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RTK-GPS 측량의 경우, 정확성과 효율성이 입증되고 있기는 하나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위성 수신장애로 인한 정확도의 저하, 실무 적용을 위한 세부지침의 불비 등의 여러 문제로 인하여 기초측량과는 달리 지적세부측량에서는 GPS 측량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실무에서 RTK-GPS 측량 적용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실용화를 위한 세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실용화 방안으로서 규정 제정 방안, 실질적인 RTK-GPS 측량의 적용을 기존 세부측량 방법 등과의 연계활용 방안, 기준국 배점밀도 향상을 위한 가상기준점 방식의 도입, 정확도와 성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GPS, GLONASS, Galileo 위성의 통합 활용을 제시하였다.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RTK-GPS is proved through its measurement, but it is not used in cadastral detail surveying, due to low accuracy caused by the trouble of satellite reception in a built-up area and lack of detailed guidelines for practical application. Thus, this study tries to offer detailed directions for the practical use of RTK-GPS by analyzing the application problem of RTK-GPS measurement. As results of the study, for the practical use of RTK-GPS it suggests enactment of regulations, connection of practical RTK-GPS measurement with the existing detail surveying methods, introduction of a VRS method for increasing the arrangement density of reference stations, and integrated use of GPS, GLONASS and Galileo satellites for securing accuracy and stabil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 분석 조은래 ;김경환 ;유환희 pp.3-11

공간정보를 이용한 광안리 해안선 변화에 관한 연구 최철웅 ;오치영 ;이창헌 pp.13-19

지형공간정보 생성을 위한 KOPMSAT[실은 KOMPSAT]-2 영상의 활용성 분석 이현직 ;유지호 ;고영창 pp.21-35
VRS GPS을 이용한 필계점의 정확도 평가 장상규 ;김진수 ;정공운 pp.37-42

영상 및 점기반 자료처리에 의한 항공 라이다 자료의 건물경계추출 김의명 pp.43-52

GIS application for site planning Han, Seung Hee ;Lee, Jin Duk pp.53-59

고해상도 위성영상 모자이킹을 위한 경계선 기반의 접합선 자동 추출 진경혁 ;송영선 pp.61-69

상시관측소 자료를 이용한 GPS/INS 항공삼각측량 윤종성 ;김병국 ;이창노 pp.71-78

ISO TC 211 Land Administration Domain Model(LADM)의 한국토지정보 시스템 적용 방안 연구 김상민 ;허 준 ;이용호 ;김성훈 ;김성삼 pp.79-87

지적세부측량에 있어서 RTK-GPS의 실용화 방안 이우화 ;홍성언 ;오이균 pp.89-95

지적도근점과 연계활용을 위한 도시기준점의 위치정확도 분석 홍성언 pp.97-104

어안렌즈 카메라를 이용한 터널 모자이크 영상 제작 김기홍 ;송영선 ;김백석 pp.105-111

위치추적용 능동형 RFID 기능을 장착한 수질 측정 센서의 제작 및 검증 정용섭 ;장 훈 ;김진영 ;강준희 pp.113-120

시멘틱 공유를 위한 MDA기반 지하공간정보 온톨로지 모델 개발 이상훈 ;장병욱 pp.121-129

SAR 영상을 이용한 선박탐지에 관한 연구 권승준 ;신성웅 pp.131-139

공간자기상관기법을 이용한 근린상권의 공간특성분석 정대영 ;손영기 pp.141-147

국토해양부 GPS 상시 관측소를 활용한 한반도 전리층의 총전자수 추정 김경희 ;박관동 pp.149-155

실내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공간데이터베이스 활용기법 조용주 ;김혜영 ;전철민 pp.157-166

Open Source GIS를 이용한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정명훈 ;서용철 pp.167-174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태석, 2000, 지적측량학, 서울:형설출판사, p. 529. 미소장
2 국토해양부 보도자료, 2008, 국토지리원정보원 측지과(2008.4.21). 미소장
3 RTK-GPS와 항공정사사진에 의한 도해지적측량방법 개선 연구 소장
4 김천영, 1999, “지적측량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GPS와 TS 측위의 조합해석”,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미소장
5 김태훈, 2000, “T/S와 휴대용 컴퓨터시스템을 활용한 지적측량 개선방안”, 2000년 지적세미나, 대한지적공사, p. 141. 미소장
6 노태호, 장호식, 이종출, 2002, “RTK GPS/GLONASS 조합에 의한 도로의 평면선형 정확도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0권, 제2호, pp. 29-37. 미소장
7 대한지적공사, 2006, “모바일 지적측량 기술 개발”. 미소장
8 대한지적공사, 행정자치부, 2000, “지적재조사 기반기술 확보를 위한 GPS 측량기법의 실용화 연구”. 미소장
9 대한측량협회, 2004, 신․GPS측량의 기초, p. 8. 미소장
10 박운용, 김진수, 김용보, 백기석, 2003, “RTK-GPS와 RTK-GPS/GLONASS에 의한 도근점 측위의 정확도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1권, 제1호, pp. 61-69. 미소장
11 Some Solutions of the GPS/TS Positioning in Cadastral Surveying 소장
12 이상근, 2004, “EU의 갈릴레오 프로젝트”, 기술뉴스브리프, 한국과학기술정보원, pp. 1-2. 미소장
13 이재혁, 2005, “전자평판에 의한 지적측량 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pp. 8-16. 미소장
14 정한용, 2006, “RTK-GPS와 전자평판을 이용한 지적측량 방법”,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p. 9. 미소장
15 Study on the linked surveying method with GPS amd TS 소장
16 중앙일보, 2006, ‘갈릴레오’ 뜨면 위치 찾기 정확도 2배로 높아져, 2006.2.3. 미소장
17 최원준, 2004, “GPS 현대화 계획과 네트워크 RTK에 관한 소고”, 지적, 대한지적공사, 제34권, 제4호, pp. 82-98. 미소장
18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GPS Virtual Reference System in South Korea 소장
19 최한영, 1999, “GPS를 이용한 일필지 좌표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미소장
20 최한영, 2004, “지적불부합지정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지적측량기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p. 45. 미소장
21 홍성언, 2005, “지적재조사를 위한 GIS 기반의 지적불부합지 자동 조사 방법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p. 1. 미소장
22 The Accuracy Analysis of Parcel Surveying by RTK-GPS and RTK-GPS/ GLONASS 네이버 미소장
23 Beutler, G., Schaer, S. and Rothacher, M. 1999, Wide Area Differential GPS, Study in the Context of AGNES, Printing Office, University of Bern, September 17. 미소장
24 Lan, H. 1996, “Development of a Real-Time Kinematic GPS System : Design, Performance and Result”, Dpt. of Geomatics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Calgary, Canada, pp. 14-17. 미소장
25 Jäggi, A., Beutler, G. and Hugentobler, U. 2002, Using Double Difference Information from Network Solutions to Generate Observations for a Virtual GPS Reference Receiver, in Vistas for Geodesy in the New Millennium, edited by J. Adam and K.P. Schwarz, Springer, pp. 59-6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