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proposed to find out the pathology of Soyang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2. Methods

The related contents of the pathology of Soyangin were selected in Je-Ma Lee's literatures such as 『Dongmu-YuGo(東武遺稿)』(DYG), 『Donguisusebowon-SaSangchobongyu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DSS), 『Donguisusebowon-GabObon(東醫壽世保元甲午本)』(DGO), 『Donguisusebowon-ShinChukbon(東醫壽世保元辛丑本)』(DSC), and the research was written in order to find out the physiology and pathology of Soyangin in SCM.

3. Results and Conclusions

The chronical change of pathologic concept in Soyangin diseases as follows : Pathology in Soyangin diseases was much Hot Qi(熱氣), and more ascending Qi, less descending Qi in DYG, DSS. In 「Discourse on the viscera and bowels」 of DGO and DSC, Soyangin has a circulation of Water-Food Hot Qi of Spleen Group(脾黨) and Water-Food Cold Qi of Kidney Group(腎黨). Exterior Disease(表病) was the injury of Exterior-Qi such as mouth-hip Qi(口膀胱氣) by Anger-Nature-Qi(怒性氣), and Interior Disease(裏病) was the injury of Interior-Qi such as kidney-large intestine Qi(腎大腸氣) by Sorrow-Emotion-Qi(哀情氣).

All diseases of Soyangin are caused by insufficient Cool Yin Qi(陰淸之氣) in Kidney Group(腎黨), so the pathology of Soyangin was focused on Requisite energy(保命之主) and each small viscera and bowels(偏小之臟). In this viewpoint, the schema of Soyangin diseases such as Soyangsangpoong-syndrome(少陽傷風證), Kyulhyung -syndrome(結胸證), Mangeum-syndrome(亡陰證), Hyungkyukyeol-syndrome(胸膈熱證), Sogal-syndrome(消渴證) and Eumhuoyeol-syndrome(陰虛午熱證) were designed to explain the mechanism of each syndrom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少陽人 病理論에 관한 考察 황민우 ;고병희 pp.1-16

甘遂의 適應症 및 活用에 대한 考察 반덕진 ;홍솔이 ;박성식 pp.17-29

Understanding meat from the perspectiv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theory of four-constitution food with pork and chicken Lee Woon-Kyu ;Kim Jong-Dug pp.30-38

판정불능을 포함한 안면 체질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도준형 ;김성훈 ;구임회 ;김근호 ;김종열 pp.39-47

사상체질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특성의 연구 서은희 ;최애련 ;하진호 ;채 한 ;김판준 ;구덕모 pp.48-62

음주량과 흡연에 따른 균형기능의 체질 상관성 연구 이한얼 ;이주용 ;한경수 ;이 현 ;안택원 pp.63-75

寒熱 특성과 건강 상태가 四象體質 감별에 미치는 영향 장은수 ;김명근 ;백영화 ;김윤정 ;김종열 pp.76-88

발한양상에 따른 건강상태의 체질별 편차에 대한 분석 김효정 ;이혜정 ;진희정 ;김명근 pp.89-106

사상체질별 임상지표와 건강상태의 연관성 연구 :여성을 중심으로 장은수 ;유종향 ;백영화 ;김호석 ;김종열 ;이시우 pp.107-121

사상체질에 따른 대사증후군과 Adiponectin의 상관성 유준상 ;고상백 ;박종구 pp.122-130

凉膈散火湯 추출액이 ICR mouse에서의 경구 투여 급성독성에 미치는 영향 마진열 ;황대선 ;서창섭 ;이시우 ;김종열 ;신현규 pp.131-137

β-Amyloid로 유도된 신경독성에 대한 熱多寒少湯 加感方의 抗치매효과 배나영 ;양현옥 ;안택원 pp.138-153

獨參八物君子湯으로 호전된 少陰人 鬱狂症 발열 치험 3례 이현미 ;박세정 ;전수형 ;김오영 ;김종원 pp.154-167

大便不通의 증상을 가진 少陰人 뇌경색 환자에게 溫白元을 병용한 치험 2례 이필재 ;한다님 ;김성기 ;임은철 ;김현진 pp.168-177

少陽人 처방을 활용한 성인형 아토피피부염 치험 1例 한수진 ;송정모 pp.178-185

지주막하 출혈 후 발생한 소양인 현훈 환자 치험례 이승윤 ;반덕진 ;배효상 ;박성식 pp.186-192

凉膈散火湯을 이용한 소양인 피부염 환자 치험 2례 배정규 ;이한얼 ;안택원 pp.193-201

寒多熱少湯으로 호전된 太陰人 寒厥證 患者 치험 1례 김오영 ;초재승 ;이현미 ;박세정 ;박혜선 pp.202-208

熱多寒少湯加大黃 복용 후 간 손상 수치가 상승된 1례 권은미 ;정의홍 ;김은희 ;서영광 ;이수경 ;김달래 ;김선형 pp.209-215

급성 A형간염으로 진단받은 太陰人 胃脘受寒表寒病 患者 治驗1例 최은주 ;송학수 ;윤우영 ;유준상 pp.216-222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性情과 表裏證과의 關係 소장
2 A Study on Pyoribyeongjeung Pyeonmyeong in Sasangin for Tonguisusebowon 소장
3 Lee SK, Song IB. The study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of Sasangin on the 『Dongyi Suse Bowo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1999;11(2):1-26. (Korean) 미소장
4 Kwak CK, Sohn EH, Lee EJ, Koh BH, Song IB. The Study about the consept of exterior disease and interior disease of Sasangin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4; 16(1):1-11. (Korean) 미소장
5 Ko WS, Lee SK, Lee EJ, Koh BH, Song IB. Study for the mechanism of exteriror, interior disease by the nature and emotio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4;16(2):44-51. (Korean) 미소장
6 Lee EJ, Song IB. A Study on parts of So-yin-In and So-yang-I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1996;8(1):43-56. (Korean) 미소장
7 Lee JH, Lee SK, Koh BH, Song IB. A Study on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 of Dongyi Suse Bowon written in 1894.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1;13(2):49-61. (Korean) 미소장
8 Han KS, Park SS, The Research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on The DongyiSuseBowon Gabobo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2; 14(1) : 34-50. (Korean) 미소장
9 Han KS. The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Sasang-Constitutional-Medicine's Symptomatic-Pharmacology.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2005.(Korean) 미소장
10 Han KS, Park SS. The Conception of YangQi and YinQi at the Discourse on the Soyangin and Soeumin Disease in『Dongyi Suse Bowon』.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6;18(1):11-21. (Korean) 미소장
11 Lim JN, Lee EJ, Koh BH, Song IB. Comparison with 'Gu-Bon' and 'In-Bon' on Symptom of Soemin's Disease and Soyangin's Disease. J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3;13(2) : 62-73. (Korean) 미소장
12 李濟馬. 東武遺稿.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제2권.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서울, 2005. 미소장
13 李濟馬. 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제2권.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서울, 2005. 미소장
14 李濟馬. 東醫壽世保元 甲午舊本 復元本.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제2권.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서울, 2005. 미소장
15 李濟馬. 東醫壽世保元.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제2권.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서울, 2005. 미소장