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주민참여와 성과에 대한 주민과 공무원의 인식 연구 :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례를 중심으로 / 朴順愛 ; 尹順眞 ; 李熙善 1

[요약] 1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II. 이론적 배경 및 주민참여에 관한 선행연구 2

1. 주민참여 2

2. 재난관리와 주민참여 5

3. 주민참여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 6

III. 연구가설 및 설문조사방법 8

IV. 공무원과 주민의 인식차이 10

1. 의견제시의 용이성 10

2. 의견제시와 의견의 반영 12

3. 주민, 시민단체, 정부와의 관계 13

4. 주민참여와 성과 16

V. 결론 18

참고문헌 20

[저자소개] 21

초록보기

Public participation has been increasing in public administration process. I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disaster, especially,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is expected to support limited government's ability.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attitudes toward residents' participation influence the participation performance.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on December 7, 2007,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to compare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government officials. Sixty-thre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7 peoples were responded including 18 government official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responded that it is not easy to express their opinions in the recovery process; while local officials think that there are no difficulties for participants to present their opinions. Second, residents and government officials show different perceptions regarding government relationships with local residents. However,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residents share the same idea that the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has resulted in better performance by providing local specific information and oil cleanup method. Third, respondents of two groups are all recognize that the participation of NGOs is not helpful to increase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amage as well as to complete compensation process quickly, in spite of their efforts. Overall,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wo groups' perception on residents' particip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번웅․오영석.(2004). 「환경행정학」, 서울: 대영문화사 미소장
2 김석준 외.(2002). 「거버넌스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미소장
3 Policy Networks Approach of Disaster Relief Welfare 소장
4 김성제.(2005). 「정책혁신과 정책네트워크-신제도론적 관점」.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5 Comparative Study on Disaster Response Systems of Local Government With Reference to Network Approach 소장
6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asks for the citizen participation of local policy on the age of autonomy's popular election 네이버 미소장
7 박동균.(2008). “재난관리에 대한 지방공무원들의 인식분석과 함의”.「행정논집」, 20(1), 289-312 미소장
8 재난관리 행정에 대한 네트워크적 분석 소장
9 정부관료제의 시민참여 수용성 : 한국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소장
10 Multi-dimensionality of Risk Perceptions and Risk Conflicts-Implications of Social Scientific Understandings of the Public Risk Perceptions for Risk Communication 소장
11 성기환.(2006). 「재난관리와 파트너십」. 한국학술정보 미소장
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NGOs : Focused on Civil Servants' Perception 소장
13 윤순진.(2005a). 「지식정보시대에 적합한 환경관리의 개념과 체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시리즈 미소장
14 공공참여적 에너지 거버넌스의 모색: 전력정책에 대한 시민합의회의 사례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네이버 미소장
15 환경갈등의 예방 · 완화 · 해소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 네이버 미소장
16 중앙정부 정책과정과 시민참여 소장
17 이승종.(2005). 「지방자치론」 제2판. 서울: 박영사 미소장
18 Enhancing the Disaster Management Effectiveness 소장
19 시민참여 유형분류를 통한 참여 성과 분석 소장
20 조석주·강인성.(2006).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수준 진단과 발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미소장
21 태안군청.(2008). 「종합상황보고서」 5월 1일자 미소장
22 해양오염방지법.(2007). 「일부개정 2007.5.17」 미소장
23 Constituting ‘the public’ in public participation 네이버 미소장
24 Building Social Capital: Civic Attitudes and Behavior of Public Servants 네이버 미소장
25 The New Public Service: Serving Rather than Steering 네이버 미소장
26 Are You Being Served? The Responsiveness of Public Administration to Citizens’ Demands: An Empirical Examination in Israel 네이버 미소장
27 A Perspective on Public Involvement in Water Management Decision Making 네이버 미소장
28 The Question of Participation: Toward Authentic Public Participa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네이버 미소장
29 Administrators and Citizens: Measuring Agency Officials' Efforts to Foster and Use Public Input in Forest Policy 네이버 미소장
30 Citizen Participation and Citizen Evaluation in Disaster Recovery 네이버 미소장
31 Participation, Perception of Participation, and Citizen Support 네이버 미소장
32 International Social Work 네이버 미소장
33 Community organizing for post-disaster social development: locating social work 네이버 미소장
34 Ripley, Randall B. & Franklin.(1986). Policy Implementation and Bureaucracy, 2nd ed., Cicago: The Dorsey Press 미소장
35 Public Sector Management and the Democratic Ethos: A 5-Year Study of Key Relationships in Israel 네이버 미소장
36 국민일보. http://www.kukminilbo.co.kr. 2008년 1월 16일, 2008년 6월 23일, 2008년 7월 24일자 미소장
37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 2008년 1월 16일자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