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제품의 심미성이 제품의 사용시간, 몰입도, 정보 기억도에 미치는 영향 / 이재화 ; 석현정 1

Abstract 1

요약 1

1. 서론 2

1.1. 연구 배경 2

1.2. 연구 목적 3

2. 연구 방법 4

2.1. 미디어 플레이어 선정 4

2.2. 실험 연구 계획 5

3. 실험 2 5

3.1. 실험 목적 5

3.2. 실험 방법 6

3.3. 실험 결과 7

3.4. 논의 8

4. 실험 3 8

4.1. 실험 목적 8

4.2. 실험 방법 8

4.3. 실험 결과 9

4.4. 논의 10

5. 결론 11

6. 추후연구 11

참고문헌 12

초록보기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users have longer using time, better recall of product information, and flow in an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 (media player) in products offering good usability. For the experiment, fourteen emotional words were employed which were made up of 8 aesthetic and 6 usability words. In a preliminary experiment, the subjects freely used three media players and selected emotional words by a 7-point likert scale to distinguish a group of similar usability value and another group contrary to the other in aesthetic and usability value. (N=18) In the main experiment, it was hypothesized that users use more and have more flow and recalled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 Therefore, in the main experiment, we measured how much time subjects spent using the product and asked them to make an assumption regarding the time spent by the group that has the same usability value. We then examined the time they spent and the gap between the actual and estimated time. We also calculated the amount of menu information recalled via a questionnaire. In the last experiment, we selected the group of products contrary to each other in aesthetic and usability value and assessed the differences in using time, recall of product information, and flow. (N=18)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s are associated with greater flow and recall of product information than other products, thus suppor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 and flow index as well as with recalled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동일 조건의 제품(미디어플레이어) 의 경우사용하기 편한 제품보다 심미적인 제품에 대하여 더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고, 정보를 기억하며, 집중을 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1(N=18)에서는, 세 가지의 제품을 자유롭게 사용해본 뒤, 각 제품의 심미성과 사용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8개와 6개의 요인적 재량이 높은 감성어휘를 선택하여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작성하였다. 실험 2(N=18)에서는, 심미성에 차이가 나는 동일조건의 제품에 대해 각 제품을 사용한 시간을 측정하였고, 정보의 기억도 측정을 위해 기억한 메뉴를 묻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제품에 얼마나 몰입하였는가를 보기 위하여 사용자가 추정하는 제품 사용시간을 물어보고 실제 사용시간과의 격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실험 3(N=18)에서는, 각각 심미성요인과 사용성요인의 값이 높은 두 개의 상반된 제품을 선별하여 제품 사용시간과 정보의 기억도, 몰입도의 차이를 상호 비교하였다. 사용성이 동일한 조건에서 심미적인 제품은, 실험에 적용된 3가지 요인 (사용시간, 몰입도, 정보의 기억도) 중 몰입도와 정보의 기억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반된 두 개의 제품비교의 경우, 심미적인 제품의 경우 몰입도, 정보의 기억도 요인에서 사용성이 좋은 제품보다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아름다움의 차원 박상준 ;이영란 ;김은정 pp.139-151

보기
제품속성의 정렬 가능성과 확실성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영 ;송주헌 ;손영우 pp.153-171

보기
Preferred haptic factors for the steering wheel cover and beverage bottle Hyun-Jung Kim ;Sung-Whan Chung ;Jong-Yeol Yang pp.173-180

보기
실버 소비자의 연령대에 따른 등산복 구매 및 만족도 김연이 ;나영주 pp.181-191

보기
부산 관광산업의 세계화를 위한 Design Service Model 구축에 관한 연구 :관광이미지 평가를 중심으로 형성은 ;이성필 pp.193-206

보기
고감성 패턴 제조를 위한 반자동 검단기의 개발 김주용 ;김기태 pp.207-214

보기
휴대폰 사용 중 표출되는 사용자의 감성 평가 정상훈 pp.215-226

보기
시-촉각 지연이 실감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화 ;황민철 ;김영주 pp.227-234

보기
ECG와 PPG를 이용한 실시간 연속 혈압 측정 시스템 김종화 ;황민철 ;남기창 pp.235-243

보기
환경변화에 있어 디자인경쟁력을 위한 실내디자인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장행수 pp.245-256

보기
제품의 심미성이 제품의 사용시간, 몰입도, 정보 기억도에 미치는 영향 이재화 ;석현정 pp.257-269

보기
얼굴 매력의 교차문화적 비교 김수정 pp.271-283

보기
디자인요소와 감성언어 추출을 통한 디지털 카메라의 선호도와 구매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권종대 ;홍정표 pp.285-292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심시원 (2007). Mobile Consumer Trends 2007, 마케팅인사이트 제5차 정보통신기획조사. 미소장
2 User experience - a research agenda 네이버 미소장
3 Norman, D. (2004a). Emotional Desi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4 Tractinsky, N. (1997) Aesthetics and apparent usability: empirically assessing cultural and methodological issues. New York: ACM, Addison-Wesley. 115-122. 미소장
5 Hassenzahl, M. (2003). The thing and I: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and product. In M.Blythe, C. Overbeeke, A. F. Monk, & P. C. Wright (Eds.), Funology: From Usability to Enjoyment 31-42. 미소장
6 Eich, E., Ng. J.T.W., Macaulay, D, Percy, A. D., & Grebneva, I. (2007). Combining Music With Thought to Change Mood. In: J.A.Coan & J.J.B. Allen (Ed.),  Handbook of Emotion Elicitation and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124-136. 미소장
7 Sang Hoon Jeong. (2007). The effects of the usability of products on user’s emotions. with Emphasis on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User\'s Emotions. (Kansei) Kansei Engineering International: International Journal of Kansei Engineering, 10. 미소장
8 Hassenzhal, M. (2002). The effect of percieved hedonic quality on product appealing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mputer Interaction, 13, 479-497. 미소장
9 Inferential Beliefs in Consumer Evaluations: An Assessment of Alternative Processing Strategies 네이버 미소장
10 B. Reeves, C. Nass (1996). The Media Equ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1 J.B Cohen, C.S. Areni. (1991). Affect and Consumer Behavior, Handbook of Consumer Behavior.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188-240. 미소장
12 C. Derbaix, M.T. Pham. (1991). Affective reactions to consumption situations: a pilot investigation,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2. 325-355. 미소장
13 W.J. Havlena, M.B. Holbrook (1991). The varieties of consumption experience: Comparing two typologies of emotion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394-404. 미소장
14 W. Lee, I. Benbasat. (2003). Designing an electronic commerce interface: attention and product memory as elicited by web design,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2, 240-253. 미소장
15 Assessment of time perception: the effect of aging.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