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개항 이후 목포의 공간 변화와 문화과정 / 조경만 1
I. 머리말[원문불량;p.7] 1
1. 연구목적과 대상 1
2. 기록 자료의 선택과 주요제보자 면담 4
II. 개항 전후의 공간 변화와 문화과정 5
1. 목포 만호진(萬戶鎭)과 개항 전후 5
2. 개항 과정과 각국공동거류지 6
3. 개항 공간의 정치경제적 이해관계와 문화과정 10
III. 도시공간의 확대와 변화 16
1. 일제 하 시가지의 공간변화 16
2. 일제 하 도시공간들의 차이와 도심의 변화 18
3. 해방 후 도시공간의 변화 24
IV. 근대의 번영과 퇴락의 상징, 구도심 오거리 26
1. 구도심의 이동 26
2. 오거리에 대한 시민의 기억 27
V. 맺음말 30
〈참고문헌〉 33
〈ABSTRACT〉 35
This paper deals with spatial features and their changes of Mokpo City since it had become an open port city in the early days of modernization. The author describes distribution of the ethnic groups related with spatial features and the cultural processes related with formation of the spac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some urban spaces and their changes.
From the early days of open port, spatial structure of Mokpo had been dual. The places occupied by Japanese were constructed under the planned design. Things representing 'civilization' and modern buildings were the symbols of the Japanese places. On the contrary the poor housing of the Korean natives and new immigrants. naturally formed, irregular features of spaces represents the places of Koreans. As time goes by, population growth and expansion of the city result in the growth of Korean commercial spaces and spatial development of streets. Even under the distinction and duality, adaptive proceed of urban life occurred. Spaces of popular culture and activities symbolize the adaptive advances.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urban spaces of Mokpo enter the other situation. The former heart places of Japanese were degraded. In return another former heart places grown in the Korean places became more vitalized. Living areas and heart areas of Mokpo were expanded more and more toward north.
Ogeori , crossroad of several streets and avenues became another heart of Mokpo. it was located at the meeting point of Korean and Japanese areas. Especially, this spot has taken the function of cultural pool where literatures, artists, wandering musicians reside from the 1960s. This spot has been the ecological niche of urban people. But since the newtown Hadang was opened, Ogeori also went the underway of regression. Now it is recognized as 'old-heart' of the city.
In conclusion,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 cultural processes. Since the open port period, two patterns of modern spatial structure emerged. One is planned, regular and repetitive pattern. The other is, mixed with pre-modernization elements, irregular pattern. Under the condition of limited space, cumulative or adding, introvertive dividing might have occurred.
In the 1930s, expansive space patterns and vitalization in some spots expresses the development of the days. Development of commercial districts Muantong, usual crowd in the street,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spaces tell the vitalization. After the liberation, crowd in Ogeori. people's casual drop-by in the coffee shops , active cultural activities tell the vitalization too. More over it was the ecological niche of urban life. But since the 1990s the newtown Hadang has shown amenity, convenience and regularity of spaces. These features or patterns have been contrsted with old, complicated patterns of old city. In these changes the cultural elements of harbor and ocean have become more and more marginalized. Uniformity of space realized in Hadang has become more and more central theme.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개항 이후 목포의 공간 변화와 문화과정 | 조경만 | pp.7-42 |
|
보기 |
1874~1945년, 하이 퐁(Hai Phòng, 海防)의 '개항(開港)'과 한국 사회 | 윤대영 | pp.43-75 |
|
보기 |
19세기 후반(1860~1895) 대만 개항체제의 성립과 대만사회의 변화 | 문명기 | pp.77-111 |
|
보기 |
개항기 세관제도에 관한 연구 :중국 하문(厦門)의 경우를 중심으로 | 김 찬 ;김범준 | pp.113-137 |
|
보기 |
20세기 전반기 인천 지역경제와 식민지 근대성 :인천상업회의소(1916~1929)와 재조일본인(在朝日本人) | 문영주 | pp.141-166 |
|
보기 |
일제시기 조선기계제작소(朝鮮機械製作所)의 설립과 경영, 1937~1945 | 배석만 | pp.167-194 |
|
보기 |
일제말기(1937~1945) 인천지역 공업현황과 노동자 존재형태 | 이병례 | pp.195-231 |
|
보기 |
고유섭의 미술철학에 대한 생명론적 접근 | 이승종 | pp.235-259 |
|
보기 |
백초 유완무의 생애와 민족운동 | 이희환 | pp.261-306 |
|
보기 |
심태(沈태)의 삶과 문학 | 심경호 | pp.309-329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목포 근현대 신문자료집성 (목포문화원, 2002) | 미소장 |
2 | 木浦開港百年史 (木浦百年會, 1997) | 미소장 |
3 | 木浦府史 (木浦府,1930) | 미소장 |
4 | 木浦市史-人文編 (木浦市, 1987) | 미소장 |
5 | 목포의 땅이름 (목포문화원, 2003) | 미소장 |
6 | 木浦誌 (木浦誌編纂會, 1914, 김정섭 역, 목포 : 향토문화사, 1991) | 미소장 |
7 | 務安報牒 (박찬승·고석규 공역, 목포문화원, 2002) | 미소장 |
8 | 《每日申報》(1914. 12. 20) | 미소장 |
9 | <대일본직업별명세도>, 동경: 동경교통사, 1925 | 미소장 |
10 | <辛개념현장미술 목포오거리 기획전>, 2008. 5. 23 | 미소장 |
11 | http://blog.naver.com/italy311/70032130647 | 미소장 |
12 | http://blog.naver.com/hyouk233/46466976 | 미소장 |
13 | 강만철, 「근대 목포의 교육」, 목포백년회, 목포개항백년사 , 1997 | 미소장 |
14 | 고석규, 「거듭나는 현대도시 목포의 반세기」, 목포개항백년사 , 목포백년회, 1997 | 미소장 |
15 |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대중문화를 통해 본 식민지 근대성」, 지방사와 지방문화 }9권 1호 | 미소장 |
16 | 고석규, 「1930년대 목포의 쌍곡선」, 목포개항백년사 , 목포백년회, 1997 | 미소장 |
17 | 고석규,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 ,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미소장 |
18 | 김정섭, 「목포의 역사와 문화」, 목포의 근대건축 , 목포문화원, 2002 | 미소장 |
19 | 김지민, 실측조사 , 목포의 근대건축 , 목포문화원목포: 목포문화원, 2002 | 미소장 |
20 | 김지민, 「목포시의 근대건축」, 목포시의 문화유적 , 국립목포대학교 박물관 | 미소장 |
21 | 나승만, 「목포지역 기층민의 이주담에 담긴 의식」, 남도민속학의 진전 , 서울: 태학사 | 미소장 |
22 | 박이준, 「목포 개항장 상인층의 존재양태와 그 성격」, 동아시아 도시의 역사와 문화 , 역사문화학회·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 2005. 11. 25 | 미소장 |
23 | 박종철, 「목포의 시가지 변천과 도시계획」, 목포의 근대건축 , 목포문화원, 2002 | 미소장 |
24 | 박찬승, 「목포 개항의 경위」, 목포개항백년사 , 목포백년회, 1997 | 미소장 |
25 | 배종무, 「개항사」, 목포시사 , 목포: 목포시 | 미소장 |
26 | 이슬람 전통도시공간의 사회문화적해석 : 모로코페스의 사례 | 소장 |
27 | 이규목, 한국의 도시경관 , 서울 : 열화당 | 미소장 |
28 | 이병희, 「근대 목포의 종교」, 목포개항백년사 , 1997 | 미소장 |
29 | 조명래, 현대사회의 도시론 ,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2 | 미소장 |
30 | C. Feld & H. H. Baso, “Introduction”, Feld, S. & H. H. Basso (eds.), Senses of Place (Santa Fe : SAR Press, 1996) | 미소장 |
31 | C. Geerz, “Afterward”, Feld, S. & H. H. Basso (eds.), Senses of Place, (Santa Fe : SAR Press,1996) | 미소장 |
32 | E. Soja, “The Spatiality of Social Life,” Gregory, D. & J. Urry (eds.),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NY; Macmillan Press, 1985) | 미소장 |
33 | J. Bennett, Northern Plainsmen (Chicago : Aldine, 1969) | 미소장 |
34 | Yi-Fu Tuan, Space and Place (Minneapolis : Univ. of Minnesota Press, 197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