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위협소구 강도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 낙관적 편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이진희 ; 도선재 1

[요약] 1

1. 서론 1

2. 문헌 연구 2

1) 위협의 강도에 따른 광고 효과 2

2) 수용자 특성 변인으로서 낙관적 편견 5

3. 가설설정 6

4. 연구 방법 6

1) 실험설계와 피험자 6

2) 실험광고물 및 실험절차 6

3) 변인측정 7

4) 조작 점검 8

5. 연구 결과 8

5. 논의 및 시사점 10

참고문헌 12

[요약] 15

초록보기

본 연구는 위협소구 강도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를 낙관적 편견이 조절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위협의 강도(고/중/저) 낙관적 편견의 수준(높음/낮음)에 따른 공익광고의 태도 및 행동의도를 규명하기 위해 3*2 요인 설계 방안으로 구성하였다. 서울과 경남지역의 대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고/중/저 위협으로 구분한 3개의 광고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위협소구의 고/중/저 강도에 따른 주효과(태도, 행동의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지만, 위협소구의 강도에 따른 행동 의도는 낙관적 편견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위협소구의 강도와 낙관적 편견 간의 행동의도에 상호작용효과가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낙관적 편견이 높은 집단은 위협의 강도가 저, 중, 고로 증가함에 따라 역 U자 형태의 결과가 나타난 반면, 낙관적 편견이 낮은 집단은 위협의 강도가 저, 중, 고로 증가함에 따라 순 U자 형태를 띠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위협의 강도에 따른 설득 효과에 있어 수용자 특성인 낙관적 편견의 조절적 작용을 맞혀냈으며 기존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위협의 강도에 있어 수용자 특성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수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공익광고의 전략에 실무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우리나라 PPL 규제에 관한 재논의 및 발전적인 방향성 연구 :전문가 델파이 서베이 및 심층집단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박종민 ;박재진 ;한상필 pp.7-27

보기
광고 대행사의 효율적인 아웃소싱 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정상수 ;이원준 pp.29-43

보기
일치성 정도에 따른 혼합형 매장(Hybrid Store)의 온라인 매장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형성 :이미지 일치성, 실체적 일치성 및 전형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충현 ;조재수 pp.45-61

보기
자기개념 점화와 메시지 프레이밍이 설득에 미치는 영향 김재휘 ;이지선 pp.63-76

보기
판촉유형과 판촉메시지 유형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의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허종호 ;이준환 ;홍재원 pp.77-87

보기
정치광고의 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한 민감성 :조절초점의 적합성 관점에서 김귀곤 ;전승우 ;차태훈 pp.89-105

보기
광고의 소구유형, 메시지의 질, 그리고 반복이 인지반응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 정용국 pp.107-126

보기
신제품 수용에 미치는 소비자의 혁신성과 조절초점의 효과연구 이병관 ;조은현 pp.127-143

보기
광고모델의 성적소구 강도와 눈 맞춤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지호 ;김희진 ;김대상 pp.145-159

보기
정보탐색 동기에 따른 온라인 정보탐색 유형에 관한 연구 김 균 ;예종석 pp.161-175

보기
컨조인트 분석을 활용한 금연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연구 장승익 pp.177-194

보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유형과 기업평판의 관계에 대한 대학생과 일반인의 비교 서구원 ;진용주 pp.195-209

보기
게임내 간접광고(PPL)가 브랜드 회상과 재인에 미치는 효과 김효규 ;최영균 pp.211-225

보기
모바일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양영종 pp.227-242

보기
위협소구 강도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낙관적 편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진희 ;도선재 pp.243-257

보기
텔레비전 광고효과에 미치는 이월효과 영향력 측정모형 비교연구 주대홍 ;한상필 pp.259-273

보기
젊고 생동감 있는 브랜드를 만들기 위한 펩시의 노력 :Pepsi Cool Music Festival에 대한 사례연구 박현수 ;정걸진 ;이원석 pp.275-284

보기
생활을 예술로 만들다 :LG 명화시리즈 광고사례 분석 김유경 ;박은아 ;오세민 pp.285-295

보기
웅진코웨이 '케어스' 광고사례연구 :보이지 않는 효용을 소비자들에게 부각시켜라 윤 각 ;오선영 ;김용준 pp.297-307

보기
대한항공 일러스트 잡지광고시리즈 사례연구 :이집트 멜버른 스페인… 데스티네이션 광고를 중심으로 유창조 ;배성미 pp.309-326

보기
존경 받는 100년 기업을 꿈꾸는 금융브랜드, 교보생명 김상훈 ;김유경 pp.327-337

보기
대한민국 관광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방안 연구 :프랑스와 독일 관광객의 경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최일도 ;최미세 pp.339-349

보기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에이즈(AIDS)예방 캠페인과 낙관적 편견 : 자아 존중감과 자신에 대한 통제감을 중심으로 소장
2 광고에서 사용되는 공포소구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3 공익광고에 대한 정보처리 3단계 모델의 효과검증 소장
4 김재휘, 신진석. (2004). 공익광고 메시지의 프레이밍과 결과 지각이 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5(2), 65-86. 미소장
5 이동숙. (2003). 건강불감증의 구조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6 이민진, 양윤. (2007). 공포수준, 공포유형, 및 자기감시가 공익광고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여름호, 187-212. 미소장
7 환경관여도,자기-감시 및 이성적/감성적 소구에 따른 그린광고효과 소장
8 이시훈, 홍창선. (2004). 위협의 강도와 불안수준에 따른 위협소구 광고의 효과 연구. 광고연구, 62, 130-131. 미소장
9 Using the EPPM to Investigate the Persuasive Effects of Fear Appeal Messages Different in the Levels of Threat and Efficacy 소장
10 메시지 유형에 따른 에이즈 예방 캠페인 효과 : 공포소구와 메시지 측면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소장
11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7). 한국금연운동협의회 금연자료실. 2007.10.02 등록 http://www.kash.or.kr/user_new/pds_view.asp 미소장
12 Optimistic bias in adolescent and adult smokers and nonsmokers 네이버 미소장
13 Aucote, H. M. & Gold, R. S. (2005). Non-equivalence of direct and indirect measure of unrealistic optimism. Psychol, Health & medicine, 10(4), 376-383. 미소장
14 Backer, T. E., Rogers, E. M., & Sopory, P.(1992). Designing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s: What works?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15 Effects of Horrific Fear Appeals on Public Attitudes Towards AIDS 네이버 미소장
16 Fear Appeal Effects in the Field: A Segmentation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17 Third-Person Perception and Optimistic Bias Among Urban Minority At-Risk Youth 네이버 미소장
18 Unrealistic Optimism and the Health Belief Model 네이버 미소장
19 Optimistic bias in cancer risk perception: a cross-national study. 네이버 미소장
20 Fear Appeals in Print Advertising: An Analysis of Arousal and Ad Response 네이버 미소장
21 The Ethics of Psychoactive Ads 네이버 미소장
22 Effects of fear-arousing communications. 네이버 미소장
23 Janis, I. (1967). Effects arousal on attitude change: Recent developments in theory and research.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 berkowitz L(ed). Academic Presse: New York. 166-224. 미소장
24 Using fear appeals to promote cancer screening—are we scaring the wrong people? 네이버 미소장
25 Increasing the Persuasiveness of Fear Appeals: The Effect of Arousal and Elaboration 네이버 미소장
26 King, K. W. & Reid, L. N. (1990). Fear arousing anti-drinking and driving PSAs: Do physical injury threats influence young adults?. Current Issues & Research in Advertising, 12(1), 155-175. 미소장
27 Fear-provoking recommendations, intentions to take preventive actions, and actual preventive actions. 네이버 미소장
28 Langley, J. & Williams, S. (1992). Cycling health beliefs, crash experiences and night cycling behavior. Journal of Prediatrics and Child Health, 28(3), 231-235. 미소장
29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persuasive effect of fear appeal messages in cigarette advertising: China and Canada 네이버 미소장
30 Don't Be Afraid to Use Fear Appeals: An Experimental Study 네이버 미소장
31 Using fear appeals in advertising for AIDS prevention in the college-age population. 네이버 미소장
32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네이버 미소장
33 Some recent research on fear‐arousing message appeals 네이버 미소장
34 Predictors of unrealistic optimism: a study of Norwegian risk takers 네이버 미소장
35 Price, P. C., Pentecost, H, C., & Voth, R. D. (2002). Perceived Event Frequency and the Optimistic Bias: Evidence for a Two-Process Model of personal Risk Judgemen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8, 242-252. 미소장
36 Adolescent (in)vulnerability. 네이버 미소장
37 Fear: The Potential of an Appeal Neglected by Marketing 네이버 미소장
38 Danger and Fear Control in Response to Fear Appeals: The Role of Need for Cognition 네이버 미소장
39 A Model of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Perceived Ethicality and Performance of Fear Appeals in Advertising 네이버 미소장
40 Do cigarette smokers have unrealistic perceptions of their heart attack, cancer, and stroke risks? 네이버 미소장
41 Thorson, & Friestad. (1985). Advertising:Sold on emotion. Psychology Today, 19(3), 89. 미소장
42 Vincent. A. M. & Dubinsky, A. J. (2005). Impact of Fear appeals in a cross-cultural context. The Marketing Management Journal, 15(1), 17-32. 미소장
43 Unrealistic optimism about susceptibility to health problems: conclusions from a community-wide sample. 네이버 미소장
44 Preventing the Spread of Genital Warts: Using Fear Appeals to Promote Self-Protective Behaviors 네이버 미소장
45 A Meta-Analysis of Fear Appeals: Implications for Effective Public Health Campaign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