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김황기 1

∥요약∥ 1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문제 3

3. 용어정의 4

II. 몰입 이론 4

1. 몰입 경험의 특징 5

2. 미술활동에서의 몰입 7

III. 자기효능감 이론 9

1. 자기효능감 9

2. 미술적 몰입과 자기효능감 10

IV. 연구방법 13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3

2. 연구 도구 및 자료 분석 14

V. 연구결과 15

1. 몰입 발생과 사전·사후 자기효능감의 차이 15

2. 사회 인구학적 배경, 미술활동 영역과 몰입 수준의 차이 16

VI. 결론 및 논의 17

【참고문헌】 21

【Abstract】 23

몰입 수준 검사지(Flow State Scale) 24

【자기효능감 검사지】 26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미술적 몰입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기여하는가? 2) 그렇다면 성별과 미술적 영역(입체, 평면)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존재하는가? t 검증을 활용하여 처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몰입발생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즉 ‘미술활동에서 몰입이 발생은 자기효능감이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연구가설이 긍정되었음을 의미한다. 2. 여성 예비 교사들의 몰입 수준이 남성 예비교사들보다 높았다. 3. 평면·입체 활동에 따른 몰입의 차이는 없었다. 다른 활동영역에서의 몰입이 자기효능감과 같은 내적 동기를 강화하는 것과 같이 미술활동 같은 특수 영역에서의 몰입도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self efficacy are explored in this study. The major question addressed by this research concerns whether artistic flow which comes from teaching the arts for its own sake influenced self-efficacy. The sample consisted of 83 pre-service teachers from five universities of elementary education.

The results have been showed below.

1. Data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self-efficacy related to artistic flow.

2. The flow of female pre-servic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male pre-service teachers.

3.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flow from two-dimensional art activities and the flow from three-dimensional art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 on earlier finding by showing that artistic flow strongly influences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차상희, (1998) 위계적 자아개념 모형과 성취동기간의 관계 연구, 미소장
2 Csikszentmihalyi, M., (2003) 몰입의 기술(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loring flow in work and play), 더불어책 미소장
3 Adlai-Gail, W. S, (1994) Exploring the autotelic personality, 미소장
4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네이버 미소장
5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네이버 미소장
6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미소장
7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네이버 미소장
8 Baumgarten, A., (1936) Reflected on poetry, Bari. 미소장
9 A portrait of gifted young with science talent 네이버 미소장
10 Champman, L., (1978) Approaches to art in education, Harcourt Brace Jovanovich. 미소장
11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 Row. 미소장
12 Csikszentmihalyi, M., (1984) adolescent: conflict and growth in the teenage years, Basic Book. 미소장
13 Csikszentmihalyi, M., (1993)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 Csikszentmihalyi, M., (1990) The art of seeing: An interpretation of an aesthetic encounter, A joint publication of the Paul Getty Museum and the Getty Education Institute for Arts. 미소장
15 Deci, E. L. , (1992) The relation of interest to the motivation of behavior: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16 Deci, E. L.,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 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미소장
17 Dewey, J., (1980) Art as experience, Capricorn Books, G. P. Putnam's Son. 미소장
18 Getzels, J. W., (1964) Creative thinking in art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The University of Chicago. 미소장
19 Getzels, J. W., (1976)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John Wiley and Sons. 미소장
20 Getzels, J. W., (1988) Creativity and problem finding in art, The foundations of aesthetics, art and art education, Praeger. 미소장
21 Hektner, J. M., (1996) A longitudinal exploration of flow and intrinsic motivation in adolescents, ERIC # 395 261 미소장
22 Maslow, A., (1971) The father reaches of human nature, Viking. 미소장
23 Omodei, B., (1990) The flow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73, 미소장
24 Modeling and attributional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A self-efficacy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25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네이버 미소장
26 Tuss, P., (1993) Qualitative of subject experience in a Summer Science Program for academically talented adolescents. ERIC # 360 78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