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구어와 담화 연구 / 전영옥 1
Abstract 1
1. 머리말 1
2. 담화와 담화 분석 2
(1) 담화는 '문장 이상의 단위'이다. 3
(2) 담화는 '언어 사용'이다. 3
(3) 담화는 '언어 행위'이다. 4
(4) 담화는 '발화'이다. 5
(5) 담화는 '텍스트'이다. 5
(6) 담화는 '대화'이다. 7
3. 구어와 구어 말뭉치 10
3.1. 구어의 정의 10
3.2. 구어 말뭉치와 구어 전사 말뭉치 12
4. 구어를 활용한 담화 연구 17
4.1. 담화표지 19
4.2. 화행 22
4.3. 유형 25
4.4. 구조와 단위 26
4.5. 결속 29
4.6. 구어와 문어 비교 29
4.7. 기타 31
5. 맺음말 31
참고문헌 33
In this study, the present situation in research into discourse using spoken language is examined. First, the definitions of “spoken language” and “discourse” are explained as the range of research will depend on them. “Discourse” is a piece of terminology that can be used for a structure with written language as well, but in this study it is referred to as a structure consisted with spoken language. The most studied area in research into discourse using spoken language is discourse markers. Discourse markers clarify the usage of language expression in discourse and thus are a popular research theme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which are different from written language. There have also been researches on speech acts to reveal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detailed researches on subtypes of discourse, researches on the structure and units of discourse and researches on the coherence devices for discourse. In addition, there have been studies on comparative researches on characteristics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The problems in research into discourse using spoken language can include limited reference resources and limited research areas. In fact, studies based on actual spoken corpus take up only 50% of total research volume. It can also be pointed out that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studies in areas other than discourse markers.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구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장경희 | pp.1-26 |
|
보기 |
언어병리학과 학문간 구어연구 탐색 | 김수진 | pp.27-43 |
|
보기 |
구어와 담화 연구 | 전영옥 | pp.45-93 |
|
보기 |
구어 연구를 위한 음성학·음운론의 과제 | 정명숙 | pp.95-112 |
|
보기 |
'교육 문법'에 있어서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에 대하여 | 지현숙 | pp.113-139 |
|
보기 |
『朴通事』의 지명 연구 ,1 :대도 성내(城內)를 중심으로 | 김양진 ;장향실 | pp.141-174 |
|
보기 |
격조사 '로'의 문법적 특성과 의미 기능 | 김원경 ;고창수 | pp.175-198 |
|
보기 |
현대국어 '-느-'의 범주와 형용사와의 결합제약 | 문숙영 | pp.199-226 |
|
보기 |
漢字의 '새김' 관련 用語 確立을 위한 硏究 :『朝鮮王朝實錄』에 나오는 '訓' 관련 語彙를 중심으로 | 朴秉喆 | pp.227-254 |
|
보기 |
보조사 '말고', '치고'에 대한 연구 | 서태길 | pp.255-274 |
|
보기 |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연구 :24개월~35개월 유아를 대상으로 | 이삼형 ;김순자 ;장민정 | pp.275-304 |
|
보기 |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문법적 연어 후보 추출 | 임근석 | pp.305-333 |
|
보기 |
설정장애음의 마찰음화에 의한 체언 재구조화의 실현 양상 :어절 사용 빈도와의 상관성 분석을 중심으로 | 임현열 | pp.335-361 |
|
보기 |
金壽卿의 국어학 연구와 그 의의 | 최경봉 | pp.363-385 |
|
보기 |
감정동사의 범주 규정과 유형 분류 | 홍종선 ;정연주 | pp.387-420 |
|
보기 |
'강아지풀(수)'의 어휘사 | 황선엽 | pp.421-446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범모. 1999.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 | Analyses of Korean Text Types and Styles Based on statistical Methods | 소장 |
3 | 강범모․김흥규․허명회. 2000.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 문체, 유형」. 서울: 태학사. | 미소장 |
4 | A Statistical Approach to the Rejection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 소장 |
5 | The Meaning of a Discourse Marker ‘Geulaegajigo(그래 가지고)' | 소장 |
6 | 구어 담화에 나타난 수정 양상 연구 : 수업내용을 화제로 한 대학 강사들의 대화 중심으로 | 소장 |
7 | 담화에서의 생략조건과 대상에 대하여 | 소장 |
8 | 강연임. 2002. “한국어 생략의 담화론적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강연임. 2005. 「한국어 담화와 생략」. 서울: 이회문화사. | 미소장 |
10 | Spoken Properties of On-Line Chat and Differences from the Spoken Language | 소장 |
11 | 한국어 담화에 나타난 화제 생략 | 소장 |
12 | 긍정 대답말의 화용적 특성 비교 연구 | 소장 |
13 | 담화표지 '아'와 '어'의 특성 비교 연구 | 소장 |
14 |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 소장 |
15 | 문장과 이야기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중세어를 중심으로 | 소장 |
16 | 고영근. 1995. 「단어, 문장, 텍스트」.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7 | 화용 표지 '좀'에 대하여 | 소장 |
18 | On Kiscourse ' eodi ' ![]() |
미소장 |
19 | 담화표지'뭐'의 문법화와 담화 기능 | 소장 |
20 | '왜'의 담화적 기능 | 소장 |
21 | The discourse functions and the grammaticalization of 'Da'(all) | 소장 |
22 |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Discourse Markers on Listening and Comprehension in Lecture | 소장 |
23 | 구현정. 2000. “유머 담화의 특성과 생성 기제”. 「한글」(한글학회) 248. 159-184. | 미소장 |
24 | 조건문의 담화적 기능 | 소장 |
25 | Turn Taking System of Conditionals in Discourse | 소장 |
26 | On Typology of Speech Errors: With Reference to Mass Media Texts | 소장 |
27 | 구현정. 2003. “대화 텍스트의 구조”. 「텍스트 분석의 실제」(이석규 편) 179-204. 서울: 역락. | 미소장 |
28 | On Corpus-Based Studies of Spoken Language | 소장 |
29 | 구현정․전영옥. 2002. “구어와 구어 전사 말뭉치”. 「한국어 구어 연구(1)-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구현정․서상규 공편) 9-33.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30 | 구현정․전영옥․전정미. 2007. “담화 주석 말뭉치 개발을 위한 화행 분류”. 「한국의 역사와 문화」. (솔재 최기호 박사 정년 최임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69-88. | 미소장 |
31 | 권길호. 2009. “상거래 담화의 전개와 특성 : 부산 자갈치 시장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The synchrony and diachrony of Korean Declarative Sentences in Spoken Discourse | 소장 |
33 | 권재일. 2004.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34 | 권혁찬. 2001. “TV 광고에 나타난 대화 분석”.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Discourse Marker "in-ja" in Korean: Aspects of Information-Induction and Cohesion | 소장 |
36 | 김금하. 2000. “담화표지 {그러-}형의 담화기능: 옷로비 청문회 전사자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7 | 국어 의문사의 담화표지화 | 소장 |
38 | 국어 의문사 '무슨'의 담화표지 기능 | 소장 |
39 | The development of cohesion by Korean children: Focusing on the early stages of infancy | 소장 |
40 | 유아의 진술 화행에 관한 연구 | 소장 |
41 | 아동의 일상 대화에 나타난 질문 확장의 발달 양상 | 소장 |
42 | "Discourse functions of the intersentential particle "-yo" in Korean children`s narratives | 소장 |
43 | 한국어 문어체 담화와 대화체 담화의 선호논항구조 비교 | 소장 |
44 | 대화구조로 본 '아니'의 기능 | 소장 |
45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and written Korean | 소장 |
46 | 한국어 교실의 의사소통의 양상 | 소장 |
47 | 김선희. 1994. “감탄사와 담화표지의 관련성”. 「우리말글연구」(우리말학회) 1. 265-283. | 미소장 |
48 | 담화표지(discourse marker)의 의미연구 | 소장 |
49 | Die Erforschung der Ellipse in Texten ![]() |
미소장 |
50 |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Pattern on Speech and Direction of the Evaluation ![]() |
미소장 |
51 | 김수빈. 2005. “담화표지 ‘저기(요)’, ‘아니 근데’, ‘그래’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2 | 대화의 맞장구 수행 형식과 기능 ![]() |
미소장 |
53 | 말차례 뺏기에 나타난 남녀 화자의 특징 | 소장 |
54 | 김순자. 2001a. “여성 화자의 화행 수행에 관한 연구: 동료들 사이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5 | A Study on the First Meeting Conversation, Textlinguistics 11 | 소장 |
56 | A Survey of Middle,High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 소장 |
57 | 담화 표지의 습득과 발달 | 소장 |
58 | A Study on the Speech Acts Annotation Methods | 소장 |
59 | 김승희. 2001. “토론담화의 화법 연구”. 광주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0 | Pragmatic Function of Woay " why " | 소장 |
61 | Meaning and pragmatical Usage of Korean Hand Gestures | 소장 |
62 | A Study on the discourse function of 'Geosigy' to discourse mark in Korean language | 소장 |
63 | study on 'Ah' discourse mark in Korean language ![]() |
미소장 |
64 | 김영철. 2006. “국어 담화표지 “어”의 고찰”. 「국어문학」(국어문학회) 41. 249-266. | 미소장 |
65 | Study on the discourse function of 'Cham' to discourse mark in Korean language | 소장 |
66 | study on the discourse function of &'JA&' to discourse mark in Korean Language | 소장 |
67 | The Research of ‘-kuna’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1). | 소장 |
68 | 김은정. 1998. “담화표지 그래․글쎄․아니의 기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9 | 국어학 :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의 구조와 대화 ![]() |
미소장 |
70 | 김정선. 2001. “상거래 대화의 진행 구조와 설득 책략”.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1 | 담화 표지 '있잖아'에 대하여 | 소장 |
72 | 김주현. 2008. “코미디 담화의 구성과 웃음 유발 요소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3 | A Study on the utterance unit for Spoken Language Tagged Corpus | 소장 |
74 | A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Discourse Marker | 소장 |
75 | 김태자. 1987. “담화분석의 화행의미론적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6 | 간접 발화 행위의 양상과 구조 | 소장 |
77 | 담화 분석에 의한 해학의 의미 해석 | 소장 |
78 | 언어 행위와 듣는 이의 신호에 관한 화용론적 분석 시도;담화속에“네” | 소장 |
79 | 한국어 대화상에서의 화자와 청자에 대한 지칭 표현 | 소장 |
80 | 한국어 담화표지의 기능 | 소장 |
81 | 김향화. 2002. “한국어 담화표지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2 | 김현강. 2008.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 연구: 라디오의 시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3 | 김형정. 2002a. “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4 | A Study of Coherence in Korean Spoken Discourse | 소장 |
85 | Kommunikationsfunktionen von Redeunterbrechung und Geschlecht | 소장 |
86 | 의사의 대화행위가 환자치료에 미치는 영향 : 우울증 환자를 중심으로 | 소장 |
87 | Redeunterbrechung mit dem Arztegeschlecht und Kommunikationsfunktionen | 소장 |
88 | 유머 텍스트에 나타나는 화용적 추론 구조의 양상에 대하여 ![]() |
미소장 |
89 | 텍스트 장르에 따른 문장 확대 양상 연구 : 학술개론서와 학술강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 소장 |
90 | 노대규. 1996.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서울: 국학자료원. | 미소장 |
91 | 우리말 담화의 결속 관계 연구 | 소장 |
92 | 노은희. 1994. “담화에서의 생략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선청어문」(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2. 97-110. | 미소장 |
93 | 노은희. 1999. “대화 지도를 위한 반복표현의 기능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4 | 협조적인 대화의 맞장구 | 소장 |
95 | 청자의 맞장구 유형과 기능 연구 | 소장 |
96 | 노주현. 2001. “한국어 요청 화행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7 | 문규원. 2006. “TV 뉴스의 담화분석: 의도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8 | 문병우. 2002. “한국어 화용표지 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 미소장 |
99 | Analysis of argumentations in TV discussion discourse: an approach from a pragma-dialectical perspective | 소장 |
100 | 박경옥. 2006. “담화분석을 통한 칭찬화행 연구 : 한국어 회화교재와 TV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1 | Grammaticalization of " keosigi " ![]() |
미소장 |
102 | 박미라. 2003. “인터뷰와 일상대화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3 | 담화표지화의 정도성에 대한 한 논의 : '뭐, 어디, 왜'를 대상으로 | 소장 |
104 | Request Speech Acts and Politeness: A Comparative Study of Texts | 소장 |
105 | 박선현. 2009. “추측 표현 ‘것 같다’의 완곡 기능 연구 : 구어 전사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6 | 박성현. 1996. “한국어 말차례체계와 화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7 | 박소윤. 2000. “담화상의 간접화행 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8 | 박순자. 2002. “수업 담화 분석 : 언어의 기능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9 | 박영순. 1994. 「한국어의미론」. 서울: 고려대 출판부. | 미소장 |
110 | 박영순. 2008. 「한국어 담화․텍스트론」.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11 | 수업대화의 기능단계와 대화이동 연속체원형 | 소장 |
112 | 텔레비전 정치토론회의 대화분석 : 서울시장 후보자 토론회를 예로 | 소장 |
113 | 박용익. 1998. 「대화분석론」.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14 | Ein interdisziplinares Untersuchungsprogramm zur medizinischen kommunikation aufgrund der Dialoganalyse | 소장 |
115 |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typology of the doctor -patient-dialog | 소장 |
116 | 박용한. 2002a. “과제 중심적 대화에서의 대화 전략 운영에 관한 연구 : TV 생방송 토론 대화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7 | TV 생방송 토론 대화에서의 대화 전략 연구 : 대화 구조 지배 전략을 중심으로 | 소장 |
118 | A Study on Spoken/Written Text Style Continuum | 소장 |
119 | 박은정. 2007.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겠-’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0 | 박재진. 1999. “대화의 소구조와 그 양상에 관한 연구: 교과서와 영화 대본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1 | 박정아. 2001. “한국어 대면대화 분석 연구: 대화구조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2 | 박정준. 1994. “담화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연구: 토론담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3 | 강의 담화에서의 부차적 정보의 구조와 기능 | 소장 |
124 | 배현주. 2003. “토론 담화의 구조 연구: TV 토론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5 | 영어와 한국어에서의 칭찬에 대한 응답전략 고찰 | 소장 |
126 | 변영민. 2009. “초등학생 토론 담화에서 대화의 구조와 전략 양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7 | 서 혁. 1994. “담화의 분석과 화제, 초점에 대하여”. 「선청어문」(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2. 245-275. | 미소장 |
128 | '겠' 구문의 대화 분석 | 소장 |
129 | 서덕현. 1999. “스포츠중계의 언어 사용 양상”. 「화법 연구」(한국화법학회) 1. 221-248. | 미소장 |
130 | 서상규․구현정 공편. 2002. 「한국어 구어 연구(1) - 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31 | 서상규․구현정 공편. 2005. 「한국어 구어 연구(2) -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32 | 서상규․한영균. 1999. 「국어 정보학 입문」. 서울: 태학사. | 미소장 |
133 | A Cognitive Pragmatic Approach to Discourse Connective Korean Kulenikka ![]() |
미소장 |
134 | 서승아․김혜숙. 2008. “구어(口語) 담화표지(談話標識)의 환담적(歡談的) 기능(機能) 연구(硏究) -무릎 팍 도사의 담화표지 “오”를 중심으로”. 「새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학회) 80. 545-566. | 미소장 |
135 | 손희연. 1999. “수업 담화의 바로잡기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6 | 영어와 한국어 대화에서 성(性,gender)의 역학 : 토론과 논쟁에서의 남성과 여성의 차이 | 소장 |
137 | 한국어와 영어 대화의 질문에 대한 상호작용 사회언어학적 분석 | 소장 |
138 | 제15대 대통령후보 초청 TV 합동토론회 분석 | 소장 |
139 | TV 생방송 토론의 사회언어학적 분석 | 소장 |
140 | 송경숙. 2002. 「담화분석: 대화 및 토론 분석의 실제」.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41 | 송경숙. 2003. 「담화 화용론」.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42 | Constructing Dialogues in Computer-Mediated Discourse | 소장 |
143 | 한데 , 하나 , 하기는 담화불변화사 ![]() |
미소장 |
144 | 송병학. 1994. “담화불변화사 {아니}”. 「우리말 연구의 샘터」(연산도수희선생 화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384-401. | 미소장 |
145 | 신지연. 1988. “국어 간투사의 위상 연구”. 「국어연구」(국어연구회) 83. | 미소장 |
146 | 신지연. 1998. 「국어 지시용언 연구」. 서울: 태학사. | 미소장 |
147 | A Study on the Text Construction of Current Spoken Korean | 소장 |
148 | The Semantic Structure of Korean Interjections ![]() |
미소장 |
149 | 신현숙. 1989. “담화대용표지의 의미 연구 - {그래서 / 그러니까 / 그러나 / 그렇지만}을 대상으로 -”. 「국어학」(국어학회) 19. 427-451. | 미소장 |
150 | 신현숙. 1990. “담화대용표지 {그래}의 의미 연구”. 「인지과학」(한국인지과학회) 2-1. 143-164. | 미소장 |
151 | 21 세기 담화 의미 연구의 방향 ![]() |
미소장 |
152 | 구어체 텍스트의 응결 장치 연구 : 토론 텍스트를 중심으로 | 소장 |
153 | A Study on the Orality Score of Words and its Application Using Corpus | 소장 |
154 | 환자의 언어가 의사의 진단에 미치는 영향 ![]() |
미소장 |
155 | 시장에서 행해지는 가격흥정의 담화분석 | 소장 |
156 | A Study o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 ‘mak’ | 소장 |
157 | 안주호. 1992. “한국어 담화표지 분석”. 「말」(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7. 21-38. | 미소장 |
158 | A Study on the Degree Adverb “toykey(very)” in Korean Spoken Language | 소장 |
159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textuality of television news | 소장 |
160 | 양영하. 1998. “방송 상담 대화의 구조와 체계 분석”.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1 | 구어담화에 나타난 '쉼'의 기능 | 소장 |
162 | 양영하. 2007. “한국어 대화의 순서교대 양상 연구: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3 | A Discourse Marker and Topic-related Talk : A Case of isscanha in Korean | 소장 |
164 | The functions of interjections in the discourse ![]() |
미소장 |
165 | 오승신. 1998. “국어 간투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6 | 유동엽. 1997. “대화 참여자의 대화전략에 관한 연구 -상호작용을 위한 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7 | A Conversation Analysis on Televised Dispute | 소장 |
168 | 유지연. 2009. “통신언어의 구어성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9 | '-요'의 담화 기능 | 소장 |
170 | 윤여희. 2005. “대화구조에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기능과 실현 장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1 | '그러하-'의 지시와 대용, 그리고 그 역사 | 소장 |
172 | Discourse Marker 'ice' in Korean ![]() |
미소장 |
173 | 한국어 첨가 구문의 담화론적 해석 ![]() |
미소장 |
174 | 국어 입말 담화의 의문 제기 형식 | 소장 |
175 | 국어 담화의 연결 표지-완형 표현의 반복 | 소장 |
176 | '그저'의 담화 기능 : 고려말과 강원도 양양 지역어에서 | 소장 |
177 | A Device of Triggering Laughs in the Text of Humor | 소장 |
178 | 이동은. 2000. “토론의 상호작용사회언어학적 연구: 갈등과 그 운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9 | 이성희. 1999. “의사소통 전략의 성별 차이 연구: 소집단 토의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0 | 이소영. 1996. “현대 국어의 구어 문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1 | 이용주. 1993. 「한국어의 의미와 문법 Ⅰ-기본적인 관점-」. 서울: 삼지원. | 미소장 |
182 | 시간부사 '이제'의 담화기능 | 소장 |
183 | 의지감탄사 “예, 글쎄, 아니”의 담화분석 | 소장 |
184 | 토크쇼에서의 말 끼어들기 : 담화 기능과 사회적 요인 | 소장 |
185 | 이원표. 2001. 「담화분석: 방법론과 화용 및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실례」.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86 | 정치담화에서의 관여(involvement) 전략 : 노무현 대통령의 '연설문'의 경우 | 소장 |
187 | 연구 논문 : 텔레비전 토크쇼 텍스트의 연결 어미 분석 ![]() |
미소장 |
188 | 구어체 텍스트에서의 한국어 연결 어미의 기능 ![]() |
미소장 |
189 | Textlinguistical Analysis of TV advertisement | 소장 |
190 | 이정민․박성현. 1999. “‘-요’ 쓰임의 구조와 기능: 문중 ‘-요’의 큰 성분 가르기 및 디딤말 기능을 중심으로”. 「언어」(한국언어학회) 16-2. 361-389. | 미소장 |
191 | 이정애. 2002. 「국어화용표지의 연구」. 서울: 월인. | 미소장 |
192 | 2006, On the ‘geurigo(and)’ in Spoken Corpus | 소장 |
193 | 여성 결혼이민자의 구어 담화 특징 연구 | 소장 |
194 | Cohesion and Coherence in idiomatic expressions of TV Drama Scripts | 소장 |
195 | 이준희. 2000a. 「간접화행」. 서울: 역락. | 미소장 |
196 | 질문의 적정 조건을 위반하는 질문문의 담화 상황 | 소장 |
197 | 언어의 구어성과 문어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198 | 국어의 응답 표현에 대한 연구 ![]() |
미소장 |
199 | Conditions and directionalities of the interpretation of indirect speech acts(ISAs) | 소장 |
200 | 한국어 담화 표지어 '그래'의 의미 연구 | 소장 |
201 | 한국어 담화 표지어 '왜' | 소장 |
202 | 한국어 담화 표지어 '뭐'의 의미 | 소장 |
203 | A Pragmatic Study on -kes kat- in Korean | 소장 |
204 | 담화표지 `글쎄'의 담화기능과 사용의미 | 소장 |
205 | 이현정. 1997. “한국어 대화체 문장의 화행 분석”.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6 | 우리말 방송 대화의 담화·화용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207 | 이희정. 2003. “한국어의 [그러-]형 담화표지 기능 연구: 일상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8 | '-어가지고'에 대하여 | 소장 |
209 | 담화표지 '뭐냐'와 '있지'에 대하여 ![]() |
미소장 |
210 | 국어 담화 표지 '인자'에 대한 연구 | 소장 |
211 | 임규홍. 1997. “국어 ‘쉼’의 언어 기능에 관한 연구”. 「한글」(한글학회) 235. 93-125. | 미소장 |
212 | 국어 '말이야'의 의미와 담화적 기능 | 소장 |
213 | 부사 " 정말 " 류의 담화적 의미 ![]() |
미소장 |
214 | Study of the Interruption`s Types in Korean Discourse | 소장 |
215 | 설화 담화의 '시작하기'와 '끝맺기'에 대한 담화 분석 | 소장 |
216 | TV 토론에서 '발언권 주고 빼앗기'의 담화 분석 | 소장 |
217 | 한국어 혼자 말하기에서 '손짓언어' 사용의 분석 연구 | 소장 |
218 | 국어 담화 표지 ‘자’에 대한 연구 | 소장 |
219 | On the present figures and prospects of Discourse Analysis Studies in Korean | 소장 |
220 | An approach to the communication media and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open chats in a computer | 소장 |
221 | A Trial on Restruction of Written Language/spoken Language and Their Styles | 소장 |
222 | 국어학 : 대화 텍스트의 결속 구조 ![]() |
미소장 |
223 | 국어의 수용형 대화와 거부형 대화 ![]() |
미소장 |
224 | Accepting or Denying Responses to Proposals in Korean | 소장 |
225 | Types, performative ways and forces of directive acts in Korean | 소장 |
226 | The acquisition process of cohesive forms in the early period of childhood | 소장 |
227 | 유아의 요구 화행 수행 능력의 발달 단계 | 소장 |
228 | The Expansion of Question in the Conversation | 소장 |
229 | 유아의 질문 화행 습득 과정 | 소장 |
230 | Textlinguistic Analysis of TV News Stories | 소장 |
231 | 장수희. 2004. “일상 대화에 나타난 청자 반응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2 | 전영옥. 1993. “한국어 발화단위 종결방식의 화용론적 분석”.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3 | 전영옥. 1995. “대화의 상황과 구조 분석 -TV토크쇼를 대상으로-”. 「인문계열대학원논집」(상명대학교 대학원) 1: 121-154. | 미소장 |
234 | 전영옥. 1999. “한국어 담화에 나타난 반복표현 연구: 유형, 분포 및 기능”.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5 | 한국어 담화 표지의 특징 연구 | 소장 |
236 | 전영옥. 2003. “한국어 억양단위 연구”. 「담화와 인지」(담화․인지언어학회) 10.1: 241-265. | 미소장 |
237 | A Comparative Study on Presentation and Abstract of the Presentation | 소장 |
238 | 전영옥. 2006a “구어 어휘의 사전 기술 방법 -담화표지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한국사전학회) 8. 155-197. | 미소장 |
239 | 구어의 단위 연구 | 소장 |
240 | A Comparative Study of Connective Adverbs o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 소장 |
241 | 구어와 문어에 나타난 '그리고' 연구 | 소장 |
242 | 문어와 구어에 나타난 '그러나' 연구 | 소장 |
243 | 토론에 나타난 대응쌍 연구 | 소장 |
244 | 전영옥․구현정. 2005. “대응쌍 연구”. 「한국어 구어 연구(2)」(서상규․구현정 공편) 231-306.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45 | 구어와 문어의 접속 표현 비교 연구 : '그런데, -는데'를 중심으로 | 소장 |
246 | 전은진. 2001. “컴퓨터 통신 대화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7 | 전정미. 2008.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칭찬 화행의 양상”. 「겨레어문학」(겨레어문학회) 40. 99-117. | 미소장 |
248 | 한국어 구어에 나타난 강조법 연구 | 소장 |
249 | A Corpus-Based Study on Backward-Looking Function in Speech Acts | 소장 |
250 | 전정미․구현정. 2005. “한국어 대화행위 연구”. 「한국어 구어 연구(2)」(서상규․구현정 공편) 159-230.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51 | 구어 담화에 나타나는 '-ㄴ 것이'의 화용 의미 | 소장 |
252 | A Study on several problems in judging the Indirect Speech Acts | 소장 |
253 | 정희자. 1998. 「담화와 문법」. 부산: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54 | 정희자. 2002. 「담화와 추론」.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55 | 정희자. 2004. 「담화와 비유어」.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56 | 정희자. 2008. 「담화와 문법」.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57 | 정희자. 2009. 「담화와 문법 그리고 의미」.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58 | 제혜숙. 2001. “한국어 대화에 나타난 설득행위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9 | An Act-theoretical Approach to the Types and Structure of Discussion and Debate | 소장 |
260 | 조성식. 1990. 「영어학 사전」. 서울: 신아사. | 미소장 |
261 | 조은영. 2001. “수업 모델의 개시 담화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2 | 주경희. 2000. “대화에서의 ‘좀’의 기능”. 「국어국문학」(국어국문학회) 126. 75-99. | 미소장 |
263 | 진정란. 2005a. “한국어 이유 표현의 담화 문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4 | Discourse Grammar of Korean Causative Expression ‘-killay' | 소장 |
265 | A Study of the Institutional Talk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terview in Terms of Functional Stages | 소장 |
266 | 이음말의 담화표지 기능 | 소장 |
267 | 차지현. 2007. “한국어 대화의 말 끼어들기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8 | 담화에 쓰이는 '-거든'의 화용적 기능 | 소장 |
269 | 최보라미. 1998. “남성과 여성의 대화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0 | 최영자. 2004. “현대국어의 담화표지 연구: 바뀐담화표지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1 | 최지현. 2006. “담화표지 ‘막’의 기능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2 | 한성일. 2004. “유머 텍스트의 구조와 원리”. 「화법연구」(한국화법학회) 7. 147-171. | 미소장 |
273 | 한수희. 1998. “영․한 담화 대조 분석: 전화대화의 시작과 종결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4 | Austin, J, L. 1962.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5 | Beaugrande, R. de. and Dressler, W. 1981. Introduction to Text Linguistics. London, Longman. (김태옥․이현호 옮김. 1995. 「텍스트언어학입문」. 서울: 한신문화사.) | 미소장 |
276 | Brown, G. & Yule, G. 1983. Discourse Analysi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7 | Chafe, W. L. 1992. Discourse. in Bright. W.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8 | Crowley, T. & Lynch, J. & Siegel, J. & Piau, J. 1995. The Design of Language. Longman Paul. | 미소장 |
279 | Fairclough, Norman. 1989. Language and Power. London: Longman. | 미소장 |
280 | Fasold, Ralph. 1990. Sociolinguistics of Language: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Vol. 2. New York: Blackwell. | 미소장 |
281 | Halliday, M. A. K. 1978. Language as Social Semiotic. London: Edward Amold. | 미소장 |
282 | Harris. Z. 1951. Methods in Structural Linguistic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283 | Levinson, S. C. 1983.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이익환․권경원 옮김. 1992. 「화용론」. 서울: 한신문화사.) | 미소장 |
284 | Mey, J. L. 1993. Pragmatics an introduction. Oxford, Blackwell Publishers. (이성범 옮김. 1996. 「화용론」. 서울: 한신문화사.) | 미소장 |
285 | Renkema, J. 1992. Discourse studies: an introductory textbook. John Benjamin Publishing Company. (이원표 옮김. 1996. 「담화연구의 기초」.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86 | Schiffrin, Deborah. 1987. Discourse Mark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87 | Schiffrin, Deborah. 1994. Approaches to Discourse Analysis. Oxford: Blackwell. | 미소장 |
288 | Searle, J. 1969. Speech A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89 | Stubbs, M. 1983. Discourse Analysis. Brasil Blackwell. Oxford. (송영주 옮김. 1993. 「담화 분석」.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90 | Tannen, D. 1989. Talking voices: Repetition. Dialogue and Imagery in Conversational Discou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91 | van Dijk. A. 1977. Text and Context. Longman. | 미소장 |
292 | Vitacolonna, L. 1988. ‘Text’/ ‘Discourse’ Definitions. in: J. S. Petöfi (ed). Text and Discourse Construction. de Gruyte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