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단군신화의 정치사상 / 정영훈 1
▣ 논문요약 ▣ 1
I. 머리말 1
II. 단군신화의 내용과 신화속의 고대사 3
1. 단군신화, 그 텍스트와 내용 3
2. 단군신화 속의 역사와 의식 7
III. 홍익인간 재세이화의 정치관 10
1. 단군신화의 인본주의 정치관 10
2. 한국정치사상사 속에서의 홍익인간 14
IV. '동국'의 집단정체성에 대한 인식 17
1. '동국'의 역사적 출발 17
2. 단군민족주의와 단군신화 21
V. 맺음말 24
〈참고문헌〉 26
[요약] 28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단군신화의 정치사상 | 정영훈 | pp.5-31, 225 |
|
보기 |
『순자』에 나타난 통치자의 특성 | 이희주 | pp.33-52, 225-226 |
|
보기 |
율곡(栗谷)의 위정론(爲政論) :퇴계의 치본론(治本論)과 비교하여 | 최진홍 | pp.53-69, 226-227 |
|
보기 |
유학적 구도의 재편과 공공론적 탐구 :이토 진사이(伊藤仁齋)의 경우 | 고희탁 | pp.71-111, 227-228 |
|
보기 |
근대중국의 경학사조와 강유위, 장병린의 정치사상 | 조성환 | pp.113-133, 228 |
|
보기 |
백범 김구의 이상국가론과 민족주의, 그리고 세계화 ,1 :이상국가론의 내용 분석 | 문중섭 | pp.135-161, 229 |
|
보기 |
망국을 바라보는 좌파들의 시선 :백남운(白南雲)/박헌영(朴憲永)/전석담(全錫淡) | 신복룡 | pp.163-195, 230-231 |
|
보기 |
일본의 민주주의와 1960년 :시미즈 이쿠타로(淸水幾太郞)와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 노병호 | pp.197-221, 231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삼국유사> | 미소장 |
2 | <제왕운기> | 미소장 |
3 | <조선왕조실록> | 미소장 |
4 | <고려사> | 미소장 |
5 | <동국통감> | 미소장 |
6 | <규원사화> | 미소장 |
7 | <순오지> | 미소장 |
8 | <삼일신고> | 미소장 |
9 | <신사기> | 미소장 |
10 | <대종교중광60년사> | 미소장 |
11 | <신단실기> | 미소장 |
12 | <단조사고> | 미소장 |
13 | <단재 신채호 전집> | 미소장 |
14 | <민세 안재홍 선집> | 미소장 |
15 | <담원 정인보전집> | 미소장 |
16 | <육당 최남선 전집> | 미소장 |
17 | <소앙선생문집> | 미소장 |
18 | 김석근, 「단군신화와 정치적 사유 : 한국사상의 시원을 찾아서」, 이재석외, 『한국정치사상사』, 집문당, 2002. | 미소장 |
19 | 김영두,「 한국정치사상사」,『 한국문화사대계 2(상)』,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65. | 미소장 |
20 | 김한식, 『한국인의 정치사상』, 백산서당, 2006. | 미소장 |
21 | 이남영,「 사상사에서 본 단군신화」, 조명기 외,『 한국사상의 심층연구』, 우석, 1982. | 미소장 |
22 | 손문호,「 한국정치사상사서설」,『 한국정치연구』3집, 서울대한국정치연구소, 1991. | 미소장 |
23 | 이기백∙이기동, 『한국사강좌 1 (고대편)』, 일조각, 1982. | 미소장 |
24 | 서울대종교문제연구소편,『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출판부, 1994. | 미소장 |
25 | 백남운저, 박광순역, 『조선사회경제사』, 범우사, 1989. | 미소장 |
26 | 백남운,「 조선역사학의 과학적 방법론」,『 백남운전집』4권, 이론과실천, 1991. | 미소장 |
27 | 안호상, 『한뫼 안호상 20세기회고록』, 민족문화출판사, 1996. | 미소장 |
28 | 김정신 외 공저,『 단군ㆍ단군신화ㆍ단군신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 미소장 |
29 | 박성수, 『단군기행』, 교문사, 1986. | 미소장 |
30 | 이기백 외,『 우리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삼성문화문고 88권, 1976. | 미소장 |
31 | 이능화 저, 이종은 역주,『 조선도교사』, 보성문화사, 1989. | 미소장 |
32 | 이우성ㆍ강만길 편,『 한국의 역사인식』상ㆍ하, 창작과 비평사, 1976. | 미소장 |
33 | 이은봉 편,『 단군신화연구』, 온누리, 1986. | 미소장 |
34 | 전락희, 『동양정치사상연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2. | 미소장 |
35 |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1), 집문당, 1999. | 미소장 |
36 | 정연식, 『상고대 조선의 정치이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 논문,1983. | 미소장 |
37 | 조지훈, 『한국문화사서설』, 탐구당, 1964. | 미소장 |
38 | 차주환, 『한국도교사상연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78. | 미소장 |
39 | 한승조, 『한국의 정치사상』, 一念, 1989. | 미소장 |
40 | 강만길,「 이조시대의 단군숭배」,『 이홍식박사 회갑기념 한국사논총』. | 미소장 |
41 | 김정신,「 북한의 고대철학 연구성과 분석」, 정신문화연구원 편,『 북한의 한국학 연구성과 분석』(철학ㆍ종교ㆍ어문 편), 1991. | 미소장 |
42 | 서영대, 「단군관계 문헌자료 연구」, 서울대종교연구소편, 『단군, 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출판부,1994. | 미소장 |
43 | 高麗時代의 檀君傳承과 古朝鮮 認識 | 소장 |
44 | 유승국,「 고대의 윤리사상」,『 한국윤리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 미소장 |
45 | 韓國固有思想과 현대민주주의 | 소장 |
46 | 揆園史話에 나타난 民族意識 | 소장 |
47 | 안재홍의 신민족주의 정치이론과 단군민족주의 | 소장 |
48 | 조소앙의 삼균주의 정치이론과 단국민족주의 | 소장 |
49 | 홍익인간이념과 한국정치」, 『민족통일학보』1호, 2003 ; | 미소장 |
50 | 「단군과근대 한국민족운동」,『 한국의 정치와 경제』제8집, 1995 ; | 미소장 |
51 | 한국사 속에서의 `檀君民族主義'와 그 정치적 성격 | 소장 |
52 | National Integration Movement in Korean History and Dangun-nationalism | 소장 |
53 | 정영훈 외,『 홍익인간이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 미소장 |
54 | 지교헌,「 전통사상에 있어서의 국가이념」, 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의 국가이념』, 1987. | 미소장 |
55 | 한영우,「 고려와 조선전기의 기자인식」,『 조선전기사회연구』, 1983. | 미소장 |
56 | 김상일, 『카오스와 문명 : 문명의 위기와 카오스여신의 부활』, 동아, 1994. | 미소장 |
57 | 神市組織의 構造와 機能 | 소장 |
58 | 김경동, 『인간주의사회학』, 민음사, 1978. | 미소장 |
59 | 신용하, 『한민족의 형성과 민족사회학』, 지식산업사, 2000. | 미소장 |
60 | 윤내현, 『고조선연구』, 지식산업사, 199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