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지식정보화 사회에 있어 네트워크의 발전은 트렌드의 흐름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도입함에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소비자의 선택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게 되었다. 디자이너 또한 논리적 근거가 약해짐으로 발생하게 되는 소모적 상황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업의 상황과는 다르게 시장에서는 소비자들의 냉정한 판단을 통해 형성되는 다양한 제품 트렌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소비자 선택에 기인한 제품의 성공과 실패는 논리적으로 입증되기 보다는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마치 여러 생물의 종들이 서로 경쟁하며 적자생존, 조직루틴, 돌연변이의 과정을 거치면서 진화해 나가는 모습과도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즉, 트렌드는 유동적인 소비자에 의하여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가는 진화의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의 새로운 방향이나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예측위주의 정량적인 트렌드분석을 활용하기 보다는 현재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흐름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되어지는 제품인자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곳에서 다음 세대 제품이나 서비스의 전략적 가치와 프로세스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현재와 같이 불확실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보다 시장 지향적이면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전략적 발판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트렌드 결정요소를 제품의 형질, 즉 인자로 규정하고 이러한 인자의 구조를 진화론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우성인자, 혁신인자 그리고 최적화 인자로 정의 내렸다. 또한 이러한 인자의 결성구조를 분석하여 경쟁력 있는 제품 컨셉의 형성구조와 지속가능한 전략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적인 틀을 제안하였다.

In the knowledge informatization society, the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makes it difficult to expect the direction the trend will flow to.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enterprises to expect the result of selection of the time to launch new products or services in the market and it is required to designers to improve the wasting situation caused by weak logical background. Differently from such situation of enterprises, various product trends formed by the consumers’ cool decisions exist in the market and the success and failure of such products chosen by the consumers are not logically proved but have the property to be decided by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consumers. This property is similar with the shape that many kinds of organisms evolve through the processes of survival of the fittest by mutual competition, organization routine, and mutation. That is, the trends may be explained as the process of evolution that is irregularly done by the dynamic consumers. If it is correct, it is required for the enterprises in establishing new directions or strategie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product factors, which are naturally formed by the flow of the consumers in the current market, and to seek for the strategic values and processes of the next generation products or services based on such factors, rather than using quantitative trend analyses focused on expectation of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economy. By doing so, the enterprises would be able to make the strategic ground for market-oriented and continuous competitiveness in the uncertain social flow like present time. In this study,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trends are defined as the nature, i.e. factors, of products and these factors are defined as dominant factors, innovational factors, and optimization factors at the viewpoint of evolution theory. The forming processes of competitive product concepts and sustainable strategies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forming processes of such factors and, based on this result, the strategic frames to continuously maintain and develop the competitiveness of the enterprises are suggest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소수민족 홍요(紅瑤)의 전통 문양을 활용한 티셔츠 디자인 종화림 ; 조진숙 pp.7-18

일본 패션디자이너들의 서구 패션계 진출 전략에 대한 연구 조정미 pp.19-28

중국내 중국기업과 외국기업광고의 가치표현 비교연구 정창준 pp.29-40

중국풍 에스닉 패션의 색채 특성 김지영 ; 김선아 pp.41-51

빛을 이용한 미디어 테크놀로지 아트의 조형언어에 관한 연구 : 라이트아트(Light Art)를 중심으로 김재원 pp.53-66

원격대학 e-Learning 콘텐츠의 색채 분석을 통한 색채 적용 기준 제시 이향아 ; 김지혜 ; 윤지현 ; 고봉희 ; 이성태 pp.67-76

조선산업의 디자인 전문인력 필요성에 관한 연구 정찬수 pp.77-86

현대 전통복식직물디자인에 미친 영상미디어의 영향 : 드라마, 영화 '황진이'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기창 pp.87-100

중국 근대만화의 역사적 고찰 윤기헌 ; 정양수 pp.101-108

시장 트렌드 분석을 통한 진화론적 제품 컨셉의 형성구조와 제품 전략에 관한 연구 천하봉 pp.109-120

부산시 남구 문화공간의 공공사인 기초조사. 1 정원준 pp.121-130

윌리엄 모리스 텍스타일 디자인에 나타나는 패턴 구조 분석 조배문 ; 김선미 pp.131-140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성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터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정혜경 pp.141-151

멸종위기 종복원사업을 위한 환경캐릭터 디자인연구 이현주 ; 박영순 ; 정의철 ; 이성식 ; 이지현 ; 주혜영 ; 김소연 ; 박영진 ; 홍자경 pp.153-162

사용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의 콘텐츠 표현 방법 염 정 pp.163-174

파생 사이트 디자인에서 다중 양식과 프레임 촉진의 관계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민수 ; 전희성 pp.175-183

영화 <갯마을>의 상징적 장소와 장소성 손은하 pp.185-194

디지털콘텐츠 저작권보호 도구로써의 디지털 워터마킹 성능 비교 김철기 pp.195-204

HTML 기반 웹 인터페이스와 RIA 기반 웹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비교 연구 김 미 ; 정혜경 ; 이승민 ; 이혜진 pp.205-214

웹디자인 서비스 아웃소싱 도입의 위험요인 연구 안진호 ; 김소연 pp.215-224

일본 초등학교 미술교과과정에 도입된 대화형 미술 감상법의 이론적 배경 및 실천 방법 고찰 이봉녀 pp.225-242

컨텍스트 인식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제안 : 어린 아이의 안전을 중심으로 나하나 pp.243-252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TV광고의 비주얼 아이덴티티 특성 이윤석 ; 안지성 pp.253-263

감성체험관의 인터렉티브 미디어를 활용한 디자인교육 주영숙 ; 김치용 pp.265-274

가상 전시 공간의 길찾기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기섭 ; 김태균 pp.275-284

인쇄광고의 헤드라인에 표현된 캘리그래피의 조형적 특성 연구 신서영 ; 김일석 pp.285-294

일본 공익광고의 메시지 소구방식 신인식 pp.295-304

공익광고의 색채분석에 관한 연구 김유진 pp.305-316

디자인 제품에 적용된 브랜드 콜래보레이션의 방향 정재윤 ; 한기창 pp.317-328

고령자를 위한 유니버설 측면에서의 제품 디자인 실태 연구 정선영 pp.329-340

참고문헌 (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서정해. (2006). 시장구조의 동태성(dynamism)과 그 시사점. 經營硏究. 제21권 제2호 통권50호 미소장
2 -서정희. (2006). 소비트렌드 예측의 이론과 방법. 내하출판사 미소장
3 -말콤 글래드웰. (2007). 티핑포인트. 21세기북스 미소장
4 -김경훈. (2005). 트렌드워칭. 한국트렌드연구소. 미소장
5 -차강희. (2007). 사용자 연출에 따른 모바일폰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미소장
6 -Mark Penn. (2007). Microtrends. 해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