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朝鮮前期 寓言散文 創作의 한 사례로 丁壽崗(1454~1527)의 「醉鄕記」, 南孝溫(1454~1492)의 「睡鄕記」, 成運(1497~1579)의 「醉鄕記」에 주목하여, 主題意識과 敍述方式의 특징 및 그 문학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들은 唐 王績의 「취향기」와 宋 蘇軾의 「수향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戱文的 요소를 많은 부분 消去시키고, 불우자의 자기표현 양식으로 更新시켰다. 정수강은 李奎報의 「麴先生傳」이나 林椿의 「麴醉傳」과 같은 酒類 假傳의 수법을 借用하였고, 남효온은 山水遊記와 夢遊構造를 混用하였다. 특히 성운은 夢遊錄의 형식을 도입하여 不遇한 처지에서 오는 憂愁와 당대의 不正한 정치 현실에 대한 불만을 慷慨하게 드러내었다. 이는 주제의식과 서술방식에 있어 儒家的文藝意識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朝鮮前期 方外人 文學의 一面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古代 地名의 改定과 그 功過 都守熙 pp.7-27

韓國語文敎育硏究會 選定 特級 配定漢字 代表訓音에 관한 고찰 ,5 南基卓 pp.29-57

語根 槪念의 再檢討 盧明姬 pp.59-84

槪念的 隱喩의 相對性 :19~20世紀初 古小說을 중심으로 金鎭海 pp.85-110

現代國語 '있다'와 관련된 相的 呼應에 대하여 金天學 pp.111-131

國語 形容詞 {이-}의 語彙素 分類 試稿 :'確認, 屬性, 所在, 提示 等'의 意味를 中心으로 林根錫 pp.133-159

中世國語 接續 構成에서의 事實性 張요한 pp.161-181

「薯童謠」의 重義的 表現과 세 詩的 聽者의 解釋 楊熙喆 pp.183-207

「權龍星傳」 硏究 車充煥 pp.209-232

開化期의 民謠의 社會詩學的 考察 金榮喆 pp.233-259

尹東柱 詩의 對稱構造 柳楊善 pp.261-284

아프레 걸의 系譜와 反共主義 敍事의 自己構成 方式 :崔貞熙의 『끝없는 낭만』을 중심으로 金福順 pp.285-308

朝鮮前期 「醉鄕記」·「睡鄕記」의 創作 樣相과 그 意味 安世鉉 pp.309-332

國內 學問 目的 韓國語 敎育의 現況과 課題 崔銀圭 pp.333-358

現地化 敎材의 單元 構成 방안 :인도네시아 대학권 한국어 교재의 경우 安慶華 ;趙顯龍 pp.359-387

國語科 敎育課程과 敎科書에 反映된 語彙指導 內容 硏究 金恩惠 pp.389-415

韓國語 請誘文과 提案 表現 奉美慶 pp.417-440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丁壽崗, 月軒集 , 韓國文集叢刊16,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2 南孝溫, 秋江集 , 韓國文集叢刊16,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3 成運, 大谷集 , 韓國文集叢刊28,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4 李瀷, 國譯 星湖僿說 , 民族文化推進會, 1976. 미소장
5 李滉, 退溪集 , 韓國文集叢刊29,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6 趙翼, 浦渚集 , 韓國文集叢刊85,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7 李植, 澤堂集 , 韓國文集叢刊88,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8 尹鑴, 白湖集 , 韓國文集叢刊123,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9 崔奎瑞, 艮齋集 , 韓國文集叢刊161,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10 趙德鄰, 玉川集 , 韓國文集叢刊175,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11 李匡德, 冠陽集 , 韓國文集叢刊209, 民族文化推進會 影印本. 미소장
12 池光翰, 雪嶽遺稿 , 韓國歷代文集叢書 2951, 景仁文化社 影印本. 미소장
13 CD-ROM 國譯 朝鮮王朝實錄 , 서울시스템주식회사, 한국학데이터베이스연구소. 미소장
14 CD-ROM 文淵閣四庫全書電子版 , 上海人民出版社․迪志文化出版有限公司, 2000 미소장
15 金鍾九(1998), 「秋江 南孝溫 文學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72~179. 미소장
16 김창룡(2003), 「중국의 산문 명작(1)-「취향기(醉鄕記)․「수향기(睡鄕記)-」 <漢城語文學> 22輯,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pp.47~58. 미소장
17 大谷 成運의 學風과 處世 소장
18 천군계 우언의 형성과정과 특성 소장
19 李家源(1996), 韓國漢文學史 , 보성문화사, p.210. 미소장
20 形成期 古典小說의 전개와 寓言文學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