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구인회와 카프, 1 : 선행 연구 검토 / 현순영 1

1. 서론 1

2. 선행 연구의 내용 3

3. 선행 연구 비판 6

3.1. 구인회의 변동에 대한 시각 결여 6

3.2. 카프의 상황에 대한 시각 결여 9

3.3. 자료의 오독 11

4. 결론 21

【참고문헌】 23

【Abstracts】 2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현대시와 정신주의 최동호 pp.7-23

보기
해방기 소설의 정신사적 의미 :願望空間의 상실을 중심으로 전흥남 pp.25-51

보기
1960년대 참여문학 비평의 전위성: 저항과 부정의 글쓰기 :임중빈의 비평을 중심으로 고명철 pp.53-75

보기
「만무방」의 서술 구조 연구 김경애 pp.77-98

보기
현대소설의 제주설화 수용 양상 연구 :자청비설화의 수용을 중심으로 김동윤 pp.99-128

보기
김춘수의 무의미시 <하늘수박>과 <금강경> 김두한 pp.129-146

보기
소설과 기억의 정치학 :<불멸의 역사 총서> 『영생』에 대하여 김한식 pp.147-167

보기
탈식민적 정체성 서사로서의 『태풍』 다시 읽기 류동규 pp.169-191

보기
양백화의 비평담론 연구 :중국신문화운동론의 수용과 관련하여 민병욱 pp.193-216

보기
식민지시대의 한국 신화의 위상 심상욱 pp.217-234

보기
김조규 기행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여성들의 변모양상 고찰 :『김조규시선집』1939년에서 1944년을 중심으로 윤향기 ;이경영 pp.235-256

보기
자본의 제국, 기업사회 속 소설의 윤리 이정석 pp.257-278

보기
에 나타난 여성 주체의 문제"> "여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하이에서 온 여인>에 나타난 여성 주체의 문제 조은선 pp.279-295

보기
해방기 김기림의 정치의식 최명표 pp.297-317

보기
구인회와 카프 ,1 :선행 연구 검토 현순영 pp.319-343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백철, 「사악한 예원(藝苑)의 분위기 (상 ․ 중 ․ 하)」, 『동아일보』, 1933. 9. 29 - 10. 1. 미소장
2 홍효민, 「1934년과 조선문단 - 간단한 회고와 전망을 겸하여 (1-4)」, 『동아일보』, 1934. 1. 1 ∙ 4 · 5 · 10. 미소장
3 권환, 「33년 문예평단의 회고와 신년의 전망 (1-4)」, 『조선중앙일보』, 1934. 1. 1 - 4. 미소장
4 임화, 「1933년의 조선문학의 제경향과 전망 (1-8)」, 『조선일보』, 1934. 1. 1 ∙ 2 ∙ 3 ∙ 5 ∙ 7 ∙ 10 ∙ 13 ∙ 14. 미소장
5 홍효민, 「조선문단 및 조선문학의 진전 - 신년에의 전망을 겸하여」, 『신동아』, 1935. 1. 미소장
6 박승극, 「조선문단의 회고와 비판 - 작금의 정황을 주로 하여」, 『신인문학』, 1935. 3. 미소장
7 박승극, 「조선문학의 재건설 - 상반기 창작 급 평론의 비판과 일반 문학 문제에 관한 토구」, 『신동아』, 1935. 6. 미소장
8 김두용, 「구인회에 대한 비판 (1-4)」, 『동아일보』, 1935. 7. 28 ․ 30 ․ 31 ․ 8. 1. 미소장
9 한효, 「문학비평의 신임무 - 새로운 방법론적 견지와 비평가적 태도에 관하여 (1-4)」, 『조선중앙일보』, 1935. 8. 13 - 16. 미소장
10 박승극, 「문예시론 (1-6)」, 『조선중앙일보』, 1935. 11. 2 ․ 3 ․ 5 ․ 6 ․ 7 ․ 8. 미소장
11 김두용, 「조선문학의 평론 확립의 문제」, 『신동아』, 1936. 4. 미소장
12 박승극, 「문예와 정치 - 정치의 우월성 문제 (상 ∙ 중 ∙ 하)」, 『동아일보』, 1934. 6. 5 ∙ 8 ∙ 9. 미소장
13 신고송, 「문예시감 (3 ∙ 4)」, 『조선중앙일보』, 1935. 11. 16 ∙ 17. 미소장
14 S·K생,「최근 조선 문단의 동향」,『신동아』, 1934. 9. 미소장
15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76. 미소장
16 김영민, 『한국문학비평논쟁사』, 한길사, 1992. 미소장
17 권영민, 『한국계급문학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미소장
18 김시태, 「구인회 연구」,『제주대학교 논문집 (인문·사회과학 편)』 제7집, 제주대학교, 1975. 미소장
19 구자황, 「‘구인회’와 주변 단체」, 상허문학회 편, 『근대문학과 구인회』, 깊은샘, 1996. 미소장
20 이중재, 『구인회 소설의 문학사적 연구』, 국학자료원, 1998. 미소장
21 김민정, 「1930년대 문학적 장의 형성과 구인회」,『한국 근대 문학의 유인과 미적 주체의 좌표』, 소명출판, 2004. 미소장
22 회고담을 통한 구인회 창립 과정 연구 : 구인회의 성격 구축 과정 연구,1 소장
23 The Activities and the Building process of Guinhoe 소장
24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규원 옮김, 『천황과 도쿄대 - 현대 일본을 형성한 두 개의 중심축』2, 청어람미디어, 2008. 미소장
25 윌리엄 카 지음, 이민호 ∙ 강철구 옮김, 『독일근대사』, 탐구당, 199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