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영어 학습능력 조사연구 / 김혜영 ; 김민진 1
[요약] 1
I. 서론 2
II. 이론적 배경 3
1. 자기 주도적 학습 연구 3
2. 영어학습 자율성 5
III. 연구 방법 6
1. 연구 대상 6
2. 측정 도구 7
3. 연구 절차 8
IV. 연구결과 8
1. 연령별 영어 학습 주도성 8
2. 연령별 일반학습주도성과 영어학습주도성 비교 10
3. 요인별 영어 학습 주도성 11
V. 토의 및 결론 13
참고 문헌 16
영어학습 주도성 설문지 18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초등영어 맞춤형 심화연수 모형 개발 연구 | 이문복 ; 김미경 ; 김혜련 | pp.5-35 |
|
보기 |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영어 학습능력 조사연구 | 김혜영 ; 김민진 | pp.37-55 |
|
보기 |
초등학교 영어 협동수업에 나타난 내국인과 원어민 교사의 발화 및 상호작용 연구 | 박선호 ; 임희진 | pp.57-84 |
|
보기 |
노출주기에 따른 초등학생의 영어 어휘기억 양상 | 김경보 ; 홍선호 | pp.85-111 |
|
보기 |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보처리 단위의 크기와 영어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 조원호 ; 손중선 | pp.113-134 |
|
보기 |
내용중심 문학텍스트 활용 언어-내용 통합 초등영어 문자지도에 대한 연구 | 김혜리 ; 이정윤 | pp.135-161 |
|
보기 |
상황극(Situation drama)을 활용한 초등 영어 말하기 지도 | 박약우 ; 권은주 | pp.163-186 |
|
보기 |
Children's imaginative responses while watching a bilingual program | Lee, Jae-Hhwa ; Ko, Kyoung-Seok | pp.187-213 |
|
보기 |
A dynamics in a second grade English classroom | Chang, Sun-Mee | pp.215-238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8 사교육비 조사결과 분석 및 대책.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월드와이드웹 http://www.mest.go.kr 에서 2009년 6월 10에 검색했음. | 미소장 |
2 | 교육과학기술부. (2007). 2007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 총론, 재량 활동. 서울: 대한 교과서. | 미소장 |
3 |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용 | 소장 |
4 | An investigation into learner autonomy in relation to practical English skills | 소장 |
5 | study of web-based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 소장 |
6 | Valid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iagnostic scale for elementary higher graders | 소장 |
7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 소장 |
8 | A Study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Korean Female Primary School Teachers | 소장 |
9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시도 | 소장 |
10 | The Effect of Training Class Participation Skills Program on Study Habit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소장 |
11 |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주도학습 지각도 검사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소장 |
12 | Articles : A study on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through CD-ROM title for the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
미소장 |
13 | Self-accessible Web-based English Reading for Developing Learner Autonomy: Qualitative Case Study for Highshcool Students | 소장 |
14 | Baumert, J., Fend, H., O’Neil, H. F., & Peschar, J. L. (1998). Prepared for life-l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for self-regulated learning for as a cross-curricular competency in the PISA Project. Paris: OECD. | 미소장 |
15 | Breen, M. P., & Mann, S. (1977). Shooting arrows at the sun: Perspectives on a pedagogy for autonomy. In P. Benson & P. Voller (Eds). Autonomy and independence in language learning (pp.132-149). London: Longman. | 미소장 |
16 | Brockett, R. G., & Hiemstra, R. (1991). Self direction in adult learning: Perspectives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17 | Candy, P. C. (1991).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 미소장 |
18 | The use of CMC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 소장 |
19 |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of the Internet in the EFL Classroom | 소장 |
20 | Readiness for autonomy: Investigating learner beliefs ![]() |
미소장 |
21 | Dam, L., Eriksson, R., Little, D., Miliander, J., & Trebbi, T. (1990). Towards a definition of autonomy. In proceedings of Developing Autonomous Learning in the F. L. Classroom, II-14 August 1989, Instituttt for praktisk pedagogikk, Universitetet I Bergen, Bergen. | 미소장 |
22 | Knowles, M. (1984). Andragogy in action: Applying modern principles of adult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 Bass. | 미소장 |
23 | Gardner, D., & Miller, L . (1999). Establishing self-access: From theory to pract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Teaching Learners to Be Self-Directed. ![]() |
미소장 |
25 |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 미소장 |
26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 |
미소장 |
27 | Oh, M. (2002) Four Korean adult learners’ ESL learning beliefs and learner autonom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York in Buffalo, Buffalo, New York. | 미소장 |
28 | Pilling-Cormick. J. (1998). The self-directed learning perception scale: A step toward a toolbox approach to instrumentation proposed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H. B. Long & Associates (Eds.),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theory (pp. 159-168). Norman, OK: Public Managers Center, College of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