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소년원법 개정과 소년보호정책의 방향 / 윤옥경 1

《목차》 1

I. 서론 2

II. 국내외 소년보호 정책의 변화 3

1. 소년사법의 세계적 흐름 3

2. 국내 소년보호 환경의 변화 7

III. 소년보호정책의 변화: 소년원법 개정안에 대한 검토 19

1) 법의 목적이 분명해야 한다: 제명변경에 부합하는 목적의 보완이 필요하다. 20

2) 보호소년 등에 대한 인권보호 강화: 실질적인 보호소년 인권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요 21

IV. 소년보호정책의 과제와 방향 24

1) "개방"의 의미확대: Parellel universe 개념의 도입 25

2) 성공적인 re-entry를 위한 정책모색: RPI(Re-entry Partnership Initiative) 26

3) 성 인지적(gender-specific) 프로그램의 개발: 여자비행청소년에 대한 처우 28

4) 교정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 인문학 교육,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29

5) 1개월 소년원 송치에 대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인력 양성 32

6) 비행예방센터의 역할 33

V. 결론 34

참고문헌 37

Abstract 40

초록보기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have caused the recent changes in juvenile justice policy in Korea both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First, it is worth noting that there are three issues surrounding the juvenile justice from a global standpoint: 1) the emergence and application of the restorative justice programs in the field of juvenile justice, 2) Research results of the early onset of delinquency and concomitant needs of early intervention, 3) the focus on re-entry in the crime prevention discussions. At the same time our society has witnessed a decline of youth population who is the target group for the juvenile justice policy and a recent decline of the number of delinquents is attributed to the this population trend. On the other hand, as our society is getting toward more human rights and welfare-oriented, the human rights and legal rights of the youth are in open discussion and the debate reaches to the treatment for the young offenders. These global and domestic and changes drive practitioners and scholars to the revision of the juvenile justice act and the law of juvenile detention center. Still there are a lot of problems and tasks that need to be solved. Thus this article suggests some policy recommendat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년원법 개정과 소년보호정책의 방향 윤옥경 pp.3-42

보기
소년원법 개정 요강 한영선 pp.43-68

보기
소년법의 회고와 전망 최병문 pp.69-116

보기
소년원 퇴원자의 사회복귀프로그램 효율성 제고 김지선 pp.117-168

보기
소년보호행정의 발전방향 이태호 pp.169-186

보기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 학교학습동기와 학교적응 및 성적의 관계 김영희 ;강혜원 pp.187-216

보기
검사선의주의에 관한 검토 이승현 pp.217-268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