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오피스텔 수용공간의 기능과 가변성에 관한 연구(A Study on Flexibility by the function of water-use space in the offistel) / 박태욱(Taewook Park) 1

ABSTRACT 2

요약 2

1. 서론 3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2. 생활방식과 공간 활용의 변화 3

2.1. 생활방식의 변화와 공간 3

2.2. 오피스텔의 특성과 사용 유형 4

2.3. 오피스텔 수용공간의 특성 4

3. 오피스텔 수용공간 활용 사례와 개선방향 5

3.1. 기존 사례 분석 5

3.2. 사용자 요구에 따른 수용공간의 기능과 수용 7

3.3. 개선 사례 7

3.4. 소결 8

4. 오피스텔 수용공간의 변화 가능성 8

4.1. 개방공간 구성 8

4.2. 가변공간 구성 9

4.3. 다기능 공간 구성 9

5. 결론 10

참고문헌 10

초록보기

사회적인 변화에 의하여 현대가구의 형태는 대가족 가구가 축소되고 핵가족화를 넘어 가구 형태가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다. 또한 ‘가족’의 개념 변화로 무자녀 가정, 교육 문제에 의한 다양한 가정의 형태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거 공간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라이프 스타일이 다양해짐에 따라 오피스텔에 대한 요구도 함께 커지고 있다.

오피스텔은 주거와 사무 또는 새로운 기능을 위한 탄력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오피스텔은 그 기능의 탄력성을 흡수할 만큼의 가능성을 갖지 못하고 일률적인 평면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욕실과 주방은 그 기능적 가능성에 따라 계획되기 보다는 건축 기술적 측면에 의하여 구석이나 입구 근처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욕실과 주방이 물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을 가진 ‘수용공간’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수용공간의 구성이 전체 오피스텔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수용공간의 구성에 대하여 연구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수용공간의 기능들을 세분하여 실제 오피스텔을 사용하고 있는 20~30대 사용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을 위하여 사용하는 수용공간의 기능과 부족한 기능에 관한 것들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기능들을 분석, 재조합하여 단순하고 일률적인 오피스텔의 공간 계획에 다양한 가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가변성을 가진 수용공간의 구성을 제시한다. 가변형 수용공간 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개방공간 구성, 가변공간 구성, 다기능 공간 구성을 제시한다.

Modern households are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with the reduction of an extended family system, beyond a nuclear family, variously, according to social changes. In addition, as the concept of ‘family’ changes, various kinds of households are appearing including households without kids and special types of households due to education matters, which causes the shift of standards of life. For this reason, residential spaces are changed variously. Specially, offictel's requirements are enlarged by lifestyle

Offistel means a flexible space for residences, affairs or a new function. But, until now, offistel is not able to function well enough to assimilate the flexibility, only to monotonous plane structure. In particular, bathrooms and kitchens are usually located in the corner or near the entrance according to construction techniques, not functional pl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struction of water-use space on total offistel and investigate a reasonable construction of water-use space from the perception that both bathrooms and kitchens are ‘water-use space’ using water. So, this study surveyed users in their 20’s~30’s who are using offistel about the functions and insufficient functions of water-use space for their living. And It analyzes a function, the re-union to do and is simple and it presents a variable space composition with the method which gives the possibility which is flexible space plann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감성공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가로공간 평가에 관한 연구 :U-street를 사례로 강주희 ;최유식 ;박태욱 pp.1-11

보기
슬립캐스팅(Slip casting)기법을 이용한 도자 브래킷(bracket) 제품개발 강흥석 pp.13-25

보기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에 관한 연구 :Ikea, 무인양품, Kosney의 VMD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고은별 ;최경란 pp.27-37

보기
형식을 통한 리얼리즘 영상의 다층성 ,1 :페이크 다큐멘터리와 드라마적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구윤희 ;이진혁 pp.39-51

보기
기모노의 가타(型)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김경진 ;강병석 pp.53-65

보기
Comparison of changes in use of colors on 2 different stimuli and majors Sunhwa Kim ;Seunghee Lee pp.67-77

보기
판화예술의 사회문화적 역할 김승연 ;민경아 pp.79-89

보기
시각텍스트안에서 칸의 다중적 시각표현과 해석 김영호 ;강주원 pp.91-102

보기
현대 소재와 기술의 변화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김재원 ;조배문 ;김선미 pp.103-113

보기
디지털 게임에서 남녀의 양성성(兩性性) 연구 김호다 ;김종덕 pp.115-125

보기
현대회화에서 파운데이션 회화 기법 활용 연구 박성현 ;진달예 pp.127-139

보기
예술과 리얼리티 그리고 일상적인 삶 박일호 pp.141-152

보기
다큐멘터리 사진의 범주와 의미 정립에 대한 연구 박종현 pp.153-163

보기
오피스텔 수용공간의 기능과 가변성에 관한 연구 박태욱 pp.165-175

보기
영화 프레임에 나타난 공간적 깊이 표현 :자크 오몽의 <이마주> 중심으로 방기호 ;김종덕 pp.177-188

보기
문화적 다양성을 위한 문래동 예술 단지에 관한 연구 방승애 ;윤준성 ;송관호 pp.189-199

보기
감성정보로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갖는 의의에 관한 연구 서창원 pp.201-211

보기
모바일 통합 서비스를 위한 사용성에 관한 연구 안지희 ;박경진 pp.213-223

보기
미디어를 활용한 어린이 박물관의 체험전시 선호 연구 양혜진 ;김남효 pp.225-237

보기
텍스트 <The Soothayer's Recompense>, <Pressure>의 '분절'과 '결속'에 대한 연구 오세권 pp.239-250

보기
형태의 유사성 분석을 위한 척도 오해춘 ;장광집 pp.251-259

보기
공공디자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청주시 차없는 거리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우영희 pp.261-271

보기
한국 전통사상의 상태론적 디자인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윤우중 ;박용원 pp.273-282

보기
화장품 브랜드 샵의 VMD 전략에 관한 연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윤회선 ;김홍배 pp.283-297

보기
Contemporary art movements and avant garde groups of Korea :focusing on the 1950s~1970s Gyeongmo Rhee pp.299-311

보기
디자인기초조형교육을 위한 디자인 분류체계 연구 이경석 pp.313-327

보기
TV애니메이션 제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문영 ;정진헌 pp.329-339

보기
사무환경의 변화에 따른 가구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감성적 회의용 테이블디자인 제안 이병하 pp.341-351

보기
치료개념으로 본 보양온천리조트의 실내공간에 관한 연구 이재훈 ;김문덕 pp.353-364

보기
네트워크 특성이 표현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오피스 공간에 관한 연구 이현정 ;김주연 ;황용섭 pp.365-375

보기
뉴미디어 아트 작품 제작을 위한 새로운 통합적 저작 도구에 대한 연구 임승률 ;김동호 pp.377-389

보기
디지털 시대의 책의 종말과 북아트 임영길 ;최창희 pp.391-401

보기
디자인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방안 정향진 pp.403-420

보기
폴드공간에 나타나는 생태학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조영직 ;윤재은 pp.421-432

보기
하이브리드 공간구성과 인간행태의 상호 관계성 연구 최은신 pp.433-443

보기
잭슨 폴록과 요셉 보이스 :상징적 드로잉으로부터 주술적 행위에 이르기 까지 최인선 pp.445-454

보기
문화적 요소를 적용한 주거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허윤실 ;최경란 pp.455-465

보기
한국전통한옥에 나타난 건축재료의 본질성에 관한 연구 홍지나 ;윤재은 pp.467-477

보기
방송 ID 시스템을 통한 플루이드 아이덴티티 연구 황인경 pp.479-489

보기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조의현, 현영조, 세계적 화장실 문화, 요철요, 서울, 2006. 미소장
2 다니에 푸러, 선우미정 역, 화장실의 작은 역사, 들녘, 서울, 2005. 미소장
3 야콥 블루메, 박정미 역, 화장실의 역사, 이룸, 서울, 2005. 미소장
4 고재홍, 원룸형 오피스텔 유니트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3. 미소장
5 김혜진,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욕실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3. 미소장
6 박선영, 아파트 공용욕실 디자인 연구 : 가족생활주기를 고려한 수도권 아파트 중심으로. 중앙대 석사논문, 2003. 미소장
7 유정난, IT기술을 적용한 독신자 주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06. 미소장
8 윤현영, 거주자 요구를 반영한 아파트 욕실공간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명대 석사논문, 2001. 미소장
9 이민정, 욕실변화에 따른 아파트 공간계획변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0. 미소장
10 이지영, 주거 욕실의 다양화와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1. 미소장
11 Typological Approach to the Flexible System of Interior Element for Flexible Housing 소장
12 모정현, 이연숙, 오픈하우징의 구조적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건축학회논문집 4권 3호, 2009. p.50. 미소장
13 박희령, 김억, 유비쿼터스 개념을 적용한 공간의 인터렉션 디자인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1호, 2006. 미소장
14 research on the Flexibility of Apartment Housing 네이버 미소장
15 이현수, 이혜원, 오픈 하우징의 SAR 이론을 활용한 주택평면 가변화 방법, 한국건축학논문집 제23권 제2호, 2007. 미소장
16 조일아, 박경환, 김형우, 가변형 공동주택의 공간 요소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무집 제16권 3호 통권62호, 2007. 미소장
17 최창규, 정대석, 지현규, 오피스텔의 사무, 주거 및 혼용 특성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0집 제2호, 2007. 미소장
18 황성원, 김혜정, 하미경, 아파트 욕실의 기능적 공간분리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9권 1호 통권 13호. 200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