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넙치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제주도의 넙치양식장을 대상으로 배합사료(EP)와 생사료(MP) 급이에 따른 경제성을 평가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분석에서는 넙치 EP사료 및 MP사료의 급이형태에 따른 양식장의 수익성 및 경
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본양식장으로 넙치 양식생산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M수산과 S수산을 선정하고, 각각의 양식장 내에 실험설계를 하고 수익성과 경제성을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현장적용 실험결과로 나타난 수익성과 경제성은 표본양식장의 일부에 설계된 시험양식장에 한하며, M수산과 S수산의 수익성과 경제성과는 별개임을 밝혀둔다. 다만, 표본양식장의 기술력과 경영능력을 그대로 반영하여 현장적용에 있어서 인위적인 요인은 없이 현장에서 실제 행해지고 있는 양식형태를 그대로 반영토록 노력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comparison of the
extruded pellets and moist pellets on the Oliver flounder culture farms in Jeju
Island. In order to do this, we selected 2 farms (M and S farms) in Jeju Island as
a sample.
In the study, various analyses including productivity analysis, cost structure
analysis, profi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by feed type were
conducted for two sample farms of Oliver flounder culture.
The results of economic analysis by feed type on the Oliver flounder cul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ductivity by feed type.
Second, results of the profitability analysis on farm M by feed type showed the
profitability was estimated to be 15.52% and 9.83% in EP and MP,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ofitability of farm S was estimated to be 28.37% and 33.72% in
EP and MP, respectively.
Third, results of the economic analysis on farm M by feed type indicated that
an internal rate of return(IRR) was 8% and 7% and a benefit-cost ratio was
shown to be 1.64 and 1.11 in EP and MP,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economic
analysis of farm M by feed type showed that an IRR was 19% and 24% and a
benefit-cost ratio was calculated to be 1.4 and 1.51 in EP and MP, respectively.
In summary, it is especially emphasized that economic valuation is not related
to feed types (EP and MP). Finally, in order to improve the economic feasibility, it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efficient business management of the Oliver
flounder aquaculture.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지역별 수산업 클러스터 형성가능성 검토 | 최성애 ;채동렬 | pp.1-28 |
|
|
해양오염 퇴적물 정화사업의 어업자원회복 및 수산물 소비회복효과분석 | 표희동 | pp.29-49 |
|
|
해양관광지 브랜드 개성의 이미지화 효과에 관한 연구 | 한 경 ;양위주 | pp.51-68 |
|
|
볼락 방류사업의 현황 및 과제 :경제효과분석을 중심으로 | 송정헌 ;홍재범 | pp.69-88 |
|
|
북한산 수산물 반입제약요인 및 확대전략 | 성숙경 ;홍성걸 | pp.89-105 |
|
|
수산물 도매시장의 유통조직별 문화의 차이 | 김진백 | pp.107-125 |
|
|
AHP - 군집분석을 이용한 주요어종의 자원감소 원인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박철형 ;이상고 | pp.127-146 |
|
|
김 가정 소비 지출의 결정 요인 분석 :선택 편의를 고려한 Type Ⅱ 토빗 모형을 이용하여 | 이민규 ;박은영 | pp.147-167 |
|
|
자유변동환율체제하의 수산물 수입에 대한 환율의 장단기 영향분석 :중국으로부터의 주요 수산물 수입품목을 중심으로 | 김우경 ;김기수 | pp.169-187 |
|
|
넙치 배합사료 및 생사료의 경제성 비교분석 | 황진욱 ;김도훈 | pp.189-205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립수산과학원, 넙치양식 표준지침서, 2006.4. | 미소장 |
2 | 국립수산과학원, 넙치 배합사료의 제주지역 현장적용시험, 2009. 2. | 미소장 |
3 | 김기수·배승철·최재영·김우경, “양어사료의 어분대체품 개발의 경제성분석”, 수산경영론집, 제29권 제1호, 한국수산경영학회, 1998.6. | 미소장 |
4 | 김도훈·오태기,“ 양식업 배합사료 직접지불제의 적정지원수준결정에 관한 연구 : 직접지불제의 생산 및 소득효과분석을 중심으로”수산경영론집, 제38권 제1호, 한국수산경영학회, 2007.6. | 미소장 |
5 | 박영병·어윤양, 넙치양식의 경제성분석, 국립수산과학원, 2005.12. | 미소장 |
6 | 우리나라 넙치양식 기술형태별 경쟁력 분석 | 소장 |
7 | 임경희,“ 양식어류용 배합사료의 품질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의 시급성”, 해양수산동향, 제1182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 pp.1–8. | 미소장 |
8 | 지승철·문경수·유진형·이시우·김호범·정관식, “시판 넙치용 배합사료의 품질평가,”한국수산학회지, 제38권 제5호, 2007, pp.291–297. | 미소장 |
9 | 최정윤·박영병·황진욱, 수산시험연구사업과 경제성평가, 태화출판사, 2002.6. | 미소장 |
10 | 황진욱·이승우·류정곤,“ 넙치양식업의 경영실태와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국립수산진흥원 연구보고 제53호, 1997.6. pp.171–191. | 미소장 |
11 | Huss H. H, Fresh Fish: Quality and quality changes, FAO, Rome, Italy, 1988. | 미소장 |
12 | Aquaculture trials for the production of biologically active metabolites in the New Zealand sponge Mycale hentscheli (Demospongiae: Poecilosclerida) ![]() |
미소장 |
13 | Choi, S. M., K. M. Han, X. J. Wang, S. H. Lee and S. C. Bai, “Quality eval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extruded pellets and moist pellet based on biochemical analyses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J. Aquaculture, 17, 2004, pp.144–150. | 미소장 |
14 | Aquaculture trials for the production of biologically active metabolites in the New Zealand sponge Mycale hentscheli (Demospongiae: Poecilosclerida)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