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이청준의 「소문의 벽」에 나타난 "대화 재현" 연구 : 진술을 억압하는 타인의 시선 / 신혜순 1
1. 머리말 1
2. 「소문의 벽」에 나타난 "대화 재현" 분석 5
2.1. 화자와 작중인물의 태도 5
2.2. 주인공 '박준'의 자기 진술 14
2.3. 정직한 진술의 자율성 21
3. 맺음말 24
〈참고 문헌〉 27
Abstract 28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인간 조건의 이미지로서의 공간 연구 :한무숙의 <축제와 운명의 장소>를 중심으로 | 김지혜 | pp.3-21 |
|
보기 |
고려 우왕대 신진사대부의 동향 | 김지희 | pp.23-63 |
|
보기 |
Language attitude towards foreign loan words | Kyung-Ryung Kim | pp.65-86 |
|
보기 |
Grotesque: representation of absolute truth in Winesburg, Ohio and Yellow | Park Woo Sik | pp.87-106 |
|
보기 |
정약용의 서간문 연구 | 신명래 | pp.107-130 |
|
보기 |
이청준의 「소문의 벽」에 나타난 "대화 재현" 연구 :진술을 억압하는 타인의 시선 | 신혜순 | pp.131-161 |
|
보기 |
고려전기 향리의 위상과 기능 | 이명선 | pp.163-208 |
|
보기 |
서사무가에 나타난 여성정체성 형성의 양상과 의미 :삼공본풀이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 | 이유경 | pp.209-231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청춘. <소문의 벽>, 열림원, 1998. | 미소장 |
2 | 이청준 특집. 작가세계 , 겨울호, 1992. | 미소장 |
3 | 권오룡 엮음. 이청준 깊이 읽기 , 문학과지성사, 1993. | 미소장 |
4 | 김경수. 소설・농담・사다리 , 역락출판사, 2001. | 미소장 |
5 | 김병로. 한국 현대소설의 다성담론 시학 , 국학자료원, 1999. | 미소장 |
6 | 김병익・김현 편. 우리시대의작가연구총서 이청준 , 은애, 1979. | 미소장 |
7 | 김치수. 박경리와 이청준 , 민음사, 1982. | 미소장 |
8 | 김화영. 소설이란 무엇인가 , 문학사상사, 1986. | 미소장 |
9 | 양선규. 한국현대소설의 무의식 , 국학자료원, 1998. | 미소장 |
10 | 유종호. 문학이란 무엇인가 , 민음사, 1989. | 미소장 |
11 | 이규정. 현대소설의 이론과 기법 , 박이정, 1998. | 미소장 |
12 | 이승준. 이청준 소설 연구-정신분석학 관점에서 , 한국학술정보, 2005. | 미소장 |
13 | 최시한. 현대소설의 이야기학 , 프레스21, 2000. | 미소장 |
14 | 한순미. 가의 언어-이청준 문학 연구 , 푸른사상, 2009. | 미소장 |
15 | 한용환. 소설학 사전 , 문예출판사, 1999. | 미소장 |
16 | 한용환. 소설의 이론 , 문학아카데미, 1992. | 미소장 |
17 | Gerald Prince. 최상규 역.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 예림기획, 1999. | 미소장 |
18 | Gerard Genette. 권택영 역. 서사담론 , 교보문고, 1992. | 미소장 |
19 | K. Clark & M. Holquist. 이득재・강수영 역. 미하일 바흐틴 전기 문학세계사, 1993. | 미소장 |
20 | Mieke Bal. 한용환・강덕화 역. 서사란 무엇인가 , 문예출판사, 1999. | 미소장 |
21 | Rimmon Kenan. 최상규 역. 소설의 현대 시학 , 예림기획, 1999. | 미소장 |
22 | Roland Bourneuf & Real Ouellet.김화영 역. 현대소설론 , 현대문학, 1996. | 미소장 |
23 | Seymour Chatman.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 민음사, 199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