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지역 물수지 평가를 위한 NGIS와 환경 관측 자료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구량천 유역을 사례로 / 박종철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1

2. 연구지역 개관 3

3. 연구방법 및 자료 4

1) 물수지 모델 4

2) 사용 자료 5

3) 연구결과의 검증 방법 7

4. 연구결과 7

1) 일조시간을 이용한 태양복사량 획득 7

2) 토양도의 활용 8

3) 토지이용도의 활용 9

4) 모델 교정 12

5) 검증 결과 및 연구유역의 물수지 15

5. 결론 16

사사 17

주 17

참고문헌 17

초록보기

물리결정 물수지 모델은 개념적 모델보다 더 나은 모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입력 자료 작성이 쉽지 않다. 본 연구는 기상 자료,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BROOK90의 매개변수 값을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의 효용성 및 타당성은 모의 하천유출량과 실측 하천유출량의 비교를 통해서 증명했다. 검증 기간(2001~2003) 동안의 두 값을 비교한 결과 일평균 모의오차, 모델 효율 계수, 결정계수가 각각 -0.517, 0.87 그리고 0.89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슈퍼사이트 외의 여러 유역에서 물리결정 물수지 모델을 이용하여 정교한 수문학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hysical based water balance model had better simulation results than conceptial mod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input data for the model. This study suggests some methods to obtain parameter values of BROOK90

from meteorological data, soil map, land-use map. Comparing measured and simulated discharge proved the methods to be valid. For validation model(2001~2003), comparing measured and simulated discharge a daily mean bias error, Nash-Sutcliffe’s model efficiency coefficient,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equal to -0.517, 0.87 and 0.89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the hydrological study using physical based hydrological model not only in super site but in other catchmen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본 칸사이 지방 타나카미 산지의 황폐지 복구 산림유역 내 황(黃)순환에 관한 연구 김수진 ;오테 노부히토 ;박종관 pp.429-446

보기
경북 영천시 고현천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조영동 ;이광률 pp.447-462

보기
전북 완주군 봉동 하안단구 상부 뢰스-고토양 연속층의 풍화특성과 기원지 황상일 ;박충선 ;윤순옥 pp.463-480

보기
미국의 해안관리 :New Jerseyization의 반성과 연방정부 연안역관리 프로그램의 확산 유근배 pp.481-496

보기
삼국사기를 통해 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윤순옥 ;황상일 pp.497-509

보기
촌락 지역의 사회적 공간성 변화 :경상남도 촌락의 인구 구조와 영역 자산 활용을 중심으로 심광택 pp.510-531

보기
서울시지역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1호점의 공간입지분석 이영희 pp.532-543

보기
완도 장보고축제의 만족도 분석 안종현 ;이정록 pp.544-556

보기
지역 물수지 평가를 위한 NGIS와 환경 관측 자료의 활용에 관한 연구 :구량천 유역을 사례로 박종철 pp.557-576

보기
교육실습생의 실천적 지식 구성에 대한 관찰 :지리 수업조직을 사례로 강창숙 pp.577-603

보기

참고문헌 (6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건설교통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한국수문조사연보. 미소장
2 건설교통부, 2001, 한국지형에 적합한 수치표고자료구축방안. 미소장
3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e- and Post-Processing System to Yongdamdam Watershed using PRMS Hydrological Model 소장
4 Application of The Semi -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 TOPMODEL ) for Prediction of Discharge at the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Catchments in Gwangneung , Gyeonggi-do , Republic of Korea 소장
5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ing by Using Fully Combined SWAT-MODFLOW Model 소장
6 김만규, 1999a,“ 기후변화시나리오에따른지역물수지추정,”제4기학회지, 13, 53-65. 미소장
7 토지이용 변화와 자연식생 변화 시 지역 물수지 소장
8 A Study on Acquiring Geomorphology, Canopy and Soil Parameters from Physical based Deterministic Water Valance Model (BROOK90) for the Catchment of Byungchun River in Chungcheong Province and the Interpretation of a Priori Simulation Result 소장
9 Assessment of the Effect of Digital Dlevation Model (DEM) Resolution on Simulation Results of the Physical Deterministic Lumped Parameters Hydrological Model 소장
10 김양렬·민충기, 2002, 경영경제 통계학, 명경사. 미소장
11 Articles : Comparison of Topographical Parameter for DTED and Grid DEM from 1 : 50, 000 Digital Map 소장
12 김은숙·강신규·이보라·김경하·김준, 2007, “광릉 원두부 유역 생태수문과정의 통합을 위한 지역 생태수문 모사 시스템(RHESSys)의 모수화와 적용,”한국농림기상학회지, 9(2), 121-131. 미소장
13 Runoff Characteristics of a Small Trachybasaltic Basin in the Subalpine Zone of Mt. Halla 소장
14 Runoff Characteristics in Small Mountainous Basins with Granite and Gneiss Bedrocks 소장
15 The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Water Quality Using SWAT Model 소장
16 산림청, 2008, 2007년말 산림기본통계 조사결과. 미소장
17 손일, 1986, “소유역분지의 홍수특성과 지형변수와의 관계,”지리학, 33, 13-25. 미소장
18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수문 특성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Lumped 모형의 개발 소장
19 Water Balance of a Small Catchment in the Subalpine Grassland of Mt. Halla, Southern Korea 소장
20 Water Balance Change of Watershed by Climate Change 소장
21 The Change of Water Balance due to Urbanization in Gwangju River Basin 소장
22 태양광 반사율을 이용한 벼 군락의 엽면적지수 추정 네이버 미소장
23 장철희·김현준·김남원, 2003, “용담댐 유역의 장기-유출 분석을 위한 AVSWAT 2000 모형의 적용,”한국수자원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46-49. 미소장
24 Spatial Distribution of Rice Root under Long-term Chemical and Manure Fertilization in Paddy 소장
25 The Effects of Soil Physcial Properties on Root Distribution of Barley 네이버 미소장
26 고랭지 농경지의 토양유실모의를 위한 SWAT 모형의 적용성 평가 소장
27 홍준범·김병식·윤석영, 2006, “VfloTM 모형을 이용한 물리기반의 분포형 물수지 모델의 정확성 평가,” 대한토목학회지논문집, 26(6B), 613-622. 미소장
28 환경부, 2002, 1:25,000 토지피복분류도(안천, 적상, 대량, 장기). 미소장
29 森田茂紀, 岩淵輝, 山崎耕字, 1986, 水稻1次根の伸長方向と重との關係, 日昨紀, 52, 520-525. 미소장
30 Angström, A., 1924, Solar and terrestrial radiation, The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50, 121-126. 미소장
31 Bormann, H. and Diekkruger, B., 2004, A conceptual regional hydrological model for Benin (West Africa): validation, uncertainty assessment and assessment of applicability for environmental change analyse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29(11-12), 759-768. 미소장
32 Bormann, H., Fasz, T., Giertz, S., Junge, B., Diekkruger, B., Reichert, B., and Skowronek, A., 2005, From local hydrological process analysis to regional hydrological model application in Benin: Concept, results and perspective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30(6/7), 347-356. 미소장
33 Brutsaert, W., 1982, Evaporation into the Atmosphere: Theory, History, and Applications, D.Reidel, Hingham MA. 미소장
34 Cho, S. M. and Lee, M. W., 1995, Water quality modeling in the delaware river basin by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4(2), 39-57. 미소장
35 A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UNSATURATED CONDUCTIVITY FROM MOISTURE RETENTION DATA 네이버 미소장
36 Federer, C. A. and Lash, D., 1978a, Brook: A Hydrologic Simulation Model for Eastern Forests, Water Resource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New Hampshire, Durham. 미소장
37 Simulated streamflow response to possible differences in transpiration among species of hardwood trees 네이버 미소장
38 Federer, C. A., 1995, BROOK90 - A simulation model for evapotranspiration, soil water and streamflow, Version 3.24, Computer freeware and documentation, USDA, Forest Service, Durham, USA. 미소장
39 Federer, C. A., 2002, BROOK90 - A simulation model for evapotranspiration, soil water and streamflow, http://home.maine.rr.com /stfederer/index.htm. 미소장
40 Runoff simulations on the macroscale with the ecohydrological model SWIM in the Elbe catchment–valid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41 Herrmann, A., Kim, M. K., and Buchtele, J., 1997, Runoff formation, water balances and runoff components from rainfall-runoff models for a small agricultural basin with irrigation in quaternary northen Germany, Proc. ERB Conf. on Ecohydrological Processes in Small Basins, Strasbourg, 24-28. 미소장
42 Predicting runoff and sediment yield on a forest dominated watershed using HSPF and SWAT models 소장
43 A Global Analysis of Root Distributions for Terrestrial Biomes 네이버 미소장
44 Kim, M. K., 1997, Klima-und Landnutzungsaenderungen und deren hydrologischen Auswirkungen im Harz und Harzvorland-Wasserhaushaltsmodellierung mit modifiziertem Programmpaket BROOK90 (BROOKTOP), Institut fuer Geographie und Geooekologie der Technischen Universitaet Braunschweig, ISSN 0170-7299. 미소장
45 A model to estimate annual forest evapotranspiration in Japan from mean annual temperature 네이버 미소장
46 A parsimonious soil-type based rainfall-runoff model simultaneously tested in four small agricultural catchments 네이버 미소장
47 Marechal, D. and Holman, I. P., 200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oil classification-based conceptual catchment-scale hydrological model, Journal of Hydrology, 312(1/4), 277-293. 미소장
48 Effects of changes in tree species composition on water flow dynamics – Model applications and their limitations 네이버 미소장
49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 A discussion of principles 네이버 미소장
50 Runoff and sediment yield modeling from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in India using the WEPP model 네이버 미소장
51 Surface Albedo and Water Resources: Hydroclimatological Impact of Human Activities 네이버 미소장
52 Prescott, J. A., 1940, Evaporation from a water surface in relation to solar radia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2, 471-479. 미소장
53 Shuttleworth, W. J. and Wallace, J. S., 1985, Evaporation from sparse crops - an energy combination theory, Quart J Royal Meteorol Soc, 111, 839-855. 미소장
54 Son, I., 1991, Modelling the Hydrological Effects of Landuse Change in Small Catchment, Unpublished Ph.D. Thesis, Univ. of Southhampton. 미소장
55 Troy, B., Sarron, C., Fritsch, J. M., and Rollin, D., 2007, Assessment of the impacts of land use changes on the hydrological regime of a small rural catchment in South Afric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32(15/18), 984-994 미소장
56 U.S. Department of Commerce, 1968, Climatic Atlas of th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Science Services Admin. 미소장
57 Wang, X., Xie, H., Guan, H., and Zhou, X., 2007, Different responses of MODIS-derived NDVI to root-zone soil moisture in semi-arid and humid regions, Journal of Hydrology, 340(1/2), 12-24. 미소장
58 Wilhelm, W. W., 1998, Dry-matter partitioning and leaf area of winter wheat grown in a long-term fallow tillage comparisons in the US Centeral Great Plains, Soil & Tillage Research, 49, 40-56. 미소장
59 http://www.wamis.go.kr 미소장
60 http://jeonju.kma.go.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