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99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관심이 약화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이 통일교와 어떠한 관계를 가졌으며,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그런데, 통일교는 분명히 신종교이지만 그 규모나 활동의 영역이 기성 종교보다 더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현재 창교자가 직접 모든 업무를 지시하고 교육하는 교회이기 때문에 그 한계를 규명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통일교가 지향하는 유사한 내용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첫째,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수용, 둘째, 통일교 원리강론의 환경친화적인 내용, 셋째, 통일교는 심정문화의 종교로서 기존 종교의 틀을 뛰어 넘는 종교의 모습을 갖고 있는 다양성이 있는 종교라는 점, 넷째, 통일교는 문화, 예술, 체육 등을 강조하는 심미적 교회의 모습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 끝으로 통일교에서 실시하는 축복의식은 인종과 종족의 벽을 뛰어 넘는 결혼의식으로 지구촌 가족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은 포스트모더니즘과 동류의식을 느낄 수 있는 내용이다.
다음으로, 최근 통일교의 변화를 크게 나누어 교단의 섭리 목표와 교회의식의 변화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교단의 섭리 목표의 변화는 1990년대 이후 성약시대의 선포, 통일교에서 가정연합시대로의 변화 그리고 천일국 시대의 선포 등을 설명하고 있으며, 교회의식의 변화는 최근 축복의식의 대중화, 기도 말미의 변화 그리고 통일교 예배가 훈독회와 훈독가정교회 예배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시대적인 조류에 대한 영향도 있지만 창교자의 섭리적 안목과 천운에 따른 것이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포스트모던 사회와 천도교 | 윤석산 | pp.1-23 |
|
|
포스트모던 사회와 대순진리회 :다원성의 구현을 중심으로 | 박마리아 | pp.25-53 |
|
|
포스트모던 사회와 원불교 :원불교 정신개벽론의 의미와 그 실천 | 김도공 | pp.55-81 |
|
|
포스트모던 사회와 통일교 :최근 통일교 변화를 중심으로 | 양편승 | pp.83-109 |
|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안시일(安侍日) 연구 | 문선영 | pp.111-131 |
|
|
대순진리회 치성의례의 종교적 특질에 관한 연구 | 이경원 | pp.133-162 |
|
|
한국근대불교사상의 세 가지 유형 :근대적 종교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종교활동이라는 관점에서 | 이병욱 | pp.163-194 |
|
|
유교와 무교의 악론(樂論) :신종교의 악론을 위한 시론 | 이석주 | pp.195-229 |
|
|
수운교 우주관의 이해 :주역과 불교우주관을 중심으로 | 이찬구 | pp.231-261 |
|
|
『하락요람』에 보이는 『삼역대경』의 영향 | 최중현 | pp.263-291 |
|
|
일본 신종교 연구의 전개와 금후의 과제 | 이노우에 노부타카 | pp.295-305 | ||
한국 신종교의 발생과정과 현황 | 李璟雨 | pp.307-317 | ||
현대중국사회 민간신앙에 대한 고찰 | 金 勳 | pp.319-331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용수외『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교육 ,서울:장신대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 미소장 |
2 | 길희성『포스트모던사회와 열린 종교』,서울:믿음사, 1994. | 미소장 |
3 | 김기복,『훈독가정교회이야기』,서울:성화출판사,2004. | 미소장 |
4 | 김영한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한국기독교연구논총』14, 1996. | 미소장 |
5 | 도정일 “포스트모더니즘이란무엇인가“,『월간말』197, 1990. | 미소장 |
6 | 정치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 소장 |
7 | 문선명선생말씀편찬위원회,『문선명선생말씀선집』제92권, 제260권, 제328권, 서울:성화출판사, 2000. | 미소장 |
8 | 불교와 포스트모더니즘 | 소장 |
9 | 현대 정보화사회에서의 종교와 폭력 : 오옴진리교와 ‘가상의 현실화’ | 소장 |
10 |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원리강론』,서울:성화사.1996. | 미소장 |
11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주요의식과선포식』,서울:성화출판사, 2000. | 미소장 |
12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참가정과세계평화』,서울:성화출판사, 2000. | 미소장 |
13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참가정과세계평화』,서울:성화출판사, 2000. | 미소장 |
14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참가정과가정맹세』,서울:성화출판사, 2001. | 미소장 |
15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천지부모통일안착선포』2002. | 미소장 |
16 | 심상욱,『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개정증보, 전북:전주대출판부, 2001 | 미소장 |
17 | 양편승,『통일교사연구』, 서울:선문대출판부, 2008. | 미소장 |
18 | 윌리엄,슈바이처,문시영,옮김,『포스트모던시대의기독교윤리』서울:살림출판사, 2003. | 미소장 |
19 | 오택룡, “탕감복귀섭리의 완성을 위한 섭리의 진전과 그 책임에 관한연구,”『사보』, 170호, 서울:성화출판사,2003. | 미소장 |
20 | 오택룡,“,세계평화가정연합 창설대회의 섭리적 의의”,『사보』,제151호, 서울:성화출판사,,1997. | 미소장 |
21 | 이재석,『종교연합운동사』,서울:선학사,,2004. | 미소장 |
22 | 문학과 종교 | 소장 |
23 | 이형기,『세계기독교사』,서울:한국장로회출판사,,2000. | 미소장 |
24 | 전명수“,포스트모던사회의종교문화에관한성찰,“『신종교연구』,15집.서울:신종교학회, 2008. | 미소장 |
25 | 조성대,『현대사상의 이해』,서울:상명대출판부,,1990. | 미소장 |
26 | 초종교초국가평화의회,『평화유엔시대를 여는 지도자세미나 교제』,2004. | 미소장 |
27 | 최병환,『철학의 제문제와 통일사상』충남:선문대출판부, 2005. | 미소장 |
28 | Cultural Studies in Postmodern American Sociology ![]() |
미소장 |
29 | 통일사상연구원,『통일사상요강』,서울:성화사, 1993. | 미소장 |
30 | A, Neass, "The Shallow Ecology and the Deep long-Range Ecology Movement : A Summary", Inguiry16, 1973. | 미소장 |
31 | Bauman Zygmunt, Postmodern Religion?, Religio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Ed. paul Heelas. Oxford : Blackwell, 1998. | 미소장 |
32 | Suteliffe, S. Children of the New Age : A History of Spiritual practice, London : Routledge, 2003. | 미소장 |
33 | Tillich, Paul, Theology of Cultur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 미소장 |
34 | Webster, F, Theories of the Information Society, London&NewYork : Routledge, 199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