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오피스텔 수용공간의 기능과 가변성에 관한 연구(A Study on Flexibility by the function of water-use space in the offistel) / 박태욱(Taewook Park) 1
ABSTRACT 2
요약 2
1. 서론 3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2. 생활방식과 공간 활용의 변화 3
2.1. 생활방식의 변화와 공간 3
2.2. 오피스텔의 특성과 사용 유형 4
2.3. 오피스텔 수용공간의 특성 4
3. 오피스텔 수용공간 활용 사례와 개선방향 5
3.1. 기존 사례 분석 5
3.2. 사용자 요구에 따른 수용공간의 기능과 수용 7
3.3. 개선 사례 7
3.4. 소결 8
4. 오피스텔 수용공간의 변화 가능성 8
4.1. 개방공간 구성 8
4.2. 가변공간 구성 9
4.3. 다기능 공간 구성 9
5. 결론 10
참고문헌 10
사회적인 변화에 의하여 현대가구의 형태는 대가족 가구가 축소되고 핵가족화를 넘어 가구 형태가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다. 또한 ‘가족’의 개념 변화로 무자녀 가정, 교육 문제에 의한 다양한 가정의 형태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거 공간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라이프 스타일이 다양해짐에 따라 오피스텔에 대한 요구도 함께 커지고 있다.
오피스텔은 주거와 사무 또는 새로운 기능을 위한 탄력적인 공간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오피스텔은 그 기능의 탄력성을 흡수할 만큼의 가능성을 갖지 못하고 일률적인 평면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욕실과 주방은 그 기능적 가능성에 따라 계획되기 보다는 건축 기술적 측면에 의하여 구석이나 입구 근처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욕실과 주방이 물을 사용한다는 공통점을 가진 ‘수용공간’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수용공간의 구성이 전체 오피스텔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수용공간의 구성에 대하여 연구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수용공간의 기능들을 세분하여 실제 오피스텔을 사용하고 있는 20~30대 사용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을 위하여 사용하는 수용공간의 기능과 부족한 기능에 관한 것들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기능들을 분석, 재조합하여 단순하고 일률적인 오피스텔의 공간 계획에 다양한 가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가변성을 가진 수용공간의 구성을 제시한다. 가변형 수용공간 구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개방공간 구성, 가변공간 구성, 다기능 공간 구성을 제시한다.
Modern households are becoming smaller and smaller with the reduction of an extended family system, beyond a nuclear family, variously, according to social changes. In addition, as the concept of ‘family’ changes, various kinds of households are appearing including households without kids and special types of households due to education matters, which causes the shift of standards of life. For this reason, residential spaces are changed variously. Specially, offictel's requirements are enlarged by lifestyle
Offistel means a flexible space for residences, affairs or a new function. But, until now, offistel is not able to function well enough to assimilate the flexibility, only to monotonous plane structure. In particular, bathrooms and kitchens are usually located in the corner or near the entrance according to construction techniques, not functional pla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struction of water-use space on total offistel and investigate a reasonable construction of water-use space from the perception that both bathrooms and kitchens are ‘water-use space’ using water. So, this study surveyed users in their 20’s~30’s who are using offistel about the functions and insufficient functions of water-use space for their living. And It analyzes a function, the re-union to do and is simple and it presents a variable space composition with the method which gives the possibility which is flexible space planning.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조의현, 현영조, 세계적 화장실 문화, 요철요, 서울, 2006. | 미소장 |
2 | 다니에 푸러, 선우미정 역, 화장실의 작은 역사, 들녘, 서울, 2005. | 미소장 |
3 | 야콥 블루메, 박정미 역, 화장실의 역사, 이룸, 서울, 2005. | 미소장 |
4 | 고재홍, 원룸형 오피스텔 유니트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논문, 2003. | 미소장 |
5 | 김혜진,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욕실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3. | 미소장 |
6 | 박선영, 아파트 공용욕실 디자인 연구 : 가족생활주기를 고려한 수도권 아파트 중심으로. 중앙대 석사논문, 2003. | 미소장 |
7 | 유정난, IT기술을 적용한 독신자 주거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06. | 미소장 |
8 | 윤현영, 거주자 요구를 반영한 아파트 욕실공간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명대 석사논문, 2001. | 미소장 |
9 | 이민정, 욕실변화에 따른 아파트 공간계획변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0. | 미소장 |
10 | 이지영, 주거 욕실의 다양화와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1. | 미소장 |
11 | Typological Approach to the Flexible System of Interior Element for Flexible Housing | 소장 |
12 | 모정현, 이연숙, 오픈하우징의 구조적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건축학회논문집 4권 3호, 2009. p.50. | 미소장 |
13 | 박희령, 김억, 유비쿼터스 개념을 적용한 공간의 인터렉션 디자인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1호, 2006. | 미소장 |
14 | research on the Flexibility of Apartment Housing ![]() |
미소장 |
15 | 이현수, 이혜원, 오픈 하우징의 SAR 이론을 활용한 주택평면 가변화 방법, 한국건축학논문집 제23권 제2호, 2007. | 미소장 |
16 | 조일아, 박경환, 김형우, 가변형 공동주택의 공간 요소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무집 제16권 3호 통권62호, 2007. | 미소장 |
17 | 최창규, 정대석, 지현규, 오피스텔의 사무, 주거 및 혼용 특성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0집 제2호, 2007. | 미소장 |
18 | 황성원, 김혜정, 하미경, 아파트 욕실의 기능적 공간분리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9권 1호 통권 13호. 200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