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8대 국회 상임위원회 구성의 특징 / 가상준 1

|논문요약| 1

I. 서론 2

II. 상임위원회 구성에 대한 기존 연구 4

III. 상임위원회 구성의 특징 분석 6

1. 정치적 선호도 8

2. 선수 16

3. 정치적 선호도와 당선횟수 상호작용 22

IV. 함축적 의미 및 결론 24

참고문헌 27

ABSTRACT 29

초록보기

본 연구는 18대 국회 상임위원회 의원들의 정치적 선호도와 의정경험을 통해 상임위원회 구성의 특징을 분석하고 각 정당이 위원회 배정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18대 국회 각 상임위원회 의원들의 평균 당선횟수와 정치적 선호도가 다른 의원들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특히 이를 17대 국회와 비교해 봄으로써 상임위원회 배정에 있어 나타나는 일반적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대부분 위원회 의원들의 정치적 선호도와 당선횟수는 본회의와 소속 정당과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몇 위원회의 정치적 선호도와 당선횟수가 본회의 및 소속 정당과 다르게 나타났으나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18대 국회의 상임위원회 배정 결과를 설명함에 있어 정당이익이론과 정보확산이론이 이익분배이론보다 좀 더 타당성을 띠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적 선호도뿐만 아니라 선임우선주의를 중시하는 한국 정치문화 속에서 상임위원회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의정경험 또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당들은 주요 정치 현안 및 정당들이 처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상임위원회 배정에 차이점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임위원회 배정의 일반적 규칙성을 논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17대 국회와 18대 국회 전반기 상임위원회 배정을 통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축적된 경험적 결과들은 상임위원회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할 것이라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role of the committee and inspecting what

are important factors in assigning committees by examining preferences and

terms of committee members. For these, the study tests whether the mean of

political preference and legislative term in each committee is different from its

chamber and parties. In particular, the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results of

18th National Assembly with those of the 17th National Assembly. In performing

a mean test shows that there are the committees whose members are

composed of preference outliers. Likewise, results shows some committees are composed of members with high legislative experiences. However, the results are not different from the general expectation. The study shows that in general the preferences and terms of committee members represent their chambers and parties.

In explaining the results of Standing Committees’ assignment, partisan theory

and informational theory are more comprehensive than distributive theory. But,

in a Korean political situation where the seniority system plays a role legislative experiences are of importance in committees assignment. It is hard to draw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mmittee assignment from examining the 18th National Assembly and its comparison with 17th National Assembly. But if

these studies are carried out continuously, it is clear that the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udy on the assignment of Standing Committees.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aracteristics of the Standing Committee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within the Framework of Legislators Political Preference and Terms 소장
2 김민전. 1996.“14대 국회의원의 의사결정 구조: 상임위원회의 배정과 그 활동을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미소장
3 Articles : Motivations for Committee Preferences among Members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소장
4 제18대 국회 원구성과정의 특징 소장
5 유병곤. 2006.『 갈등과 타협의 정치: 민주화 이후 한국의회정치의 발전』. 서울: 도서출판 오름. 미소장
6 Uncovering the Hidden Effect of Party 네이버 미소장
7 Cox, Gary W., and Mathew D. McCubbins. 1993.Legislative Leviathan: Party Government in the Hous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8 Fenno, Richard F. 1973. Congress in Committees. Boston. Little Brown. 미소장
9 Organization of Informative Committees by a Rational Legislature 네이버 미소장
10 The Committee Assignment Process and the Conditional Nature of Committee Bias 네이버 미소장
11 Kiewiet, D. Roderick, and Mathew D. McCubbins. 1991. The Logic of Delegation: Congressional Parties and the Appropriations Proces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12 Are Congressional Committees Composed of Preference Outliers? 네이버 미소장
13 ______. 1991. Information and Legislative Organization.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미소장
14 The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Committee Power 네이버 미소장
15 The Industrial Organization of Congress; or, Why Legislatures, Like Firms, Are Not Organized as Market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