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가즈다노프의 러시아 망명 문학론 / 서상범 1

[본문] 1

참고문헌 19

Abstract 20

초록보기

The two flows of literature in the home country and literature in exile contain different philosophical and artistic culture of the 20th century. Among them, the emigrant literature in exile has its Russian speaking readers who had to leave Russia after the revolution and civil war in to Europe. The emigrant Russian literature was in danger of crisis. That's because the younger generation of literature felt it difficult to write about Russia, not breathing air of Russia and not seeing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past Russia properly.

In literary debates about crisis of emigrant literature,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the connections between the emigrant reality and the Russian tradition get thinner, Gazdanov claims that the generation of young writers should break off relations with the literary traditions of the Silver Age inherited by the older generation and should pay attention to contemporary uncertainty and eternal philosophical problems.

In Gazdanov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and fiction is vague. And reality of human beings and the phenomena take various forms of illusion in Gazdanov, which is the key and truth of the world of his literature. He found out the semantic space of the gap and boundary in his works, and he created his own world that meets the artistic tasks of the 1.5 generation, defined and assigned by himself.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산의 일본귀신전설에 대한 도시민속학적 고찰 김정하 pp.5-22

보기
부산·규슈 초광역 생활문화권형성을 위한 전략 김희재 ;윤영준 pp.23-41

보기
공간론적 관점에서 관광목적지의 해양관광개발계획에 대한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박영아 ;양위주 pp.43-61

보기
16世紀 中國의 海港都市를 통해 본 文化交涉 :廣州와 泉州를 중심으로 최낙민 pp.63-86

보기
우리의 기억, 우리의 도시 :집단기억과 홍콩 정체성 장정아 pp.87-115

보기
해방기 박태원의 역사소설 박배식 pp.117-134

보기
조선시대 倭使 接賓茶禮에 대하여 심민정 pp.135-157

보기
해양인문학의 가능성과 과제 엄태웅 ;최호석 pp.159-178

보기
한·일 다문화 교육 비교 연구 채영희 pp.179-198

보기
부산광역시 문화산업 추이 류태건 pp.199-220

보기
따산즈(大山子)예술촌과 베이징의 도시문화 아이콘 김태만 pp.221-248

보기
중국 문자에서 본 祭祀文化에 관한 고찰 :<說文解字>의 "示部"를 중심으로 서재선 pp.249-283

보기
歌妓文化를 통해 본 北宋詞의 興盛 정태업 pp.285-306

보기
當代東亞民族主義與國民意識的塑造 趙立新 pp.307-325

보기
1930년대 한중 아나키스트의 반파시즘 투쟁과 국제연대 :巴金과 柳子明을 중심으로 조세현 pp.327-355

보기
近世ㆍ近代における話題轉換語の諸相 羅工洙 pp.357-382

보기
韓日兩語における「一字漢語動詞」の對應傾向 裵晋影 pp.383-400

보기
'なる'와 '되다'의 의미 확장과 자동성과의 관계 송동주 pp.401-415

보기
未來のトキを表す條件形式 :「when」との對照を通して 安善柱 pp.417-435

보기
吳音에 나타나는 3等甲類韻의 直音表記에 대하여 이경철 pp.437-455

보기
<法隆寺釋迦佛光背銘>와 <法隆寺三尊佛光背銘>에 관한 一考 이지수 pp.457-476

보기
現代日本語におけるヤリモライの構造 :「ト/カラ格」を受益者とする場合 黃順花 pp.477-491

보기
日本に對する「ステレオㆍタイプ」の對象化 :啓明大學校日本學科2008年度1學期「メディア日本語」における「メディアㆍリテラシ-」の實踐から 宮前耕史 pp.493-515

보기
한국 대학생의 일본어 학습동기와 일본인식에 관한 연구 박은희 ;성해준 pp.517-534

보기
韓國の大學生の日本, 日本語に對するイメ-ジ :親しい日本人がいるか否かを中心にして 齊藤明美 pp.535-553

보기
국제이해교육의 음악교과교수법 사례 연구 :일본 전통음악교수법의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홍주희 pp.555-570

보기
엔도 슈사쿠의 『깊은 강』 論 :'神'의 의미를 중심으로 고경순 pp.571-590

보기
韓日 건국神話의 虛構와 事實 :삼국사기·삼국유사와 古事記ㆍ日本書紀의 시조신화를 중심으로 權 靜 pp.591-607

보기
三條西家における『伊勢物語』 硏究 :『伊勢物語闕疑抄』 金任淑 pp.609-626

보기
문학적 표상으로서의 <섬> :일본근·현대문학 속의 '제주도' 소명선 pp.627-665

보기
草庵茶以前의 日本茶文化構造에 대한 고찰 ,2 :茶의 實用化와 茶文化를 中心으로 노근숙 pp.667-692

보기
일본 정토종 추선공양의 상징구조와 교리 關根英行 pp.693-714

보기
自治體における外國人敎育施策の展開とその實態について :京都市立小學校と朝鮮初級學校との異文化交流を事例として 송은영 pp.715-732

보기
途上國における除隊兵士の自立支援 :カンボジア國軍除隊兵士自立支援プログラムの分析を通して 牧田滿知子 pp.773-751

보기
가즈다노프의 러시아 망명 문학론 서상범 pp.753-772

보기
Жесты и мимика в межкулътур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и (сравнителънъгй анализ русских и японских жестов) Ли Чже Хёк pp.773-793

보기
과학적 토기분석을 통해본 아무르와 연해주의 폴체 문화 홍형우 pp.795-815

보기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골룹꼬프. 러시아현대문학: 분열 이후의 새로운 모색. 역락, 2006, 98-100쪽. 미소장
2 올랜도 파이지스. 나타샤댄스. 이카루스미디어. 2005. 미소장
3 Jone Glad, Conversations in Exile: Russian Writers Abroad.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and London, 1993. 미소장
4 Буслакова Т.Д. Литература русского зарубежья: Курс лекций. 2-е издание. -М., Высшая школа. 2005. 미소장
5 Газданов Г. Черные лебеди. М., Олма-Пресс. 2002. 미소장
6 Орлова О. Газданов. - Жизнь замечательных людей. Москва. Молодая гвардия. 2003. 미소장
7 Сапрыкин Д.Л. Рассказ Газданова Панихида и религиозные корни творчества // Возвращение Гайто Газданова, Москва, Русский путь, 2000. 미소장
8 Струве Г.П. Русская литература в изгнании. Изд. 3-е. Париж-Москва. 1996. 미소장
9 Критика русского зарубежья. В.2. Ч.2 // Сост. О.А. Коростелева, Н.Г. Мельшиква. - М., Изд.<Олимп>, <Издавательство АСТ>, 2002 미소장
10 Современное русское зарубежье. М. : ООО <Издательство АСТ>, <Издательство Олимп>, 200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