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역사〉교과서 단원구성을 위한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방안 / 김한종 ; 방지원 ; 고재연 1
《내용요약》 1
I. 서론 2
II. 〈역사〉과목의 한국사와 세계사 연계 방식 4
1. 8-9학년 〈역사〉의 한국사와 세계사 연계 5
2. 10학년〈역사〉의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8
III. 〈역사〉교과서 단원구성의 방향 10
1. 단원구성의 의미 10
2. 대단원-중단원 대 대단원-주제 12
IV. 〈역사〉교과서 단원구성을 위한 연계 방안 14
1. 8-9학년 한국사 영역 14
2. 8-9학년 세계사 영역 16
3. 10학년〈역사〉 19
V. 결론 22
〈참고문헌〉 23
〈ABSTRACT〉 25
2007년 개정 고시된 교육과정에 새로 설치된 <역사>는 중·고등학교 역사교육 내용구성의 기본 방향으로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합적 접근을 취하였다. <역사>의 성공은 교육과정의 정신과 취지를 잘 살려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계한 교과서를 개발여부에 달려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역사>가 추구하는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과서 단원구성 방안 모색을 중심 과제로 삼았다.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8-9학년 한국사 영역에서는 외교적, 정치사적 사건을 동아시아사적 배경에서 다루며, 민족 문화의 독자성을 파악하되 교류사적 관점을 견지하여 세계사와 연계를 추구하였다. 세계사 영역에서는 한국사와 연계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세계사 전체를 그리는 역사상이 한국사의 '거울'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10학년 <역사>는 근현대의 전개 과정을 세계사적 흐름 안에서 조망하는 가운데, 세계사적 보편성에 비추어 우리 근현대를 이해하고 성찰하도록 하였다.
대강화된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의 검정제 전환은 학습내용과 교과서 단원구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세밀한 검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 개발에 어떤 방식의 단원구성이 가능하며, <역사>가 추구하는 한국사와 세계사 연계 구성의 취지를 살리는데 각각의 단원구성 방식이나 유형은 어떤 장단점을 지니는지 검토하였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사적 이해와 두 영역을 연계시키는 내용구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8-9학년의 경우, 한국사와 세계사 단원을 별도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두 영역에서 모두 상대방을 향한 '열린 관점'을 명확하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내용선정에서 이러한 취지가 살아날 수 있어야 한다. 모형단원 연구 결과 등을 검토한 결과 여러 단원구성 방식에서 이러한 취지를 살려나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학년 <역사>는 단원구성 방식에 따라 훨씬 넓은 정도로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방식, 상호 관련성이 달라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단원 개발 성과를 분석하면서 10학년 <역사>의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단원구성 유형들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가장 무난하게 활용해 온 단원구성 방식은 세계사와 한국사를 비교하면서 성찰하도록 한다는 중요한 취지를 담기에 한계가 있었다. 중학교 세계사와 중복되는 내용 요소를 다루면서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성찰'이라는 특성이 부각되어야 한다. 이를 구체화할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사회과 민주시민 교육의 원리 모색 :파커의 민주주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 서재천 | pp.1-23 |
|
보기 |
가치교육에 있어서 가치판단의 정당화 | 정호범 | pp.25-44 |
|
보기 |
중등 사회과 교사가 인식하는 토론수업 개념과 실천 전략의 딜레마 | 오연주 | pp.45-79 |
|
보기 |
소수자·약자 인권 존중·보장의 당위성에 대한 고찰 :교육에서의 취급 방향 모색을 위하여 | 조우영 | pp.81-95 |
|
보기 |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 황갑진 | pp.97-121 |
|
보기 |
<역사>교과서 단원구성을 위한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방안 | 김한종 ;방지원 ;고재연 | pp.123-148 |
|
보기 |
정서문해력 발달을 위한 장소학습 | 신재철 | pp.149-16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 (2003)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국사과 교육과정 기준 (1946-1997), | 미소장 |
2 | (2007) 교육인적자원부, 2007.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79호 별책7, | 미소장 |
3 | (2008) 중학교 역사교과서 모형단원 개발팀, 2008. 「중학교 <역사> 모형단원 및 개발보고서」, | 미소장 |
4 | (2008)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모형단원 개발팀, 2008.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모형단원 및 개발 보고서」, | 미소장 |
5 |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 (6종), | 미소장 |
6 | World History Organized with Interconnectedness as the Main Theme : Beyond Eurocentrism and Sino-centrism | 소장 |
7 | 교육과정위원회, (2008)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말한다(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휴머니스트 | 미소장 |
8 | 동북아 시대에서 한국사 서술과 역사교육 : '국사'를 넘어서 | 소장 |
9 | 김육훈, (2004) 「즐거운 세계사 교실」, 전국역사교사모임, | 미소장 |
10 | Strategies on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world history education in university | 소장 |
11 | 김한종, (2005) “한·중·일 3국의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공유방안”, 「한·중·일 3국의 근대사인식과 역사교육」, 고구려 연구재단, | 미소장 |
12 | 김한종, (2006)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 미소장 |
13 | 김한종, (2007) 역사수업의 원리, 책과함께 | 미소장 |
14 | 김한종, (2005) 한국근현대사 교육론, 선인 | 미소장 |
15 | A Research on the Connections Between World History and Korean History in Korean History Education | 소장 |
16 | 방지원, (2008b) 처음 만나는 역사, 어떻게 구성할까 in :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휴머니스트 | 미소장 |
17 | The Structural Analysis of Highschool World-History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소장 |
18 | 안병직, (2002) 세계사 교육,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고칠 것인가(세계사 교육문제 대토론회 자료집), 공주대학교 | 미소장 |
19 | 中·高等學校 國史敎育 內容의 系列化 | 소장 |
20 | 전국역사교사모임, (2002)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1,2), 휴머니스트 | 미소장 |
21 | (2005) 전국역사교사모임, 2005. 「양성평등수업사례집」, | 미소장 |
22 | 전국역사교사모임, (2005)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1,2), 휴머니스트 | 미소장 |
23 | (2008) 전국역사교사모임, 2008. 「참실대회 자료집」, | 미소장 |
24 | 정수일, (2005) 한국 속의 세계(상·하),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25 | 최상훈, (2007)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 미소장 |
26 | An Attempt of Interrelation of Korean History & World History | 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