low molecular weight protein in children with renal disease. Pediatric Nephrol 1992;6:565-71. | 미소장 |
25 | Schardijn GH, Statius van Eps LW. β2- microglobulin: Its significance in the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Kidney Int 1987;32: 635-41. | 미소장 |
26 | Fever and proximal tubular function in acute pyelonephritis. ![]() |
미소장 |
27 | Urinary beta 2 microglobulin in upper and lower urinary-tract infections. ![]() |
미소장 |
28 | Urinary N-acetyl-beta-glucosaminidase and beta-2-microglobulin in the diagnosis of urinary tract infection in febrile infants. ![]() |
미소장 |
29 | Non-radiologic Methods for Predicting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hood Urinary ![]() |
미소장 |
30 | Lee WU, An BM, Kim IS, Kim ER. β2- Microglobulin is a Sensitive Marker for Predicting Renal injury in Childhood Urinary Tract Infection. Korean J Pediatr 1996; 39:665-72. | 미소장 |
31 | Predictive Value for Vesicoureteral Reflux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