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국 전래 동화에 표현된 성차별 언어 / 박은하 1

논문요약 1

I. 머리말 2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3

1. 이론적 배경 3

2. 연구 방법 7

III. 한국 전래 동화에 표현된 성차별 언어 10

1. 직업과 관련하여 차별적으로 묘사하기 10

2. 여성의 외모를 강조해서 묘사하기 11

3. 남녀의 인성과 행동특징을 차별적으로 묘사하기 12

4. 여성을 비하하여 부정적으로 묘사하기 16

5. 남녀 주인공을 통하여 주제를 차별적으로 나타내기 18

IV. 맺음말 19

참고 문헌 21

Abstract 23

초록보기

본 연구는 성역할과 성차별 개념을 형성하는 나이대인 4-7세 유아들 대상의 한국 전래 동화를 선정하여 동화 속에 성차별 언어가 있는지, 그리고 있다면 성차별 언어가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터넷 서점 세 곳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한국 전래 동화와 두 단체에 의해 추천된 한국 전래 동화 중 공통되는 동화 8권을 선정해서 성차별 언어가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성차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노력으로 많은 성차별 언어가 줄어들었으나 아직 동화 속에 성차별 언어가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자는 직업 중심으로 묘사하는 반면 여자는 외모를 강조해서 묘사하였고 남자와 여자의 성격과 행동은 차별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자는 부정적 혹은 비하적으로 표현되고 동화 속의 주인공은 대개 남자였으며 그 남자 주인공을 통해 용기, 지혜 등의 주제를 나타내고 있었다. 동화 작가들, 유아 교육 기관의 교사들 그리고 부모들은 전래 동화의 중요성과 성차별 언어의 문제점을 인식해서 유아들이 양성성이 잘 표현된 동화를 접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영관. 2003. “전래 동화에서의 성역할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박은하. 2008.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성차이어와 성차별”.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박은하. 2009. 광고 속의 성차별 . 서울: 소통. 미소장
4 손동인. 1984. 한국 전래 동화 연구 . 서울: 정음문화사. 미소장
5 성구진. 1995. “반편견 그림동화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 신연식. 1980. 보육학 . 서울: 형설출판사. 미소장
7 심은경. 1987. “아동용 도서에 나타난 성차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윤경우. 2004. “중국 가족 문화의 전통성과 현대성” 중국 가족 문화의 전통성과 현대성 . 서울: 이학사. 미소장
9 이선희. 1985. “한국 전래 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인물들의 성별 특성에 관한 분석”. 계명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이선희. 1995. “Walt Disney's American Classic 동화에 나타난 성역할 연구”. 계명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이윤경. 1981. “유아 그림 동화책에 나타난 성역할의 분석 연구”. 이화여대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이재연. 1985. “한국 전래 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남녀 주인공상 비교 연구”.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한국어 사전에 나타난 성차별 언어 연구 소장
14 이현. 1995. “전래 동화에 나타난 부모의 양육태도 및 등장인물의 성역할 표현 분석”.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정계숙. 1984. “성역할 정체감과 성특성 전형에 대한 지식”. 사회조사연구 3(1), 119-137. 미소장
16 정방숙. 1985. “한국 전래 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남녀 주인공상 비교 연구”.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정해숙․양애경․김홍숙. 199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성 역할 교수․학습과정 분석 .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미소장
18 조정란. 2000. “유아용 그림동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조한숙. 2002. “유아용 그림동화에 나타난 성역할 분석”. 가톨릭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홍명주. 2008. “한국 전래 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성역할 관념 분석”. 영남대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발달과 이야기 유형의 효과 소장
22 Derman-Sparks, L. & A. B. 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EYC. 미소장
23 Shepherd-Look, D. E. 1982. "Sex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sex role". Handbook of development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미소장
24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미소장
2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www.korean.go.kr 미소장
26 알라딘 http://www.aladdin.co.kr 미소장
27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미소장
28 인터파크 http://www.interpark.com 미소장
29 어린이도서연구회 http://www.childbook.org 미소장
30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http://edu.hanuribook.or.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