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글 음절표 의미와 교육용 유형 설정 / 김슬옹 1
Abstract 1
1. 머리말 2
2. 한글 문자 음절표의 의미 7
2.1. 한글 음절표의 주요 의미 7
2.2. 전통 기본 음절표의 구조적 의미 10
3. 한글 음절표의 다양한 유형 설정 13
3.1. 전통 방식(최세진식) 기본 음절표 14
3.2. 해례본(훈민정음) 방식(세종식) 음절표 18
3.3. 특정 모음 집중 방식 음절표 21
3.4. 모음 우선 방식(유만근식) 음절표 23
3.5. 종합 음절 생성 방식(공병우식) 음절표 26
4. 마무리 33
참고문헌 34
The Korean syllable table symbolized by “가갸거겨고교그기(gagyageogyeogogyogeugi)" is an important text in that it very clear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and usefulness of Korean letters. Even though this Korean syllable table can be produced in many forms due to the scientific and multiple nature of Korean, it is unfortunate that currently, the syllable table is used only in one to two of its forms. Even so, there is a problem of only the traditional "아야어여(ayaeoyeo)" style Korean syllable table being used too much.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various syllable tables were composed and their significances were highligh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 total of 15 methods were proposed in this paper and they are presented in the syllabic tables as follows:
1) Traditional basic method(Choisejin method), types I and 2
2) Haeryeobon(Sejong method) method, types 3, 4, 5, and 6
3) Particular vowel method, types 7, 8, 9
4) Vowel first method(Ryumangeun), types 10, 11
5) Total syllable method(Gongbyeongu method), types 12, 13, 14, 15
The above Hangeul syllabic tables proves that Korean alphabets are creative, scientific, graphic and rhythmical.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주어 지향적 양태'와 관련한 몇 문제 | 박재연 | pp.1-25 |
|
보기 |
인식양태와 증거성 | 송재목 | pp.27-53 |
|
보기 |
'-을'의 문법 범주 | 임동훈 | pp.55-81 |
|
보기 |
한국어 수행 향상을 위한 문화 교육 연구 :학부 유학생을 위한 교양 과목 개설 요구 조사 | 김서형 | pp.83-109 |
|
보기 |
한글 음절표 의미와 교육용 유형 설정 | 김슬옹 | pp.111-146 |
|
보기 |
대학에서 학문 활동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한 방안 :요약문 쓰기를 중심으로 | 나은미 | pp.147-175 |
|
보기 |
의존명사 구문의 양태적 고찰 | 시정곤 ;김건희 | pp.177-212 |
|
보기 |
프레젠테이션 평가 내용을 통한 교육 내용의 모색에 관한 고찰 :대학 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 유혜원 | pp.213-244 |
|
보기 |
개념적 은유 이론에 기반한 글쓰기 전략 교육에 대하여 | 이동혁 | pp.245-272 |
|
보기 |
한중 관용어 표현의 대조적 연구 | 이윤표 | pp.273-294 |
|
보기 |
영아의 시제·상 형태 습득에 관한 연구 | 이필영 ;전은진 ;안정호 | pp.295-326 |
|
보기 |
환유로 생성된 별명에 관한 연구 | 정종수 | pp.327-36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최세진. 1527. 「四聲通解」. 대제각 영인본. | 미소장 |
2 |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 |
미소장 |
3 | 김민수. 1973/1984:재판. 「國語政策論」. 탑출판사. | 미소장 |
4 | 本院 所藏 稀貴資料 解題 ![]() |
미소장 |
5 | 중세국어 자절 구조 연구 | 소장 |
6 | 김석득. 1983. 「우리말 연구사」. 서울:정음문화사. | 미소장 |
7 | 훈민정음의 음성과학적·생성적 보편성에 대하여 ![]() |
미소장 |
8 | 훈민정음과 한글 과학성에 대한 교육 전략 | 소장 |
9 | 언어 분석 방법론으로서의 담론화 구성 시론 | 소장 |
10 | 김슬옹. 2006. 「조선 시대 언문사용의 제도적 연구」. 서울:한국문화사. | 미소장 |
11 | The Multipul Discourse on the principle and property of Hunminjeongeum made by Sejong | 소장 |
12 | 김슬옹. 2008. “한글 음절표 다중 구성 전략과 그 의미.”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The 2nd IKL ‘Hangeul’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한국어학회. 242-270. | 미소장 |
13 | 한글 낱자에 관한 통시적 고찰 | 소장 |
14 | 송철의. 2008a. “반절표의 변천과 전통시대 한글교육.”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The 2nd IKL ‘Hangeul’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한국어학회, 프린트물. 송철의. 2008b. 홍종선 외. 세계 속의 한글. 박이정. 165-194. 재수록. | 미소장 |
15 | 송현. 2006. “한글 기계화의 아버지 공병우 박사 공병우식 10대 원리와 업적.” 「나라사랑」 12. 외솔회. 52-86. | 미소장 |
16 | 訓民正音 使用에 관한 歷史的 硏究 : 창제로부터 19세기까지 | 소장 |
17 | Teaching Korean Alphabets for Basic Level Learners of KFL -Focusing on "Integrated Textbooks"- | 소장 |
18 | 원광호. 1986. 「이것이 한글이다:한글우수성의 과학적 논증」. 서울: 삼중당. | 미소장 |
19 | 유만근. 1980. “새로운 ‘標準韓國語 基本 音節表’ 案.” 「어문연구」 28(겨울호). 일조각. | 미소장 |
20 | Whole Language Instructional Approach for Literacy Improvement | 소장 |
21 | On balanced approach to improve the beginning literacy | 소장 |
22 | 상업용 한글 교재 분석을 통한 입문기 문자교육 실태 연구 | 소장 |
23 | The Culture-contents Approach on Hunminjeongeum | 소장 |
24 | 한글 構造 에 따른 入門期文字指導 | 소장 |
25 | 국어의 「기본음절표」에 대하여 | 소장 |
26 | 한글 의 能率的 學習方法 , 基本音節表 에 의한 한글學習 7段階 에 따른 具體案 <特輯> | 소장 |
27 | 장덕진. 2007/2009:개정판. 「보물찾기 한글」 1-2. 동아기획. | 미소장 |
28 | 翕齋 李思質의 「訓音宗編」 考 | 소장 |
29 |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를 위한 과학 이론의 성립 | 소장 |
30 | 최영환. 2007. 「기적의 한글 학습」. 서울: 길벗스쿨. | 미소장 |
31 | 최현배. 1940/1982:고친판. 「한글갈」. 서울: 정음문화사. | 미소장 |
32 | 훈민정음 해례본 글꼴의 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기초 연구 | 소장 |
33 | 아동의 발생적 한글 습득 과정 고찰 : 4세아 지원이의 한글 해득을 중심으로 | 소장 |
34 | 한태동. 2003. 「세종대의 음성학」.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35 | 허재영. 2008.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모(낱자) 교육의 변화.” {제2회 한국어학회 국제학술대회(The 2nd IKL ‘Hangeul’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한국어학회. 703-712. | 미소장 |
36 | Sampson, Geoffrey. (1985). Writing System. London:Hutchison & Co. Ltd.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